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빙 중심 친환경 건축인증을 위한 연구 - 웰빙항목 도입을 위한 전문가 AHP 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well-being-centr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 Focused on AHP Analysis of Expert Survey in order to introduce well-being criteria - 원문보기

KIEAE journal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16 no.6, 2016년, pp.29 - 38  

남혜령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 ,  이병연 (Dept. of Architecture, Chungbuk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existing energy physical efficiency-centric system to the well-being-centr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Method: In order to modify existing G-SEED Cer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의학전문가들을 통해 도출한 WELL 인증항목의 우선순위를 통해 국내 친환경 건축인증제도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우선적으로 도입해야 할 웰빙항목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웰빙 중심 친환경 건축인증제로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흐름은 아래 [Table 1]와 같다.
  • 본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 인증제도인 녹색건축 인증제도 (G-SEED)에 웰빙항목을 도입하여 기존의 에너지·물리적 성능 중심의 제도에서 웰빙 중심 친환경건축 인증제도로의 발전을 위해서 차세대 인증제 중 WELL인증을 G-SEED와 중점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 인증제의 웰빙 관련 강화 추세에 따라 G-SEED의 웰빙 중심 친환경건축 인증제로의 발전을 위해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진행하였으며 AHP 분석 결과와 중요도에 따른 웰빙 지표 도입대안은 향후 G-SEED의 평가내용 및 인증제의 전략 개선방향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건강과 웰빙 증진에 목표를 둔 최초의 빌딩 기준인 WELL의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인증제도에 우선적으로 도입해야할 웰빙항목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도입방안을 제시하여 웰빙 중심 친환경 건축인증제로의 발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내용과 관련된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 관련 연구와 건강주거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Table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이용우 외,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II)", 국토연구원, 2012 // (Yong-woo Lee, "Future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rorial development(II)", KRIHS, 2012) 

  2. 박지영, 조성익, "차세대 친환경 건축 인증제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특성 연구-LBC(Living Building Challenge)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제 19권 제3호, 2012 // (Ji-young Park, Sung-ik Cho,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cused on LBC(Living Building Challenge" Journal of The Sociali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Korea, 2012, Vol.19, No. 3) 

  3. 이용우 외,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 I ), 국토연구원, 2012 // (Yong-woo Lee, "Future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national terrirorial development( I )", KRIHS, 2012) 

  4. 환경부 외,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15-2019), 2015 // (Ministry of Environment et al.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plan(2015-2019)", 2015) 

  5. 김선숙, "국내외 실내공기질 관련 인증제도 비교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2, no. 3, vol. 6 // (Sun-sook Kim,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Indoor Air Quality Certification Systems", Journal of KIAEBS, 2012, no. 3, vol. 6) 

  6. 두산백과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2578&cid40942&categoryId32182) // (doopedia) 

  7. 송근원, 이영, "AHP의 일관성 향상을 위한 척도 재구성", 사회과학연구, 2013, no. 2, vol. 29 // (Keun-won Song, Young Lee, "Re-scaling for Improving the Consistency of the AHP Method",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3, no. 2, vol. 29) 

  8. 국토교통부, "녹색건축 인증기준", 개정 2016.06, 시행 2016.09 //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revision 2016.06, enforcement 2016.09) 

  9. DELOS, Living LLC, "WELL Building Standard", 2015, v1 

  10. International Living Future Institute, "Living Building Challenge", 2014, v3 

  11. 이선민, 이연숙, "거주자요구에 기반한 건강주택 계획요소에 관한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 no. 6, vol. 8 // (Sun-min Lee, Yeun-sook Lee, "Health Friendly House Planning Elements Demanded by Consumers", Journal of the KIEAE, 2008, no. 6, vol. 8) 

  12. 김건영 외, "건강주택의 개념을 적용한 국내외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평가항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8, no. 2, vol. 8 // (Gun-Young Kim et al.,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ndicators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on the Basis of Healthy Housing", Journal of the KIEAE, 2008, no. 2, vol. 8) 

  13. 조성희, 강나나,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011, no. 1, vol. 22 // (Sung-Heui Cho, Na-na Kang,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Healthy Housing Quality of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1, no. 1, vol. 22) 

  14. 손영선, 이재훈, "건강주거 위해요인 및 계획요소 연구 - 국내 건강주거 관련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 2012, no. 1, vol. 24 // (Young-Sun Sohn, Jae-Hoon Lee, "Study on the health residence harming elements and plan elements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residence related study analysis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12, no. 1, vol. 24) 

  15. 임은애 외,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원예치료 평가지표 구성요소 개발", 원예과학기술지, 2012 // (Eun-Ae Im et al., "Development of Elements of Horticultural Therapy Evaluation Indices (HTEI) through Delphi Method",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12) 

  16. 이화룡, 조창희, "학교건축의 디자인 품질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델파이 설문조사 및 AHP기법을 통한 기초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012, no. 5, vol. 28 // (Hwa-Ryong Lee, Chang-Hee Cho, "A Study on Developing the Design Quality Indicators(DQI) for School Building - Using Delphi Survey Method and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AHP)-",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2, no. 5, vol. 28) 

  17. 최여진,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녹색건축 인증제도 평가항목의 중요도 분석 - 공동주택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no. 6, vol. 13 // (Yeo-Jin Choi, "Analyzing Weights of Certification Assessment Criteria on the G-SEED System Using the AHP Method -Focused on Certification Standards for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the KIEAE, no. 6, vol. 13) 

  18. 윤요선, 류수훈,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녹색건축 인증제의 개선방향 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3, no. 5, vol. 13 // (Yo-Sun Yun, Soo-Hoon Ryu,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SE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 Based on Apartment Houses", Journal of the KIEAE, no. 5, vol. 13) 

  19. 이성옥 외,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등급 인증을 위한 평가점수 산출방법 비교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 2013, no. 11, vol. 29 // (Sung-Ok Lee et al., "A Study on Score Calculation Method for Certification Grade of G-SEED(Korea) & Worl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2013, no. 11, vol. 29) 

  20. 장현숙, 이상호, "G-SEED 평가항목별 중요도 및 문제점 비교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14, no. 1, vol. 14 // (Hyun-Sook Jang, Sang-Ho Lee, "A Comparison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roblems of Assessment Items of the G-SEED System", Journal of the KIEAE 2014, no. 1, vol. 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