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방언 단모음의 소리 변화와 음향 단서 연구: 단일지점 포먼트와 궤적 양상
Static and dynamic spectral properties of the monophthong vowels in Seoul Korean: Implication on sound change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4, 2016년, pp.39 - 47  

강지은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공은정 (한국항공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acoustic studies in the past decade documented a raised /o/ by showing their lowered first formants (F1) almost overlapped with those of high back vowel /u/, no consensus has been made in terms of how this /o/-raising affects the vowels as a system in Seoul Korean. The current study aimed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본 연구는 모음 포먼트의 단일지점과 궤적양상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개인별 포먼트 실현 양상이 화자의 연령과 성별 요인으로 설명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소리음 범주가 음성/음운적 소리 변화를 겪을 때 언어 공동체내에는 음성적 특성 측면의 공시적 변이가 존재하며, 이러한 변이는 공동체 구성원의 성별과 연령 등에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e.
  • 모음 연구의 분석 방법론 측면에서 언급할 만한 본 논문의 시도는 모음 중간 지점에서의 포먼트 값과 더불어, 모음 지속 시간동안 포먼트의 이동 궤적을 살펴봄으로서 모음의 대조성을 실현하는 음향 특성의 역동적 양상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했다는 것이다. 서울코퍼스의 모음 /ㅗ, ㅜ/의 포먼트 값은 화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는 존재하지만 전반적으로 모음 중간지점의 포먼트 측정값이 겹치는 양상이 있었다.
  • 본 논문은 서울 화자의 자연발화 코퍼스인 서울코퍼스에 나타난 모음의 실현양상을 살펴보고 화자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모음의 상대적 음향 특성이 다르게 실현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서 측정한 비전설모음의 중간 지점의 F1, F2의 상대적 거리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서울 방언 자연발화에서 화자의 연령별, 성별에 따른 한국어 단모음 실현 양상을 음향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서울 방언 단모음의 음성학 연구는 공통적으로 모음 /ㅗ/의 제1포먼트(First Formant: F1)가 낮아져 후설고모음 /ㅜ/의 제1포먼트와 제2포먼트(Second Formant: F2)값이 유사해지는 음향특성을 보고하고 있다.
  • 다만, 이러한 모음/ㅗ/의 음향 특성 변화가 모음체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데 있어 (1) 모음 /ㅗ/ 와 /ㅜ/의 모음공간(vowel space)상의 근접 현상으로 보거나(proximity or merger: 성철재, 2004; 문승재, 2007; 한정임 & 강현숙, 2013; 한정임 외, 2013; 장혜진 외, 2015), (2) /ㅣ/와 /ㅔ(ㅐ)/를 제외한 비전설 모음 /ㅜㅗ, ㅜ, ㅡ/ 전반에 걸친 연쇄적 이동(shift-like chain)으로 설명하는 등(조성문, 2003; Kang, 2014; 이주희 외, 2016) 소리 변화의 궁극적인 방향성에 대한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발화 데이터 베이스인 서울 코퍼스(Yun et al., 2015)를 이용하여 성별과 연령을 달리하는 서울 화자의 단모음의 포먼트 실현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서울방언에서 관찰되는 모음 /ㅗ/의 소리 변화가 모음 체계의 실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정하고자 한다.
  • 이렇게 음향 분석을 통해 얻은 포먼트값으로 (1) 모음 중간 포먼트값(V-mid)의 분포와 (2) 모음시작부터 중간 값까지의 포먼트 궤적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자음의 조음특성이 모음 포먼트 값을 측정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궤적 양상을 기술하는데 있어 ‘t0’지점의 추출값을 제외하였다.
  • 살펴본 바와 같이, 모음 안정구간의 포먼트를 분석한 기존 연구는 모음 /ㅗ, ㅜ/의 상대적 위치와 관련하여 /ㅗ/ 의 F1값이 상승하고 있다는 공통된 소리 변화에 대한 결과가 일치하는 반면, 모음 /ㅗ/의 소리 변화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서울말 모음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합류 혹은 사슬 이동으로 바라보는 등 다른 소리변화 방향에 대한 공통된 의견을 보이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현재진행중인 소리변화 대상인 단모음 /ㅗ/의 상승조음이 모음체계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성격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자연발화 코퍼스를 이용한 개별 발화자의 모음 음향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모음의 포먼트 분석을 위하여 먼저 서울코퍼스에서 배포한 화자별 Textgrid정보 중 phoneme계층(tier)을 이용하여 모음의 시작과 끝을 파악하였다. 측정지점을 모음 시작지점에서 중간지점까지로 지정하여 조음 목표지점까지의 포먼트 이동양상을 살펴보고자하였다. 포먼트 추출은 분절 모음의 시작지점과 중간지점을 4등분하여 생기는 다섯 개의 지점(t0, t1, t2, t3, t4(V-mid))에서 제1포먼트와 제2포먼트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방언의 /ㅗ/ 모음 변화는 어떠했는가? 서울방언의 /ㅗ/ 모음 변화: 2000년대 이전의 연구에서는 전설모음 /ㅔ/ㅡ/ㅐ/를 제외한 한국어 단모음 /ㅏ, ㅓ, ㅗ, ㅜ, ㅡ, ㅣ/의 포먼트 값은 모음 음향 공간에서 분명하게 구분되었다(이현복 & 지민제, 1983; 정일진, 1997; Yang, 1996). 예를 들어, Yang(1996)에서 측정한 20대 남여 화자의 모음 /ㅗ, ㅜ/ 의 포먼트값은 모음 공간에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였으며 두 모음은 F1값의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두 모음의 변화양상에서 포먼트 값을 살펴보면 어떤 특징점들을 발견할 수 있는가? 위 두 연구의 후속 연구인 한정임 외(2013)에서는 편지글 낭독체에서 발췌한 비어두위치의모음 /ㅗ, ㅜ/는 모음공간에서 근접하였고, 이 현상은 여성화자뿐만 아니라 남성화자의 발화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두 모음의 포먼트 값을 살펴보면, 우선 F1 값의 경우, 남녀 20 대, 40-50 대 화자의 모음 /ㅗ, ㅜ/의 F1 값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아, 두 모음의 고저의 차이가 사라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F2 값의 경우, 남녀화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두 모음의 전/후의 차이는 존재하였다. 서울말 단모음 /ㅗ, ㅜ/의 포먼트 음향특성이 변별성을 잃고, 이러한 현상이 여성에게 뚜렷한 점으로 미루어 Han & Kang(2013)은 단모음 /ㅗ, ㅜ/가 합류(merger)하는 방향으로 소리변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논의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한국인 표준 음성 DB’의 낭독체 발화 자료를 활용한 장혜진 외(2015)는 서울 방언 60 대 이하 화자가 발화한 모음 /ㅗ, ㅜ/가 모음공간에서 가깝게 위치하였고, 두 모음의 F1, F2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최근 서울 방언 단모음의 음성학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 방언 자연발화에서 화자의 연령별, 성별에 따른 한국어 단모음 실현 양상을 음향적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서울 방언 단모음의 음성학 연구는 공통적으로 모음 /ㅗ/의 제1포먼트(First Formant: F1)가 낮아져 후설고모음 /ㅜ/의 제1포먼트와 제2포먼트(Second Formant: F2)값이 유사해지는 음향특성을 보고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모음/ㅗ/의 음향 특성 변화가 모음체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데 있어 (1) 모음 /ㅗ/ 와 /ㅜ/의 모음공간(vowel space)상의 근접 현상으로 보거나(proximity or merger: 성철재, 2004; 문승재, 2007; 한정임 & 강현숙, 2013; 한정임 외, 2013; 장혜진 외, 2015), (2) /ㅣ/와 /ㅔ(ㅐ)/를 제외한 비전설 모음 /ㅜㅗ, ㅜ, ㅡ/ 전반에 걸친 연쇄적 이동(shift-like chain)으로 설명하는 등(조성문, 2003; Kang, 2014; 이주희 외, 2016) 소리 변화의 궁극적인 방향성에 대한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ddor, P. S. (2009). A coarticulatory path to sound change. Language, 85(4), 785-821. 

  2. Boersma, P., & Weenink, D. (2016).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Computer program]. Retrieved from http://www.praat.org/ on July 1, 2016. 

  3. Cho, S. (2003). An acoustic study of Korean vowel system.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4, 427-441. (조성문 (2003). 현대 국어의 모음 체계에 대한 음향음성학적인 연구. 한국언어문화, 24, 427-441.) 

  4. Chung, H., Kong, E., & Weismer, G. (2010). Vowel formant trajectory patterns for shared vowels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4), 67-74. 

  5. Chung, I. (1997). Generational differences of monophthongs in the standard Korean: Experimental approach, Malsori, 33, 111-125. (정일진 (1997). 표준어 단순 모음의 세대 간 차이에 대한 실험 음성학적 분석 연구. 말소리, 33, 111-125.) 

  6. Haddican, B., Foulkes, P., Hughes, V., & Richards, H. (2013). Interaction of social and linguistic constraints on two vowel changes in northern England.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25(03), 371-403. 

  7. Han, J., & Kang, H.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 Proximity in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25-31. 

  8. Han, J., Kang, H., & Kim, J. (2013). Cross-generational differences of /o/ and /u/ in informal text reading.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4), 201-207. (한정임.강현숙.김주연 (2013).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 간 차이. 말소리와 음성과학, 5(4), 201-207.) 

  9. Harrington, J., & Stevens, M. (2014). Editors' introduction: Cognitive processing as a bridge between phonetic and social models of sound change. Laboratory Phonology, 5, 1-8. 

  10. Hillenbrand, J., Getty, L. A., Clark, M. J., & Wheeler, K. (1995).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merican English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97(5, Pt. 1), 3099-3111. 

  11. Igeta, T., Sonu, M., & Arai, T. (2014). Sound change of /o/ in modern Seoul Korean : Focused on relations with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3), 109-119. 

  12. Jang, H., Shin, J., & Nam, H. (2015). Aspects of vowels by ages in Seoul dialect.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21(2), 341-358. (장혜진.신지영.남호성 (2015). 서울 방언 단모음의 연령별 실현 양상.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21(2), 341-358.) 

  13. Kang, H., & Han, J. (2013). Cross-generational change of o and u in Seoul Korean II: Spectral interactions in normalized vowel spac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2), 33-41. 

  14. Kang, Y. (2014). A corpus-based study of positional variation in Seoul Korean vowels. Japanese/Korean Linguistics, 23, 1-20. 

  15. Labov, W. (1990). The intersection of sex and social class in the course of linguistic change.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2, 205-254. 

  16. Lee, H., & Zhi, M. J. (1983). A spectrographical study of Korean vowels. Malsori, 6, 4-12. 

  17. Lee, J., Yoon, K., & Byun, K. (2016). A study of vowel shift in Seoul Korean.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31(4), 979-998. (이주희.윤규철.변군혁 (2016). 서울 방언의 단모음 변화 연구: 중세부터 현대까지. 한국현대언어학회, 31(4), 979-998.) 

  18. McCloy, D. R. (2015). phonR: Tools for phoneticians and phonologists. R package version 1.0-3. 

  19. Moon, S. (2007). A fundamental phonetic investigation of Korean monophthongs. Malsori, 62, 1-17. (문승재 (2007). 한국어 단모음의 음성학적 기반연구. 말소리, 62, 1-17.) 

  20. Nearey, T. M. (2013). Vowel inherent spectral change in the vowels of North American English. In G. S. Morrison & P. F. Assmann (Eds.), Vowel inherent spectral change (pp. 49-85). Berlin Heidelberg: Springer-Verlag. 

  21. Peterson, G. E., & Barney, H. L. (1952). Control methods used in a study of the vowel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4, 175-184. 

  22. Seong, C. (2004). An acoustic analysis on the Korean 8 monophthong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3(6), 454-461. (성철재 (2004). 한국어 단모음 8 개에 대한 음향분석. 한국음향학회지, 23(6), 454-461.) 

  23. Stevens, M., & Harrington, J. (2014). The individual and the actuation of sound change. Loquens, 1(1), e003. 

  24. Yang, B. (1996).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English and Korean vowels produced by male and female speakers. Journal of Phonetics, 24, 245-261. 

  25. Yun, J., & Seong, C. (2013). Effect of F1/F2 manipulation on the perception of Korean vowels /o/ and /u/.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5(3), 39-46. (윤지현.성철재 (2013). F1/F2 의 변화가 한국어 /오/, /우/ 모음의 지각판별에 미치는 영향. 말소리와 음성과학, 5(3), 39-46.) 

  26. Yun, W., Yoon, K., Park, S., Lee, J., Cho, S., Kang, D., Byun, K., Hahn, H., & Kim, J. (2015).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103-1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