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선호도 비교
Comparison of High School Math Teachers' Preference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5 no.1, 2016년, pp.129 - 145  

유기종 (안법고등학교) ,  김창일 (단국대학교) ,  고상숙 (단국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compare teachers' preferences for 'Great Math Class' by region and gende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261 high school math teachers by using non-probability sampling. As the results of the study, regional preferen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사가 근무하는 학교의 지역과 교사의 성(gender)이 다르더라도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선호도의 차이가 없을 것으로 가정하고, 교사의 지역별, 성별에 따른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와 좋은 수학 수업의 네 가지 요인1)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선호도는 좋은 수학 수업의네 가지 요인들-교육과정 및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학습자에 대한 이해, 평가-이외의 다른 변수들은 영향은 배제하고, 좋은 수학 수업의 네 가지 요인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주훈 등(2003)은 좋은 수업을 무엇이라 하였나? 신재한(2013)은 좋은 수업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수업 효과성과 효율성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했으며, 김주훈 등(2003)은 좋은 수업은 학습자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주며, 충분한 상호작용이 일어나 학습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라고 했다.
중학교 수학 여교사의 수업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박경미(2004)는 중학교 수학 교사들의 수업 분석을 통해 여교사의 수업이 남교사의 수업보다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었으며, 수업에서 발화(locution)는 은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내용을 전달하며, 발문(questioning)의 방식은 명백(obviousness)과 개방(open)의 중간 정도로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즉 남교사와 여교사는 수업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주목받는 교수법인 거꾸로 교실과 하브루타의 공통점은? 최근에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는 교수법으로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과 하브루타(Havruta)가 있다. 이 두 교수법의 공통점은 학생과학생 사이 또는 학생과 교사 사이의 소통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교사가 수업 분위기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인애 (1995).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간략한 고찰, 교육공학연구 11(2), 1-16.(Kang, I.N. (1995). A Brief Reflection on Cognitive and Social Constructivis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2), 1-16.) 

  2. 강태중 (2007). 학업성취도의 지역 차이 분석: 인구 이동의 영향을 고려한 시도, 한국청소년연구 18(2), 315-344.(Gahng, T.J. (2007). An Exploratory Analysis of Achievement Variation over Geographical Areas with Specific Reference to Population Mobility, Studies on Korean Youth 18(2), 315-344.) 

  3. 강현영, 이동환, 고은성 (2012).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수학교육 51(2), 173-189.(Kang, H.Y., Lee, D.H., & Ko, E.S. (2012).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The Mathematical Education 51(2), 173-189.) 

  4. 교육부 (2015). 제 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발표(2015년 3월 16일 보도자료).(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econd announc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Master Plan(March 16, 2015).) 

  5. 권미선, 방정숙 (2009).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수학교육논문집 23(2), 231-253.(Kwon, M.S., Pang, J.H. (2009).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Hearing Teachers' Voic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2), 231-253.) 

  6. 권민성, 남승인, 김상룡 (2009).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 분석. 수학교육 48(4), 399-417.(Kwon, M.S., Nam, S.I. & Kim, S.L. (2009). Adapting U.S. Multiple-choice Items to Measur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Kore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4), 399-417.) 

  7. 김경근 (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Kim, K.K. (2005). Educational Gap in Korea and Determinant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5(3), 1-27.) 

  8. 김경옥 (1998).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초보 및 숙련 교사의 인지과정 비교연구. 교육문제연구 10(1), 55-75.(Kim, K.Y. (1998). Novice and Expert Teacher's Cognition for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10(1), 55-75.) 

  9. 김성식 (2010). 수능 성적에 대한 지역 여견의 영향력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0(2), 53-75.(Kim, S.S. (2010).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High-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Korea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0(2), 53-75.) 

  10. 김옥예 (2006). 교사 전문성의 재념화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연구원 24(4), 139-160.(Kim, O.Y. (2006). The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s profess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4(2), 139-160.) 

  11. 김주훈, 양진모, 유정애, 곽영선, 이주섭, 강대현 외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1.(Kim, J.H, Yang, J.M., You, J.A., Kwak, Y.S., Lee, J.S., & Kang, D.H., et al.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school education(II):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Good Instructions in Secondary Schoo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Research Projects RRC 2002-4-1.) 

  12. 김진영 (2008). TIMSS 데이터를 통해 본 우리나라의 학교별 차이와 그 원인, 재정학연구 1(3), 53-77.(Kim, J.Y. (2008). Differences in Test Scores among Korean Middle Schools: Evidence from the TIMSS data, The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Finance 1(3), 53-77.) 

  13. 김창일, 유기종 (2015).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생의 집단 간 인식 비교,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1), 83-102.(Kim, C.I., Yoo, K.J. (2015). Comparison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Awareness for the Good Math Cla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8(1), 83-102.) 

  14. 박경미 (2004).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 방식의 비교.분석 연구, 한국여성학 20(2), 215-243.(Park, K.M. (2004).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eaching between male and female mathematics teachers,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Studies 20(2), 215-243.) 

  15. 박선영, 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수학교육 50(3), 285-308.(Park, S.Y., Kim, W.K.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85-308.) 

  16. 방정숙, 권미선 (2012). 좋은 수학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학교육논문집 26(3), 317-338.(Pang, J.S., & Kwon, M.S. (2012).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Comparison of Conception by Elementra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3), 317-338.) 

  17. 서경혜, 유신영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교육학연구 42(4), 285-315.(Seo, K.H, & Yoo, S.Y. (2004). The Good Instructional Practice from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spective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4), 285-315.) 

  1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9).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The Encyclopedia of Education, Seoul: Publication Hawoo.) 

  19. 신재한 (2013).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 유형에 대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81-106.(Shin, J.H. (2013). A study on the Types of 'Good instruction'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6(1), 81-106.) 

  20. 이대식, 김수미 (2003). 수학학습에서의 성차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 및 교사의 인식조사, 초등교육연구 16(1), 297-315.(Lee, D.S., Kim, S.M. (20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Responses on Sex Differences in Mathematics Learning,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6(1), 297-315.) 

  21. 이상수, 이유나, 리리 (2008). '좋은 수업'에 대한 한.중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18(3), 27-47.(Lee, S.S, Lee, Y.N., & Li, L. (2008)Comparison of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n "Good Instruction" in Korea and China,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18(3), 27-47.) 

  22. 이희숙, 정제영 (2011). 교사 특성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TIMSS 2007의 교사 전문성 계발 노력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243-266.(Lee, H.S., Chung, J.Y. (2011).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eachers' Traits on Stud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eachers' Efforts to Enhance Professionality in TIMSS 2007 -,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1), 243-266.) 

  23. 조성민, 김재홍, 최지선, 최인선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에 대한 고찰, 수학교육논문집 28(2), 195-217.(Cho, S.M., Kim, J.H., Choi, J.C. & Choi, I.S. (2014). A study on the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2), 195-217.) 

  24. 최승현 (2002). 학교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I) 수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2-4-3.(Choe, S.H. (2002).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in Korea(II): A Qualitative Case Study on Good Mathematics Teaching in Secondary Schoo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ducation Research Projects RRC 2002-4-3.) 

  25. 한혜숙, 최계현 (2012).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6(4), 363-381.(Han, H.S., & Choi, K.H. (2012).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4), 363-381.) 

  26. 황기우 (2002). 교사문화의 생성과정 분석, 교육문제연구 17, 213-228.(Hwang, K.W. (2002). The Analysis of "Formed Process of Teacher's Culture",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17, 213-228.) 

  27. Battey, D. (2013). "Good" mathematics teaching for students of color and those in poverty: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interactions within instruc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2(1), 125-144. 

  28. Corwin, R.B., & Friel, S.N. (1993). Doing Mathematics Together: Creating a Mathematical Culture. Arithmetic Teacher 40(6), 338-341. 

  29. Devine, D., Fahie, D., & McGillicuddy, D. (2013). What is 'good' teaching? Teacher beliefs and practices about their teaching, Irish Educational Studies 32(1), 83-108. 

  30. Friel, S.N., Hart, L.C., Schultz, K., Najee-ullah, D., & Nash, L. (1992).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The Role of Reflection in Teaching, Arithmetic Teacher 40(1), 40-42. 

  31. Hubert, T.L. (2014). Learners of Mathematics: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s of Culturally Relevant Mathematics Pedagogy,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3), 324-336. 

  32. Martinez-Sierra, G. (2014). Good mathematics teaching from mexican high school students'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2(6), 1547-1573. 

  33. Munter, C. (2014). Developing visions of high-quality mathematics instruc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5(5), 584-635. 

  34. Murray, S. (2011). Secondary Students' Descriptions of "Good" Mathematics Teachers, Australian Mathematics Teacher 67(4), 14-21. 

  35. Pang, J. (2009).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in South Korea, ZDM 41(3), 349-362. 

  36. Stigler, J.W.,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ew York: Free Press. 

  37. Wilson, P.S., Cooney, T.J., & Stinson, D.W. (2005). What constitutes good mathematics teaching and how it develops: Nine high school teachers' perspective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2), 83-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