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색기 고온에 의한 포도 '거봉'의 과피 착색 및 내생 호르몬 변화
Skin Coloration and Endogenous Hormonal Changes of 'Kyoho' Grape by High Temperature at Veraison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8 no.3, 2019년, pp.234 - 242  

류수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조정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정재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이슬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한점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  김명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과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름철 고온에 의한 포도 '거봉'의 과피색 불량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고온에 따른 과피의 착색 및 식물호르몬 ABA와 GA의 함량 및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변색기부터 10일 동안의 고온에 의해 '거봉' 포도의 과피색 불량이 나타났으며, 착색을 제외한 나머지 과실품질에는 영향이 없었다. 과피의 총 안토시아닌이 고온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안토시아니딘 그룹별로는 malvidin과 peonidin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과피의 식물호르몬 ABA와 GA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ABA는 고온에 의해 감소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GA는 고온 처리 종료 10일 후부터 대조구의 약 2배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ABA/GA의 비율이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시기별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초기 생합성 유전자는 고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가장 마지막 단계를 조절하는 UFGT의 발현이 고온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ABA와 GA의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고온에 의해 ABA의 생합성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GA의 생합성을 유도하는 GA20ox1의 발현이 증가하고 불활성화에 관여하는 GA2ox1/2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변색 초기의 고온으로 인한 '거봉' 포도의 과피색 불량은 과피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이었고,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ABA의 절대적인 함량 보다는 ABA와 GA의 비율로서 조절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the anthocyanin accumulation, abscisic acid (ABA), gibberellic acid (GA) contents and metabolic genes expression in berry skins under high temperature (High T) at verais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bad coloration of 'Kyoho' grape due to High T in summer season. The color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BA 및 GA1의 함량은 ng·g-1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3반복으로 분석하였다.
  • GA1은 50% MeOH 을 추출 용매로 활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인 d2-GA1을 4ng씩 첨가시켜 4°C 암조건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 처리 직후에는 오히려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 종료 10일 후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GA는 전체 활성형 GA 중에서 포도 과실에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GA1을 분석하였다(Ryu, unpublished data). 고온처리 종료 10일 후부터 과피의 GA함량이 대조구의 약 2배로 증가하였으며, 30일 후 다시 대조구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 4). GA에 대해서는 생합성을 유도하는 GA20ox1/2와 불활성화를 조절하는 GA2ox1/2의 시기별 발현을 분석하였다(Fig. 5). 실험 결과, 고온 처리와 동시에 GA20ox1의 발현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처리 종료 10일 후까지 높게 유지되었다.
  • qRT-PCR은 LightCycler® 480 Real-time PCR System(Roche Diagnostics, Mannheim, Germany)으로 수행하였고, reaction mixture는 TB GreenTM premix Ex TaqTM (Takar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 고온 처리구는 7월 16일(변색기, 전체 송이의 10%가 착색)부터 7월 25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6°C 높은 온도를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완주 지역의 30년 평균 기온을 시간 별로 적용하였다.
  • 고온에 의해 과피의 호르몬 농도가 변화했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기별 ABA 및 GA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ABA의 생합성, 분해를 조절하는 NCED1, ABA8’OH2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고온에 의해 두 유전자의 발현이 모두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지 않았다(Fig.
  • 고온에 의해 착색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정지된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과피의 식물 호르몬 ABA와 GA의 함량을 분석하였다(Fig. 2). 과피의 ABA 함량은 변색기(만개 후 52일) 근처에 높게 유지되었다가 만개 후 92일을 기준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온에 의해 감소하지 않았다.
  • 고온이 안토시아닌 합성의 어느 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해 시기별 안토시아닌 생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Fig. 3). 안토시아닌 생합성을 조절하는 초기 생합성 유전자(Early biosynthetic genes, EBG) 중에서 과피의 착색과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발현이 조절된다고 알려진 CHS3, F3H1과 후기 생합성 유전자 (Late biosynthetic genes, LBG) 중에서 DFR, UFGT의 발현을 분석하였다(Azuma 등, 2012).
  • 과실의 품질은 10월 4일에 일괄 수확하여 과방중, 과립수를 조사하였고, 송이 당 10개의 과립을 선정하여 양쪽 적도면을 대상으로 색차계(CR-300, Minolta,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색차값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과즙을 착즙하여 굴절 당도계(PR-101, Atago, Tokyo, Japan)로 당도를 측정하고 적정 산도(0.
  • 내부표준물질과 endogenous peak 면적의 비율을 기본으로 정량이 이루어졌으며, ABA는 263→153m/z, d6-ABA는 269→159m/z, GA1은 347.1→303.1m/z, d2-GA1은 349.2→305.2m/z를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조건으로 각각 설정하여 정량하였다.
  • 과실의 품질은 10월 4일에 일괄 수확하여 과방중, 과립수를 조사하였고, 송이 당 10개의 과립을 선정하여 양쪽 적도면을 대상으로 색차계(CR-300, Minolta, Osaka, Japan)를 이용하여 색차값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과즙을 착즙하여 굴절 당도계(PR-101, Atago, Tokyo, Japan)로 당도를 측정하고 적정 산도(0.1N NaOH, pH 8.1)를 조사한 후 주석산으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시기별 과피색의 변화는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거봉’의 성숙기 판정용 칼라차트(Park 등, 2004)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색 초기의 고온에 의한 ‘거봉’ 포도의 착색을 분석하고, 착색 정지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시기별로 ABA, gibberellic acid(GA) 농도 및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함께 분석하였다.
  • 고온 처리구는 7월 16일(변색기, 전체 송이의 10%가 착색)부터 7월 25일까지 대조구에 비해 6°C 높은 온도를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완주 지역의 30년 평균 기온을 시간 별로 적용하였다. 시험구당 6주씩 처리하였고, 한 주당 4-5송이(송이당 성엽 14매 이상 확보)의 포도를 착과시켜 과실 품질 및 물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온도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는 대조구와 고온구의 온도를 모두 완주지역 7, 8월의 30년 평균 기온으로 적용하여 착색의 진행을 관찰하였다.
  • 안토시아닌 분리에 이용한 컬럼은 YMC-Pack Pro C18 RS(250 × 4.6mm, 5mm, YMC, Japan)이며, 40°C에서 41 분 동안 분석하였다.
  • 여름철 고온에 의한 포도 ‘거봉’의 과피색 불량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고온에 따른 과피의 착색 및 식물호르몬 ABA와 GA의 함량 및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 시험구당 6주씩 처리하였고, 한 주당 4-5송이(송이당 성엽 14매 이상 확보)의 포도를 착과시켜 과실 품질 및 물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온도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는 대조구와 고온구의 온도를 모두 완주지역 7, 8월의 30년 평균 기온으로 적용하여 착색의 진행을 관찰하였다
  • 전라북도 완주군 국립원예특작과학원내의 유리온실에서 포트에 재식한 3년생 ‘거봉’ 나무를 대상으로 변색기 고온 처리구와 정상구의 과피색 변화, 식물호르몬, 유전자발현 정도를 비교하였다.
  • GA1은 50% MeOH 을 추출 용매로 활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인 d2-GA1을 4ng씩 첨가시켜 4°C 암조건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매는 MeOH로 전처리된 sep-pak C18 카트리지에 통과시켜 40oC의 온도로 감압 농축시킨 뒤 MeOH에 재용해시켜 분석하였다. ABA 및 GA1의 함량은 ng·g-1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3반복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수확기 송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안토시아닌의 추출 및 분석은 Ryu 등(2018)의 방법을 활용하였고, HPLC(1100 Series, Hewlett-Packard, Germany)로 분리 및 정량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 모든 통계처리는 SigmaPlot 8.0 프로그램(SPSS Science, Chicago, USA)을 활용하여 t-test(independent sample)로 평균간의 유의성(P < 0.05)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과피의 ABA, GA 대사 관련 및 안토시아닌 생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은 RNA를 추출하여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q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RNA 추출 및 cDNA 합성 조건은 Ryu 등(2017)의 실험 방법을 이용하였다. qRT-PCR은 LightCycler® 480 Real-time PCR System(Roche Diagnostics, Mannheim, Germany)으로 수행하였고, reaction mixture는 TB GreenTM premix Ex TaqTM (Takar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 시기별 과피색의 변화는 농촌진흥청에서 제시한 ‘거봉’의 성숙기 판정용 칼라차트(Park 등, 2004)를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 식물 호르몬 중 ABA의 추출 및 정량분석은 Ryu 등(2016)의 실험 방법을 활용하였다. GA1은 50% MeOH 을 추출 용매로 활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인 d2-GA1을 4ng씩 첨가시켜 4°C 암조건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 ABA 및 GA1의 함량은 ng·g-1의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3반복으로 분석하였다. 식물 호르몬의 분석을 위한 HPLC 기기 조건은 Ryu 등(2016)의 실험 방법과 동일하였고, 정량분석은 ion trap MS detector(Finnigan LXQ, Thermoelectron, Marietta, USA)가 부착된 HPLC(Nanospace SI-2, Shiseido, Japan)를 이용하였다. 내부표준물질과 endogenous peak 면적의 비율을 기본으로 정량이 이루어졌으며, ABA는 263→153m/z, d6-ABA는 269→159m/z, GA1은 347.
  • 과피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수확기 송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안토시아닌의 추출 및 분석은 Ryu 등(2018)의 방법을 활용하였고, HPLC(1100 Series, Hewlett-Packard, Germany)로 분리 및 정량 분석하였다. 안토시아닌 분리에 이용한 컬럼은 YMC-Pack Pro C18 RS(250 ×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BA는 무엇인가? 포도의 착색을 증진시키기위해 환상박피, 토양수분 조절, 적엽 등의 재배적인 조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지만(Castellarin 등, 2007; Koshita 등, 2011; Lemut 등, 2011), 과방에 식물 호르몬 abscisic acid(ABA)를 살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Jeong 등, 2004; Cantin 등, 2007). 실제로 ABA는 포도의 성숙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식물 호르몬으로(Pilati 등, 2017), 과피에서 변색기를 기준으로 함량이 증가하며(Wheeler 등, 2009), 과방에 ABA를 직접 살포시 안토시아닌 생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착색을 증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Jeong 등, 2004). 
포도의 품질은 어떤 요인들에 의해 판단되는가? 포도의 품질은 맛, 크기, 색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판단되며, 그 중에서 과피색은 소비자가 품질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포도의 과피색은 안토시아닌이라는 색소의 종류 및 농도로 결정되며, 품종 고유의 안토시아닌 조성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Castellarin과 Gaspero, 2007).
ABA와 GA의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떠한가? ABA와 GA의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을 분석한 결과, 고온에 의해 ABA의 생합성이 영향을 받지 않았고, GA의 생합성을 유도하는 GA20ox1의 발현이 증가하고 불활성화에 관여하는 GA2ox1/2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변색 초기의 고온으로 인한 '거봉' 포도의 과피색 불량은 과피의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이었고, 안토시아닌 생합성이 ABA의 절대적인 함량 보다는 ABA와 GA의 비율로서 조절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zuma, Akifumi, Yakushiji, Hiroshi, Koshita, Yoshiko, Kobayashi, Shozo. Flavonoid biosynthesis-related genes in grape skin are differentially regulated by temperature and light conditions. Planta, vol.236, no.4, 1067-1080.

  2. Cantin, C.M., Fidelibus, M.W., Crisosto, C.H.. Application of abscisic acid (ABA) at veraison advanced red color development and maintained postharvest quality of 'Crimson Seedless' grape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vol.46, no.3, 237-241.

  3. Carbonell-Bejerano, Pablo, Santa María, Eva, Torres-Pérez, Rafael, Royo, Carolina, Lijavetzky, Diego, Bravo, Gema, Aguirreolea, Jone, Sánchez-Díaz, Manuel, Antolín, M. Carmen, Martínez-Zapater, José M.. Thermotolerance Responses in Ripening Berries of Vitis vinifera L. cv Muscat Hamburg. Plant & cell physiology, vol.54, no.7, 1200-1216.

  4. Castellarin, Simone D, Di Gaspero, Gabriele. Transcriptional control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extreme phenotypes for berry pigmentation of naturally occurring grapevines. BMC plant biology, vol.7, 46-46.

  5. Castellarin, Simone D., Matthews, Mark A., Di Gaspero, Gabriele, Gambetta, Gregory A.. Water deficits accelerate ripening and induce changes in gene expression regulating flavonoid biosynthesis in grape berries. Planta, vol.227, no.1, 101-112.

  6. Das, Prasanta Kumar, Shin, Dong Ho, Choi, Sang-Bong, Park, Youn-Il. Sugar-Hormone Cross-Talk in Anthocyanin Biosynthesis. Molecules and cells, vol.34, no.6, 501-508.

  7. Fortes, Ana Margarida, Teixeira, Rita Teresa, Agudelo-Romero, Patricia. Complex Interplay of Hormonal Signals during Grape Berry Ripening.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vol.20, no.5, 9326-9343.

  8. He, Fei, Mu, Lin, Yan, Guo-Liang, Liang, Na-Na, Pan, Qiu-Hong, Wang, Jun, Reeves, Malcolm J., Duan, Chang-Qing. Biosynthesis of Anthocyanins and Their Regulation in Colored Grapes.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vol.15, no.12, 9057-9091.

  9. Jeong, S.T., Goto-Yamamoto, N., Kobayashi, S., Esaka, M.. Effects of plant hormones and shading on the accumulation of anthocyanins and the expression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grape berry skins. Plant science, vol.167, no.2, 247-252.

  10. Koshita, Yoshiko, Yamane, Takayoshi, Yakushiji, Hiroshi, Azuma, Akifumi, Mitani, Nobuhito. Regulation of skin color in ‘Aki Queen’ grapes: Interactive effects of temperature, girdling, and leaf shading treatments on coloration and total soluble solids. Scientia horticulturae, vol.129, no.1, 98-101.

  11. Sternad Lemut, M., Trost, K., Sivilotti, P., Vrhovsek, U.. Pinot Noir grape colour related phenolics as affected by leaf removal treatments in the Vipava Valley.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International Network of Food Data Systems, vol.24, no.6, 777-784.

  12. Li, Yuan, Ma, Ruijing, Xu, Zhenzhen, Wang, Junhan, Chen, Tong, Chen, Fang, Wang, Zhengfu.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anthocyanins in Kyoho grape juice‐making pomace, Cabernet Sauvignon grape winemaking pomace and their fresh skin.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vol.93, no.6, 1404-1411.

  13. Loreti, Elena, Povero, Giovanni, Novi, Giacomo, Solfanelli, Cinzia, Alpi, Amedeo, Perata, Pierdomenico. Gibberellins, jasmonate and abscisic acid modulate the sucrose‐induced expression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Arabidopsis. The New phytologist, vol.179, no.4, 1004-1016.

  14. MORI, Kentaro, SUGAYA, Sumiko, GEMMA, Hiroshi. Regulatory Mechanism of Anthocyanin Biosynthesis in 'Kyoho' Grape Berries Grown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生物環境調節 = Environment control in biology, vol.42, no.1, 21-30.

  15. Pastore, Chiara, Dal Santo, Silvia, Zenoni, Sara, Movahed, Nushin, Allegro, Gianluca, Valentini, Gabriele, Filippetti, Ilaria, Tornielli, Giovanni Battista. Whole Plant Temperature Manipulation Affects Flavonoid Metabolism and the Transcriptome of Grapevine Berries. Frontiers in plant science, vol.8, 929-.

  16. Pilati, Stefania, Bagagli, Giorgia, Sonego, Paolo, Moretto, Marco, Brazzale, Daniele, Castorina, Giulia, Simoni, Laura, Tonelli, Chiara, Guella, Graziano, Engelen, Kristof, Galbiati, Massimo, Moser, Claudio. Abscisic Acid Is a Major Regulator of Grape Berry Ripening Onset: New Insights into ABA Signaling Network. Frontiers in plant science, vol.8, 1093-.

  17. de Rosas, Inés, Ponce, María Teresa, Malovini, Emiliano, Deis, Leonor, Cavagnaro, Bruno, Cavagnaro, Pablo. Loss of anthocyanins and modification of the anthocyanin profiles in grape berries of Malbec and Bonarda grow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Plant science, vol.258, 137-145.

  18. 류수현, 권용희, 도경란, 정재훈, 한현희, 한점화. Abscisic acid(ABA) 및 fluridone의 처리가 'Hongro' 사과의 과피 착색에 미치는 영향.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ol.25, no.4, 240-248.

  19. Ryu, Suhyun, Han, Hyun-Hee, Jeong, Jae Hoon, Kwon, Yong Hee, Han, Jeom Hwa, Do, Gyung Ran, Choi, In-Myung, Lee, Hee Jae. Night temperatures affect fruit coloration and expressions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in ‘Hongro’ apple fruit skins. Europ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vol.82, no.5, 232-238.

  20. 류수현, 한점화, 한현희, 정재훈, 조정건, 도경란. 변색기 고온에 의한 '거봉' 및 '흑보석' 포도의 과피 안토시아닌 조성 변화.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ol.27, no.3, 213-221.

  21. Shinomiya, R., Fujishima, H., Muramoto, K., Shiraishi, M.. Impact of temperature and sunlight on the skin coloration of the 'Kyoho' table grape. Scientia horticulturae, vol.193, 77-83.

  22. Weiss, David, Ori, Naomi. Mechanisms of Cross Talk between Gibberellin and Other Hormones. Plant physiology, vol.144, no.3, 1240-1246.

  23. WHEELER, S., LOVEYS, B., FORD, C., DAVIES, C..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of abscisic acid biosynthesis genes, accumulation of abscisic acid and the promotion ofVitis viniferaL. berry ripening by abscisic acid. Australian journal of grape and wine research, vol.15, no.3, 195-2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