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를 이용한 호감도 청취평가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y evaluation of good impression using speech manipulation scrip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8 no.4, 2016년, pp.131 - 138  

권순복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good impression using speech manipulation scripts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speech voice. Fourty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have been exposed to the Gyeongsang dialect spoken by their friend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를 이용한 호감도 청취평가를 통해 말소리 호감도 알아보고, 선호도가 높은 음성은 어떠한 특징적인 요소들에서 기인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를 이용한 음도, 강도, 말의 속도에 대한 호감도 청취평가에서 준언어적 구성 요소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준언어적 구성 요소인 음도, 강도, 말의 속도의 변화를 통해 말소리의 호감도를 알아보고, 말소리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에는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자는‘산책’ 문단 중 앞부분에 해당하는 문단의 음성을 사용한 음성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말소리 호감도 평가를 위해 청취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4단계(음도-많이 낮다(1단계), 조금 낮다(2 단계), 조금 높다(3단계), 많이 높다(4단계)로 구성된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로 만든 음도, 강도, 말의 속도에서 단계별로 차이를 가지는 음성을 들려주고 40명의 남·여 대학생들에게 가장 선호도가 높은 음성을 선택하게 하였다.
  • 호감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변인들로는 앞선 연구들에서 보고된 변인들에는 음도, 속도, 음질, 강도, 쉼, 억양, 공명 등 여러 가지 변인들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 변조 스크립트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음질, 억양, 공명 등에 대한 변조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없는 변인이어서 이를 제외하였고, Praat 스크립트를 적용 가능한 변인에 해당되는 음도, 강도, 말의 속도를 사용하여 말소리 호감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전적 의미에서 소통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 사회의 주요 화두는 소통이다. 사전적 의미에서 소통이란 의사소통(communication)과 함께 사용되는 단어로 ‘사람간의 의견이나 의사 따위가 서로 간에 잘 통함’을 의미한다. 즉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가장 필수적인 능력인 것이다.
음성적인 특징들로는 무엇이 있는가? 일상생활에서 우리 주변의 사람들을 설득하고 호소력 있는 언어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나름대로의 음성적인 특징들을 음성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하여 그때 상황이나 환경에 맞추어서 적절하게 조절하고 사용한다. 또한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말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각 개인 음성을 잘 나타내거나 성별을 구별 짓는 역할을 하는 음도(pitch)의 변화를 주거나, 소리의 강도(loudness)를 바꿔가면서 음성의 비언어적인 요소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의사소통에 관여하는 요소 중 음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은 무엇인가? 의사소통에 관여하는 요소들 중 음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들에는 발음, 말의 속도, 음성의 크기, 억양, 강세, 음도 등의 요소들을 나타내기도 하며(이도영, 2002), 이와 같은 음성은 인간의 미묘한 감정을 전달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어의 의미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기도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음성을 통해 수많은 감정을 표출할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쓰이게 되는 말은 인간의 복잡한 정신적 구조를 갖는 것으로 어떤 의미에서는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외모보다 음성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ronovitch, C. (1976). The voice of personality: Judgments and the relation to voice quality and sex of speaker.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9(2), 207-220. 

  2. Brandt. D. (1979). On liking social performance with social competence: Some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ve style and attributions of interpersonal effectivenes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5(3), 223-237. 

  3. Bruckert, L., Lienard, J. S., Lacroix, A., Kreutzer, M., & Leboucher, G. (2006). Women use voice parameters to assess men's characteristics. Proceedings of the 2006 Conference of the Biological Sciences (pp.83-89). 

  4. Buller, D., & Aune, R. (1988). The effects of vocalics and nonverbal sensitivity on compli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4, 301-332. 

  5. Collins, S., & Missing, C. (2003). Vocal and visual attractiveness are related in women. Animal Behaviour, 65(5), 997-998. 

  6. Ford, W., & Wolvin, A. (1993). The differential impact of a basic communication course on perceived communication competensies in class, work, and social context. Communication Education, 42, 215-223. 

  7. Jones, B., Feinberg, D., Debruine, L., Little, A., & Vukovic, J. (2008). Integrating cues of social interest and voice pitch in men's preferences for women's voices. Biology Letters, 2(4), 192-194. 

  8. Kim, M., & Na, E. (2005).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national assembly candidates' broadcasted speech on viewers depending on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19(3), 42-103. (김명주.나은영 (2005). 방송 연설 후보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고.저관여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19(3), 42-103.) 

  9. Kwon, S. (2009). A Characteristic Study of Voice Attractiveness by Preceding Study Analysi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18(4), 1-22. (권순복 (2009).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매력적인 목소리의 특성 연구. 언어치료연구, 18(4), 105-122.) 

  10. Kwon, S. (2012). Paralinguistic Elements of Voice in Communica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1(2), 1-22. (권순복 (2012). 의사소통 상황에서 목소리의 준언어학적 요소 . 언어치료연구, 21(2), 1-22.) 

  11. Kwon, S. (2015). An experimental study of favorable voice analysis and good impressions using paralinguistic construction element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4(1), 157-167. (권순복 (2015). 준언어적 구성 요소를 통한 매력적인 목소리 분석과 호감도에 관한 실험 연구. 언어치료연구, 24(1), 157-167.) 

  12. Lee, D. (2002). The education of oral language and culture creation.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20(2), 25-45. (이도영 (2002). 음성언어교육과 문화 창조. 한국초등국어교육학보, 20, 23-42.) 

  13. Lee, Y., & Heo, K. (2008). Nonverbal communication factors effect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speaker's image and message-retention by the audience. Proceedings of the 2008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pp. 91-118). (이유나.허경호 (2008). 발표상황에서 발표자의 비언어적 요소가 발표자의 이미지 평가 및 메시지 전달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97-118.) 

  14. Lewis, B. (1974). The technique of television announcing. New York: Hastings House. 

  15. Lucas, S. E. (1995). Persuasion: The art of public speaking. New York: McGraw-Hill. 

  16. Mehrabian, A. (1969). Some referents and measures of nonverbal behavior. Behavior Research Methods and Instrumentation, 1, 213-217. 

  17. Mehrabian, A., & Williams, M. (1969). Nonverbal concomitants of perceived and intended persuas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3, 37-58. 

  18. Miyake, K., & Zuckerman, M. (1993). Beyond personality impressions: effects of physical and vocal attractiveness on false consensus social comparison, affiliation, and assumed and perceived similarity. Journal of Personality, 61(3), 411-437. 

  19. Park, K. (2011). An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reading rate in news delivery on recognition recipients. Korean Speech and Discourse Analysis, 18, 271-295. (박경희 (2011). 뉴스 전달속도가 수용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화법연구, 18, 271-295.) 

  20. Park, L., & Lee, S. (2009). The impact of voice construction on Communication. Speech & communication, 11, 293-327. (박란희. 이시훈 (2009). 목소리 구성 요소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 293-327.) 

  21. Smith, B., Brown, B., Strong, W., & Rencher, A. (1975). Effects of speech rate on personality perception. Language and Speech, 18(2), 145-152. 

  22. Smith, C., Finnegan, E., Karnell, M., & Michael, P. (2005). Resonant voice: Spectral and nasendoscopic analysis. Journal of Voice, 19(4), 607-622. 

  23. Street, R., & Hopper, R. (1982). A model of speech style evaluation. London: Edward Arnold. 

  24. Street, R., Blady, R., & Lee, R. (1984). Evaluative responses to communicatiors: The effects of speech rate, sex, and interaction context. Western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48(1), 14-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