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 2-4세 한국 아동의 단모음과 이중모음 산출 특징
Characteristics of 2 to 4 year old Korean children's production of monophthongs and diphthong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1, 2018년, pp.65 - 74  

송인미 (충남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성철재 (충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ge-specific features of 2;1- to 4;1-year -olds' production of monophthongs and diphthongs through both auditory perceptual analysis and acoustic analysis. Test material included {vowel+'da'} consisting of 7 monophthongs and 10 diphthongs and meaningful w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음이 자음에 비해 연구가 미미함을 알리는 증거는? 모음은 말소리 빈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말소리장애 진단 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지침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자음에 비해 연구가 미미하다. 모음은 자음 에 비해 방언에 따른 변화가 심하며, 정확한 위치에서 조음하지 않아도 오조음으로 인식되지 않고, 관용의 폭이 넓다. 조음음성학적 측면에서 자음은 협착의 위치, 닫힘 정도 또는 유형에 따라 특성을 정확히 기술할 수 있는 점에 반해, 모음은 혀, 턱, 입술의 위치에 의한 분석만을 제시하므로 객관성에서도 차이가 난다. 또한 연구 시 채점자 간 신뢰도가 낮은 것도 모음 발달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이유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박성지, 2008; 김민 정 외 2007; 박상희, 2011).
모음은 어디에 사용될 수 있는가? 모음은 말소리 빈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말소리장애 진단 시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지침 중 하나가 될 수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자음에 비해 연구가 미미하다. 모음은 자음 에 비해 방언에 따른 변화가 심하며, 정확한 위치에서 조음하지 않아도 오조음으로 인식되지 않고, 관용의 폭이 넓다.
분절음이란? 말소리는 크게 분절음과 초분절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분절음에 속하는 모음은 음운학적 측면에서 음을 나누는 중심적 단위가 된다. 음향학적 측면에서는 기류가 성도를 통해 나오면서 조음기관의 방해를 받지 않고 산출되는 소리로 정의된다(권도 하, 1998). 우리말 음절 구성의 최소 조건인 [+성절성]을 가진 모음이 음절 구성의 핵심적인 요소인 음절핵이 되며, 인접한 자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M., Kim, U., & Kim, T. (2004). The acquisition process of vowel system in Korea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5(1), 1-11. (안미리.김응모.김태경 (2004). 한국어 모음 체계 습득 과정. 인지과학, 15(1), 1-11.) 

  2. Heo, H., & Seong, C. (2015)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lveolar fricative /s/ as observed from 3-year-old and 7-year-old children with respect to the vowel environments. Journal of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72, 85-112. (허혜정.성철재 (2015). 한국어 치조마찰음 /ㅅ/의 모음 환경에 따른 음향 특성: 만 3세 아동과 만 7세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학, 72, 85-112.) 

  3. Kang, E. (2014). A comparison of perceptual-acoustic characteristics in preschool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s.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강은영 (2014). 학령전기 조음장애 아동의 청지각 음향학적 특성 비교.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Kent, R., Kent, J., Weismer, G., Martin, R., Sufit, R., Brooks, B., & Rosenbek, J. (1989). Relationships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the slope of second-formant transitions in dysarthric subjects.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3(4), 347-358. 

  5. Kim, H. (2012). Phoneme production in vowel context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김희영 (2012). 모음 환경에 따른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자음 산출능력.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Kim, M. (1997). A study of phonological processes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2(1), 1-15. (김민정 (1997). 기능적 조음장애 아동의 음운변동에 관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2(1), 1-15.) 

  7. Kim, M., Pae, S., & Park, C. (2007).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APAC). Incheon: Human Brain Research & Consulting. (김민정.배소영.박창일 (2007). 아동용발음평가(APAC). 인천: 휴브알앤씨.) 

  8. Kim, S., & Shin, J. (2007).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disorders. Seoul: Sigmapress. (김수진.신지영 (2007). 조음음운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9. Bernthal, J., Bankson, N., & Flipsen, P. (2012).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 (6th Edition). (Kim, Y., Sim, H., & Kim, S., Translation.) Seoul: Pakhaksa. (Bernthal, J., Bankson, N., Flipsen, P. (2012). 조음.음운장애(제6판) (김영태.심현섭.김수진 역). 서울: 박학사.) 

  10. Kim, Y., Weismer, G., Kent, R., & Duffy, J. (2009). Statistical models of F2 slope in relation to severity of dysarthria.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1(6), 329-335. 

  11. Kim, Y., & Shin, M. (2004).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Seoul: Hakjisa. (김영태.신문자 (2004). 우리말 조음음운 평가. 서울: 학지사.) 

  12. Kim, Y., Seong, T., & Lee, Y. (2003).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김영태.성태제.이윤경 (2003).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PRES).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3. Kwon, D. (1998). Acoustical analysis of 9 basic Korean vowel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7(2), 271-280. (권도하 (1998). 한국어 기본 모음의 음향학적 분석. 언어치료연구, 7(2), 271-280.) 

  14. Lam, J., & Tjaden, K. (2013). Acoustic-perceptual relationships in variants of clear speech.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65(3), 148-153. 

  15. Lee, H. (2012). F2 slopes of Korean diphthongs : Comparison between Parkinson's disease groups and normal groups. M.A. Thesis, Yonsei University. (이혜진 (2012). 이중모음에서의 제 2포먼트 기울기(F2 slope) : 파킨슨병 환자군과 정상군 간의 비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Na, N. (2003).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initial /s/(/ㅅ/), /c/(/ㅈ/), and /k/(/ㄱ/) in the vowel environments by children with profound hearing loss.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나니나 (2003). 모음환경에 따른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ㅅ/, /ㅈ/, /ㄱ/ 산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Park, A., & Lee, S. (2000). A study on the product ion of initial /s/ (/ㅅ/), / c/ (/ㅈ/ ), an d / l/ (/ㄹ/ ) in the vowel environment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5(2), 1-18. (박애경.이승환 (2000). 모음환경에 따른 초성 /ㅅ/, /ㅈ/ 및 /ㄹ/의 산출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5(2), 1-18.) 

  18. Park, S. (2011). A study on diphthong production characteristic of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0(3), 1-16. (박상희 (2011). 학령 전 아동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20(3), 1-16.) 

  19. Park, S. (2008). A validity study of formant analysis of vowel errors of children : focused on vowel /u/.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7(3), 117-131. (박성지 (2008). 아동 모음 오류의 포먼트 분석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u/ 모음을 중심으로. 언어치료연구, 17(3), 117-131.) 

  20. Rong, P., Loucks, T., Kim, H., & Hasegawa-Johnson, M. (2012). Relationship between kinematics, F2 slope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a due to cerebral palsy. Clinical Linguistics & Phonetics, 26(9), 806-822. 

  21. Seo, S., & Seong, C. (2015).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phthongs of children from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environment focusing on the F2 slope. Eoneohag, 72, 201-216. (서수진.성철재 (2015). 한국-베트남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중모음 음향 특성: F2 기울기를 중심으로. 언어학, 72, 201-216.) 

  22. Seong, C. (2005). A formant analysis of the Korean monophthongs of the college students speaking Chungnam dialect. Eoneohag, 43, 189-213. (성철재 (2005). 충남지역 대학생들의 한국어 단모음 포먼트 분석. 언어학, 43, 189-213.) 

  23. Shin, J. (2005). Phoneme frequency of 3 to 8-year-old Korean children. Korean Linguistics, 27, 163-200. (신지영 (2005). 3세-8세 아동의 자유발화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 말소리의 빈도 관련 정보. 한국어학, 27, 163-200.) 

  24. Weismer, G., Kent, D., Hodge, M., & Martin, R. (1988). The acoustic signature for intelligibility test word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4(4), 128-1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