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세권 지가 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간 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of Seoul by Analyzing the Land Price Changes of Station Influence Areas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4 no.1, 2016년, pp.63 - 70  

구현철 (NHN Technology Services, Kyonggi University) ,  이병길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이창수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Gach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시에서는 1990년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다층적 위계를 갖는 중심지 체계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철도의 역세권에 중심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 역세권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서울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도시철도 역세권에 대한 2000년, 2005년, 2010년 3개년의 표준지 공시지가의 변화를 이용하여, 서울시 중심지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역세권 공시지가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심지 위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199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an urban master plan for the efficient city management by introducing the central place structure with a multi-tiered hierarchy. In the plan, Seoul City uses the strategy of developing the station influence area around the urban railway, in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 철도 역의 역세권을 설정하고 2000년, 2005년, 2010년 3개년에 대한 표준지 공시지가의 Z-score 를 구하여 각 역세권의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서울시에서 2020년 수립한 서울도시기본계획에 제시된 서울시 중심지의 변화가 도시계획의 목표와 부합하는 방향성을 갖고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 철도를 통해 지원되어 온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의 구조가 실제 도시 공간 상에 구현되었는지를 도시 철도 역세권의 지가 변화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2009)는 지가가 도시 공간의 개발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공간의 중심지를 파악하는 중요한 측정 지표로 지가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연구에서도 연구 대상 기간 전체에 대한 데이터 확보 가능성 및 데이터의 상세한 정도를 고려하여 표준지 공시지가를 역세권의 중심성을 판단하기 위한 변수로 사용하였다.
  •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에서 서울시는 활동 중심과 교통 연결점을 일치시켜 접근성을 보장하고,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상위의 도시 공간을 구성하고, 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 공간을 형성하며, 전철망과 도로망이 상호 보완하는 교통 구조를 갖는 유연한 다핵 구조를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때 계획된 공간 구조가 1도심, 5부도심, 58지구 중심을 갖는 3단계 중심지 체계이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0).
  • 2004년에는 각 중심지의 영향권 및 적정 역할 분담의 검토를 통하여 기존 중심지 체계의 일부를 개편하여 중심지 육성의 우선권을 부여한 2020 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6). 이 계획에서는 계획의 목표 과제 중 하나로 광역 철도망과 서울시 중심지 간의 정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속 전철, 광역 전철 등 광역 철도 결점점의 부도심 기능 강화와 도시 철도 역세권에 중심지를 설정하여 대중 교통의 역할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서울시의 도시기본계획에서 중심지 체계는 도시 철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도시 철도 역과 도시 철도망에 의한 공간 구조의 형성에 대한 검토는 서울시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ing, C. and Zhao, X. (2014), Land market, land development and urban spatial structure in Beijing, Land Use Policy, Vol. 40, pp. 83-90. 

  2. Jeong, S.H. and Hwang, C.S. (2004), The selection of standard lands to estimate the public land price based on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9, No. 3, pp. 55-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g, Y.Y. and Moon, T.H. (2014), Analysis of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pedestrian flow data – comparative study with ‘2030 Seoul Pl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 26, No. 3, pp. 139-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un, M. (1995), Commuting patterns in a polycentric city: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30, No. 2, pp. 223-2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ung, D.Y., Kim, S.S., and Kim, K.H. (2009), The central place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pric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7, No. 3, pp. 6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G.J., Lee, B., and Park, B.U. (2013), A comparative analysis on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for price estimation of housing facilities,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Vol. 47, No. 2, pp. 119-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K. (2006),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using GIS - with special reference to population, employment and land pr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9, No. 4, pp. 204-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H.S. (2010), Identifying stagnant reasons of the Wangsimni subway adjacent a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and Design, Vol. 26, No. 6, pp. 255-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S., An, A.H., Shin, Y.C., and Kim, H.T. (2008),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1, No. 3, pp. 2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Oh, M., Jeong, D., and Kim, H. (2011), Analysing growth trends and responsive plans of urban subcenters in the Korean six largest metropolitan cities, The Korean Spatial Planning Review, Vol. 68, pp. 207-2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Ok, S.M. and Lee, M.H. (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change of central place system - a case study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1, No. 1, pp. 107-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áez, A. and Scott, D. (2005), Spatial statistics for urban analysis: a review of techniques with examples, GeoJournal, Vol. 61, No. 1, pp. 53-67. 

  13. Maeng, D.M., Jang, N.J., and Oh, J.H. (2010), Introduction of a Neighborhood Center by the Restructuring of the Central Place System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0), Urban Master Plan of Seoul for 2000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in Korean) 

  15.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7), 2011 Urban Master Plan of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in Korean)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6), 2020 Urban Master Plan of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in Korean)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09), Urban Planning of 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18. Wen, H. and Tao, Y. (2015), Polycentric urban structure and housing price in the transitional China: evidence from Hangzhou, Habitat International, Vol. 46, pp. 138-1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