$\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량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Future PMPs projection according to precipitation variation under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2, 2016년, pp.107 - 119  

이옥정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명우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정훈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상단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극한강우사상이 현재보다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이 추정절차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가능최대강수량(PMPs)을 과소 추정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강우 변동이 반영된 PMPs가 추정된다. PMPs 계산을 위하여 수문기상학적 방법이 이용되며,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지형영향비를 대신하여 산악전이비가 가능최대강수량의 산정에 적용된다. 미래 주요호우사상들로부터의 DAD는 기상청 RCM (HEDGEM3-RA)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 강수자료를 기반으로 편의보정 및 이동평균 된 변화인자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산출된다. 미래 PMPs 산출결과,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가율은 2045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연간 3 m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먼 미래로 갈수록 PMPs의 증가율은 커졌으나 미래강우자료로부터 유발되는 PMPs 추정의 불확실성 또한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future climate scenarios indicate that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will intensit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s (PMPs) without being taken climate change into account are very likely to be underestimated. In this study future PMPs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future rainfall are 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25년을 기준으로 1년씩 이동평균 하여 변화인자(changing factor)를 산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과다한 강우변동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2021-2045년의 편의보정 된 월강수량을 평균한 값  본 절에서는 미래 기간에 따라 보정된 이동 평균된 변화인자를 이용하여 DADs를 변동시킨 후 PMPs를 재산출한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2045년, 2070년, 2100년의 강우변동에 따른 PMPs 결과를 확인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자료를 이용하여 1981∼2005년의 PMP 산정 및 기상청 RCP 8.5 일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미래 강우변동에 따른 PMPs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절에서는 최근까지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준 호우가 어떤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속시간별 영향면적별 DAD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관측 최대 호우를 아래 표(Table 2)에 정리하였다. 호우명은 호우시작 년, 월, 일, 지속일로 이루어져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와 RCP 8.5 자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편의보정을 실시하였다. 편의보정 방법은 Hawkins et al.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PMPs 변화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PMPs는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에 의해 산출되며, 이 때 기존의 방법 중 지형영향비에 대한 최근의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지형영향비 대신 산악전이비를 도입하여 PMPs를 산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따라 2045년 기준으로 관측자료의 DAD 개수만큼 미래 DAD를 생성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바탕으로 2045년 기준의 PMPs를 산출하게 된다. 이 때, 수분최대화 및 호우조절비는 관측된 값과 같다고 가정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045년부터 2100년까지 년별로 미래 PMPs가 산출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기상기구에서는 PMPs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특히 이러한 기상이변으로 인한 거대재난사상의 증가는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에 적용되는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s, PMPs)의 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세계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1986)에서는 PMPs를 어느 특정 위치에 주어진 호우면적에 대하여 연중 어느 지정된 기간에 기상학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최대강수량으로 정의하였다. 그동안 PMPs는 파괴 시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대규모 인명피해와 극심한 사회 경제적 피해를 유발하게 되는 대규모 수공구조물 설계 시에 국한하여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거대재난사상의 추정을 위해서도 이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PMPs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PMPs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수문기상학적 방법과 통계학적 방법, 최대우량 포락곡선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10). 그 중 수문기상학적 방법은 PMPs 산정방법 중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PMPs 추정을 위한 공식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업에 적용되는 PMPs 추정 사례가 대형 다목적댐 설계 등에 국한됨으로 인해 나타난 국내 PMPs 추정의 한계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외국의 경우 다양한 미래 시나리오 및 다양한 기법에 의하여 미래의 PMPs 추정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가능최대강수량에 대한 연구 자체가 미비한 실정이며, 미래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의 변동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연구는 통계학적인 방법에 국한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Mamun, A., and Hashim, A. (2004). "Generalised Long Duratio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sohyetal Map for Peninsular Malaysia." Journal of Spatial Hydrology, Vol. 4, No. 1. 

  2. Casas, M.C., Rodriguez, R., Prohom, M., Gazquez, A., and Redano, A. (2011). "Estimation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Barcelona (Spain)."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pp. 1322-1327. 

  3. Choi, Y.J., Sim, K.B., Kim, S.D., and Kim, E.S., (2015). "Trend Analysis of 1-Da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1, pp. 369-375. 

  4. Hawkins, E., Osborne, T.M., Ho, C.K., and Challior, A.J. (2012). "Calibration and bias correction of climate projections for crop modelling: An idealised case study over Europ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70, pp. 19-31. 

  5. Ishida, K., Kavvas, M.L., Jang, S., Chen, Z.Q., Ohara, N., and Anderson, M.L. (2014). "Physically Based Estimation of Maximum Precipitation over Three Watersheds in Northern California: Atmospheric Boundary Condition Shifting."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20, No. 4. 

  6. Kappel, B., Muhlestein, G., Hultstrand, D., McGlone, D., Steinhilber, K., Lawrence, B., Rodel, J., Parzybok, T., and Tomlinson, E. (2014).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tudy for Wyoming. Applied Weather Associates. U.S., pp. 99-102 

  7. Kappel, B., Tomlinson, E., Haapala, J., and Sadden, B. (2014). Susitna-Watana Hydroelectric Project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tudy. 14-07-REP, Alaska Energy Authority. U.S., pp. 40-46. 

  8. Kim, J.H., and Joo, J.G. (2015). "Characteristics of Daily Precipitation Data Based on the Detailed Climate Change Ensemble Scenario Depending on the Regional Climate Models and the Calibr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4, pp. 261-272. 

  9. Kunkel, K.E., Karl, T.R., Easterling, D.R., Redmond, K., Young, J., Yin, X., and Hennon, P. (2013).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and climate chang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40, No. 7, pp. 1402-1408. 

  10. Lagos-Tuniga, M.A., and Vargas, M.X. (2014). "PMP and PMF estimations in sparsely-gauged Andean basins and climate change projections",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9, No. 11, pp. 2027-2042. 

  11. Lee, K.H. (1999). "A hydrometeorological study on the maximum 12-h persisting dew point at 1000 hpa for moisture maximization of heavy precipitation recorded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35, No. 4, pp. 519-530. 

  12. Lee, K.H., and Joung, C.H. (1971). "Generalized Estimate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over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7, No. 2, pp. 57-64. 

  13. Lee, S.R. (2010). Calculation for the Probable Maximum Flood of the Hapcheon Dam Watershed. Master's Thesis,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4. Miller, J.F., Hansen, E.M., and Fenn, D.D. (1984).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or The Upper Deerfield River Drainage, Massachusetts/Nermont, NOAA Technical Memorandum, NWS HYDRO 39, National Weather Service, U.S. Department of Commerce, Silver Spring, MD, 36 pp. 

  15.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0). Estimation of Korea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1999 water management techniques developed research report, Vol. 2.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K-Water, (2008). PMP and PMF estimation procedures guidance service for final report, K-water. 

  17. Ohara, N., Kavvas, M.L., Kure, S., Chen, Z.Q., Jang, S., and Tan, E. (2011). "Physically based estimation of maximum precipitation over American River watershed, California."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6. No. 4. pp. 351-361. 

  18. Park, M.G., Park, M.J., Kim, S.D., and Joo, J.G. (2013). "Extreme Storm Estimation by Climate Change Using Precipitable Water."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1, pp. 121-127. 

  19. Sim, K.B., Lee, O.J., Kim, S.D., and Kim, E.S. (2015). "1-day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accordance with AR5 RCPs in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5, No. 4, pp. 273-280. 

  20. Stratz, S., and Hossain, F. (2014).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a Changing Climate : Implications for Dam Design."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Vol. 19, No. 12. 

  21. Tomlinson, E., Kappel, B., Diederich, P., Parzybok, T., and Hultstrand, D. (2008). Nebraska Statewid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Study, Applied Weather Associates. 

  22. Tomlinson, E., Kappel, B., Muhlestein, G., Hulstrand D., and Parzybok, T. (2013).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tudy for Arizona, Applied Weather Associates. U.S., pp. 78-92. 

  23.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986).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Second Edition, Operational Hydrology Report No. 1, WMO No. 332. 

  24.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9). Manual on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PMP), WMO No. 1045. 

  25. You, C.S., Shin, C.K., Yoon, Y.N. (2004). "Estimation and Analysis of Precipitable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4, No. 5B, pp. 413-4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