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recognition for linear equations and linear functions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9 no.4, 2016년, pp.395 - 415  

이헌수 (목포대학교 수학교육과) ,  김영철 (목포대학교 수학교육과) ,  박영용 (목포대학교 수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방정식 및 함수와 관련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K시 관내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수학 교사 49명과 M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29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미지수가 1개인 일차방정식을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보다 더 일차방정식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음함수 형태보다 양함수 형태로 표현된 일차함수를 일차함수로 더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recognition of in-servi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concepts of liner equations and liner functions. We chose 49 in-service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in G city and 29 pre-service teachers in M university and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about the co...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김남희 (2009). 변수 개념의 분석 및 교수-학습. 서울: 경문사. 

  2. 김남희, 나귀수, 박경미, 이경화, 정용옥, 홍진곤 (2011). 수학교육과정과 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3. 김희은 (2014). 교과서의 구성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방정식과 함수의 관계에 대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4. 박선화 (1998). 수학적 극한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5. 박정미, 이중권 (2013). 동일한 수학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능력 분석 연구-방정식.부등식과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4), 883-898. 

  6. 박진희 (2016). 일차함수와 일차방정식의 관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7. 서종진 (2009). 일차방정식에서 변수의 위치에 따른 반응 유형에 관한 연구-중학교 1학년과 3학년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267-289. 

  8. 서종진 (2010). 문제 유형에 따른 풀이과정에서의 변화-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일차방정식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2), 445-474. 

  9. 손혜진 (2011).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방정식과 함수의 관계에 대한 이해유형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0. 안가영 (2002). 함수 그래프 과제에서의 오류 분석 처치 :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교수학적 환경에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1. 오윤희 (2006).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함수 학습에서 겪는 인지적 장애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12. 우미령 (2005). 중학생의 함수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함수의 표현방법에 따른 문제해결의 차이 비교.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서울. 

  13. 우정호 (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4. 이나현 (2009).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일차함수 그래프 과제 해결능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15. 이소정 (2009). 함수와 방정식 사이의 관계 인식의 오류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중학교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6. 이헌수, 김영철, 박영용, 김민정 (2015). 일차방정식과 일차함수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과 오류.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8(3), 259-279. 

  17. 이헌수, 박형빈 (2011).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1), 101-121. 

  18. 전영배, 노은환, 김대의, 정찬식, 김창수, 강정기, 정상태 (2010).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부등식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분석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3), 543-562. 

  19. 최은형 (2004).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오류 분석에 관한 연구-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20. Freudenthal, H. (1983). The Didactical Phenomenology of Mathematical Structures. Reidel Dordrecht. 

  21. Hill, H. C., Sleep, L., Lewis, J. M., & Ball, D. L. (2007). Assess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111-155).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2. Tall, D. (1989). Different Cognitive Obstacles in a Technological Paradigm or Reaction to : "Cognitive Obstacles Encountered in the Learning Algebra". In Wagner, S. and Kieran, C.(Eds.), Research issues in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Algebr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87-92. 

  23. Tall, D.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s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 151-169. 

  24. Usiskin, Z. (1988). Conceptions of School Algebra and Uses of variables, In The Ideas of Algebra K-12, NCTM 1988 yearbook, 8-19. 

  25. Vinner, S. (1992). The function concept as a prototype for problems in mathematics thing. In E. Dubinsky, & G. Harel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 pp. 195-214).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