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cisic acid(ABA) 및 fluridone의 처리가 'Hongro' 사과의 과피 착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bscisic Acid (ABA) and Fluridone on Red Coloration of 'Hongro' Apple Fruit Skins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4, 2016년, pp.240 - 248  

류수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권용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도경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정재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한현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한점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 호르몬의 일종인 ABA의 처리가 사과 과피의 착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착색이 시작되는 시기의 'Hongro' 사과에 abscisic acid (ABA)와 ABA의 생합성 저해제인 fluridone (FD)을 처리한 뒤 과피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ABA와 FD 처리에 의해 'Hongro' 사과의 착색이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피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hunter a값이 처리 7일 후까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실제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과피의 hunter a값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ABA나 FD의 처리가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ABA의 처리 직후 과피의 내생 ABA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처리 종료 시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FD 처리구의 과피 내 ABA함량은 처리 6시간 후부터 대조구보다 낮아지다가, 처리 4일 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ABA의 처리에 의해서 과피의 MdNCED2 (ABA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MdACO1 (ethlyene 생합성 유전자) 및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 중 MdCHS와 MdDFR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MdUFGT의 발현량은 ABA 처리에 의해서 변화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ogenous abscisic acid (ABA) on the red coloration and endogenous ABA contents of apple fruit skins. ABA and fluridone (an ABA synthetic inhibitor, FD) was sprayed on 'Hongro' apple fruit skins at 107 days after full bloom (DAFB). Visual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앞서 언급한 ABA를 과실에 처리했을 때 과실의 ethylene 함량이 뒤이어 증가하며 성숙이 촉진된다는 보고(Jiang 등, 2000; Jiang과 Joyce, 2003; Vendrell과 Buesa, 1989)와 저온 조건에서 과피의 안토시아닌 축적이 촉진된다는 보고(Chung과 Park, 1989)와 달랐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ABA 및 FD 처리구의 과피 ABA, ethylene 및 안토시아닌 생합성과 관련된 유전자 역시 차이가 없는 지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 따라서, 본 실험은 사과 과피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에 있어 ABA의 역할 및 안토시아닌 축적이 이루어지는 시기의 사과 과피 내 ABA함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착색이 시작되기 직전인 만개 후 107일경에 채취한 ‘Hongro’사과에 ABA와 그 생합성 저해제인 fluridone(FD)을 처리한 뒤, 시기별로 과피의 색, ABA의 함량 변화와 더불어 ABA, ethylene 및 안토시아닌의 생합성을 조절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bscisic acid란 무엇인가? Abscisic acid(ABA)는 총 15개의 탄소로 구성되어 있는 sesquiterpene의 일종이고, (S)-cis형으로 그 존재와 구조가 밝혀진 이래 약 50년간 연구되어 온 식물 호르몬으로(Cornforth 등, 1966; El-Antably 등, 1966), 식물체 내에서 종자 성숙, 휴면, 기공 반응 조절, 과실 성숙 등의 여러 대사과정을 조절하고 있다(Nambara와 Marine-Poll, 2005; Xiong과 Zhu, 2003).
동일 품종에서 상품성이 높은 과실은 착색이 잘된 과실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과실의 착색은 향기나 미각과 함께 과실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동일 품종에서 상품성이 높은 과실은 착색이 잘된 과실이라고 할 수 있다 (Yim, 2015). 안토시아닌은 사과의 주된 색소, 과실 성숙기간 중 과실의 물리적, 생화학적, 생리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발현되는데, 이러한 생리적 변화는 주로 식물호르몬에 의해서 조절된다(Chung과 Park, 1989).
Abscisic acid는 과일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ABA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과실의 안토시아닌 축적을 조절하여 과실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Gu 등, 2011; Kondo와 Inoue, 1997). 많은 과실이 성숙과정에서 과피의 색 변화를 겪는데, 안토시아닌을 주요 색소로 갖는 포도, 체리 등의 과실에서는 성숙기에 과피의 AB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안토시아닌의 축적이 증가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Sandhu 등, 2011; Tijero 등,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rry, C. and J.J. Giovannoni. 2007. Ethylene and fruit ripening. J. Pkant Growth Regul. 26(2):143-159. 

  2. Cantin, C.M., Fidelibus, M.W., and C.H. Crisosto. 2007. Application of abscisic acid (ABA) at veraison advanced red color development and maintained postharvest quality of 'Crimson Seedless' grapes. Postharvest Biol. Tech. 46(3):237-241. 

  3. Chung, P.S. and H.S. Park. 1989. Effects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anthocyanin development in the fruit skin of Malus domestica Borkh cv. Jonagold. Rural Development Review. 24:67-72. 

  4. Cornforth, J.W., Milborrow, B.V., and G. Ryback. 1966. Identification and estimation of (+)-abscisin II ('dormin') in plant extracts by spectropolarimetry. Nature 210(5036):627-628. 

  5. El-Antably, H.M.M., Wareing, P.F., and J. Hillman. 1966. Some physiological responses to D, L abscisin (dormin). Planta 73(1):74-90. 

  6. Gu, S., Jacobs, S., and G. Du. 2011. Efficacy, rate and timing of applications of abscisic acid to enhance fruit anthocyanin contents in 'Cabernet Sauvignon' grapes. J. Hortic. Sci. Biotech. 86(5):505-510. 

  7. Hunter, R.S. 1975. Scales for measurements of color differences. In Measurement of Appearance. Wiley-Interscience, NY, p.133. 

  8. Jaakola, L., Pirttila, A.M., Halonen, M., and A. Hohtola. 2001. Isolation of high quality RNA from bilberry (Vaccinium myrtillus L.) fruit. Mol. biotechnol. 19(2):201-203. 

  9. Jiang, Y. and D.C. Joyce. 2003. ABA effects on ethylene production, PAL activity, anthocyanin and phenolic contents of strawberry fruit. Plant Growth Regul. 39(2):171-174. 

  10. Jiang, Y., Joyce, D.C., and A.J. Macnish. 2000. Effects of abscisic acid on banana fruit ripening in regulation to the role of ethylene. J. Plant Growth Regul. 19(1):106-111. 

  11. Kim, S.H., Lee, J.R., Hong, S.T., Yoo, Y.K., An, G., and S.R. Kim. 2003. Molecular cloning and analysis of anthocyanin biosynthesis gene preferentially expressed in apple skin. Plant Sci. 165(2): 403-413. 

  12. Kondo, S. and K. Inoue. 1997. Abscisic acid (ABA) and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content during growth of 'Satohnishiki' cherry fruit, and the effect of ABA and ethephon application on fruit quality. J. Hortic. Sci. 72(2):221-227. 

  13. Kondo, S., Sugaya, S., Sugaya, S., Ninomiya, M., Kittikorn, M., Okawa, K., Ohara, H., Ueno, K., Todoroki, Y., Mizutani, M., and N. Hirai. 2012a. Dehydration tolerance in apple seedlings is affected by an inhibitor of ABA 8'-hydroxylase CYP707A. J. Plant Physiol. 169(3): 234-241. 

  14. Kondo, S., Tomiyama, H., Kittikorn, M., Okawa, K., Ohara, H., Yokoyama, M., Ifuku, O., Saito, T., Ban, Y., Tatsuki, M., Moriguchi, T., Murata, A., and N. Watanabe. 2012b. Ethylene production and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synthase and ACC oxidase gene expression in apple fruit are affected by 9,10-ketol-octadecadienoic acid (KODA). Postharvest Biol. Technol. 72: 20-26. 

  15. Lara, I. and M. Vendrell. 2000a. Changes in abscisic acid levels, ethylene biosynthesis, and protein patterns during fruit maturation of 'Granny Smith' apples. J. Amer. Soc. Hort. Sci. 125(2):183-189. 

  16. Lara, I. and M. Vendrell. 2000b. Development of ethylenesynthesizing capacity in preclimacteric apples: Interaction between abscisic acid and ethylene. J. Amer. Soc. Hort. Sci. 125(4):505-512. 

  17. Lara, I. and M. Vendrell. 2003. Cold-induced ethylene biosynthesis is differentially regulated in peel and pulp tissues of 'Granny Smith' apple fruit. Postharvest Biol. Tech. 29(2):109-119. 

  18. Lee, H.C. 1999.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fruit coloration and color enhancement in Malus Domestica Borkh., cv. Fuji. Ph. D. Diss., Seoul National University. p. 48-51. 

  19. Li, J., Zhu, H., and R. Yuan. 2010. Profiling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ethylene biosynthesis, ethylene perception, and cell wall degradation during fruit abscission and fruit ripening in apple. J. Amer. Soc. Hort. Sci. 135(5): 391-401. 

  20. Luo, H., Dai, S.J., Ren, J., Zhang, C.X., Ding, Y., Li, Z., Sun, Y., Ji, K., Wang, Y., Li, Q., Che, P., Duan, C., Wang, Y., and P. Leng. 2014. The role of ABA in the maturation and postharvest life of a nonclimacteric sweet cherry fruit. J. Plant Growth Regul. 33(2):373-383. 

  21. McGuire, R.G. 1992. Reporting of objective color measurements. HortScience 27(12):1254-1255. 

  22. Nambara, E. and A. Marion-Poll. 2005. Abscisic acid biosynthesis and catabolism. Annu. Rev. Plant Biol. 56:165-185. 

  23. Sandhu, A.K., Gray, D.J., Lu, J., and L. Gu. 2011. Effects of exogenous abscisic acid on antioxidant capacities, anthocyanins, and flavonol contents of muscadine grape (Vitis rotundifolia) skins. Food Chem. 126(3):982-988. 

  24. Shin, K.H. and H.S. Park. 2012. Fruit color improvement by ABA treatment and determination of harvesting time in 'Hongisul' grapes. Kor. J. Hort. Sci. Technol. 30(3):256-260. 

  25. Shin, Y.U. and M.J. Kim. 2010. Cultivar. p. 78-79 and 87. In: Y.J. Yim (ed.). Luxury strategy of apple. Semyung Press, Suwon, Korea. 

  26. Tijero, V., Teribia, N., Munoz, P., and S. Munne-Bosch. 2016. Implication of abscisic acid on ripening and quality in sweet cherries: Differential effects during pre- and post-harvest. Front. Plant Sci. 7:602. 

  27. Vendrell, M. and C. Buesa. 1989. Relationship between abscisic acid content and ripening of apples. Acta Hort. 258:389-396. 

  28. Xiong, L. and J.K. Zhu. 2003. Regulation of abscisic acid biosynthesis. Plant Physiol. 133(1):29-36. 

  29. Yim, Y.J., Jang, J.Y., and H.C. Lee. 2000. Effect of optically active ABA and its synthetic intermediate STC4771 on defoliation and fruit color in 'Fuji' apple. Hort. Environ. Biotechnol. 41(1):53-55. 

  30. Yim, Y.J. 2015. Fruit science general. 1st ed. Hyangmoonsha Press. Seoul. Korea. p. 206 and 212-214. 

  31. Zhang, M., Yuan, B., and P. Leng. 2009. The role of ABA in triggering ethylene biosynthesis and ripening of tomato fruit. J. Exp. Bot. 60(6):1579-1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