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시공간적 발생 패턴의 변화 분석
Changes in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Precipitation Due to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3 no.4, 2021년, pp.424 - 433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강대균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박주현 ((주)에피넷) ,  김진희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용석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의 기후변화는 지구촌 곳곳에 이상기상 현상을 발생시키며, 사회 여러 분야에서 많은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호우 또는 가뭄 등 강수량의 많고 적음으로 인한 피해가 많이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강수량의 발생 패턴을 조사하여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시간적 특성 비교를 위해 제시한 강수지표 중 일부를 선정하였다. 지점별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기상청 ASOS 관측소 10개 지점을 지역분포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지점별로 1951년부터 2020년까지의 일적산강수량을 수집하였다. 또한 산악강수모형을 이용하여 1981년부터 2020년까지의 전국 고해상도의 일별 강수분포도를 제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시간에 따른 분석결과 연적산강수량의 경우 과거에서 현재로 이동하면서 증가 양상을 보였다. 강수일수의 경우 대부분의 관측지점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호우일수의 경우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간적인 변화의 경우 강수일수와 호우일수 모두 과거에 비해 감소되는 지역이 많았으며, 그 특징은 중부지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강수량의 패턴은 짧아진 강수일수, 늘어난 일별 강수량으로의 변화로 정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climate change has caused abnormal weather phenomena all over the world and a lot of damage in many fields of society. Particularly, a lot of recent damages were due to extreme precipitation, such as torrential downpour or drough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4)

  1. Choi, G., 2014: Spatio-temporal changes in seasonal extreme temperature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4), 489-5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Y., H. Lee, and J. Kwon, 2013: Recent change on frequency-magnitude of summer extreme rainfall events over the Republic of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1), 83-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U., K. Yun, K. S. Cho, J. H. Yi, and J. I. Yun, 2009: The PRISM-based rainfall mapping at an enhanced grid cell resolution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7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aly, C., R. P. Neilson, and D. L. Phillips, 1994: A statistical-topographic model for mapping climatological precipitation over mountainous terrain.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3, 140-158. 

  5. Hong, S.-H., Y. G. Kim, W.-H. Lee, and E.-S. Chung, 2012: Rainfall variati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using rainfall indicato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4), 393-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rl, T. R., and D. R. Eastering, 1999: Climate extremes: Selected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limate Change 42(10), 309-325. 

  7. Kim, D. J., and J. H. Kim, 2019: Estimating the monthly precipitation distribution of North Korea using the PRISM model and enhanced detailed terrai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4), 366-3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D. J., and J. I. Yun, 2013: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2. Refin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amou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3), 171-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D. J., S. O. Kim, J. H. Kim, and E. J. Yun, 2019: Establishment of geospatial schemes based on topo-climatology for farm-specific agrometeorologic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1(3), 135-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Abnormal Climate Report 2020. Joint with related ministries. 212pp. (in Korean) 

  11.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https://kosis.kr/ 

  12. Johnson, G. L., P. A. Pasteries, G. H. Taylor, and C. Daly, 1999: Spatial climate products - a new dimension for climate applications. Preprints, 11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Dallas, Texa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07-113. 

  13. Park, M., and Y. Choi, 2020: An examination of changes and future projections of the highest daily maximum temperature by return periods using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GEV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4(1), 37-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tern, N., 2006: The Stern Review: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5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