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과 중국산 복령의 원산지 구별을 위한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and Chinese Wolfiporia extensa for Origin Identifi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4 no.4, 2016년, pp.232 - 236  

박나혜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조우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박승춘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산과 중국산 복령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일반 성분은 산소 45.32-48.07%, 탄소 38.90-40.12%, 수소 6.05-6.78% 및 질소 0.16-0.23%로 국내산과 중국산 복령에서 유사한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확인을 통한 항산화 활성 또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ED-XRF (X-선 형광 분석기)를 이용한 무기원소 분석에서 국내산과 중국산 복령간에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중국산 복령의 경우 칼륨(K), 철(Fe)이 각각 $47.60{\pm}8.78%$$14.5{\pm}3.86%$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국내산 복령($33.14{\pm}17.27%$, $9.13{\pm}4.83%$)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전반적인 실험 결과 ED-XRF 분석을 통한 무기원소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향후 복령의 원산지 판별에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iscriminate the geographical origins of domestic and chinese Wolfiporia extensa. They were subjected to oxygen (45.32 to 48.07%), carbon (38.09 to 40.12%), hydrogen (6.05 to 6.78%), and nitrogen (0.16 to 0.23%). Antioxidant activity was examin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ICP-MS에 의한 일반성분 분석, 항산화 활성비교 및 ED-XRF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를 이용한 무기원소 분석을 통하여 복령의 원산지 판별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령이란? 복령(Wolfiporia extensa)은 담자균 아강 다공균목 구멍버섯과 복령속에 속하며, 절제된 소나무류(Pinus spp)의 뿌리에 부정형의 균핵을 형성하는 기생균의 일종이다(Kang, 1999). 복령은 탄수화물, 수분, 조섬유질, 무기질 및 미량의 단백질 등이 주성분이며(Saito, 1968), 그 효능은 대표적으로 성분 U-pachyman, pachymaran, carboxymethyl pachymaran의 항암 효과와 (1,3)-(1,6)-β-D-glucan의 항종양성이 알려져 있다(Chihara et al.
복령의 주성분은? 복령(Wolfiporia extensa)은 담자균 아강 다공균목 구멍버섯과 복령속에 속하며, 절제된 소나무류(Pinus spp)의 뿌리에 부정형의 균핵을 형성하는 기생균의 일종이다(Kang, 1999). 복령은 탄수화물, 수분, 조섬유질, 무기질 및 미량의 단백질 등이 주성분이며(Saito, 1968), 그 효능은 대표적으로 성분 U-pachyman, pachymaran, carboxymethyl pachymaran의 항암 효과와 (1,3)-(1,6)-β-D-glucan의 항종양성이 알려져 있다(Chihara et al., 1971; Jung et al.
복령을 이용한 추출물이 건강 기능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높은 활용 가치가 있음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복령(Wolfiporia extensa)은 담자균 아강 다공균목 구멍버섯과 복령속에 속하며, 절제된 소나무류(Pinus spp)의 뿌리에 부정형의 균핵을 형성하는 기생균의 일종이다(Kang, 1999). 복령은 탄수화물, 수분, 조섬유질, 무기질 및 미량의 단백질 등이 주성분이며(Saito, 1968), 그 효능은 대표적으로 성분 U-pachyman, pachymaran, carboxymethyl pachymaran의 항암 효과와 (1,3)-(1,6)-β-D-glucan의 항종양성이 알려져 있다(Chihara et al., 1971; Jung et al., 1998). 또한 사포닌 전구체인 triterpene류를 함유하고 있어 항염증, 항피부암, 항구토 등의 항암활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Yamashiro et al., 1996; Tai et al., 1994; Tai et al., 1995), 최근에는 복령 껍질과 내피 성분이 체내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저해하여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복령을 이용한 추출물은 건강 기능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높은 활용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J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 BC, Lee EH, Noh MA.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Smilacis chinae radix. Korean J Pharmacogn. 

  2. Chihara G, Hamuro J, Tamashita Y et al. 1971. Carboxymethylpachmaran a new water soluble polysaccharide with marked antitumor activity. Nature 233: 486-490. 

  3. Choi HJ, Park SC, Hong TH. 2005. Anti-tumor activity of fermented liquid Opuntia humifusa in cervical cancer cell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525-1530. 

  4. Choi JY, Bang KH, Han KY, Noh BS. 2012. Discrimination Analysis of the Geographical Origin of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503-525. 

  5. Choi OB, Cho DB, Kim DP. 1998. The components of cultivated Poria coc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9:438-440. 

  6. Choi SH, Lee SJ, Cho WS, Choi JW, Park SC. 2016. Comparison of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Domestic Regional Wolfiporia extensa. Kor J Mycol. 44.1: 23-30 

  7. Hwang JB, Yang MO,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8. Jang YA, Lee JT. 2015. The Evaluation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of extract solvent and Poria cocos by parts. Asian J Beauty Cosmetol. 13:377-383. 

  9. Jee JH, Lee HD, Chung SK, Choi JU. 1999. Changes in color value and chemical components of hoelen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75-580. 

  10. Jeong MS, Lee SB. 2008.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herbal medicine by mineral content analysis with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35-140. 

  11. Jung SG, Kwon MS, Choi JW, Song KS, Kang WW. 1998.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hoelen (Poria cocos Wolf) under the picking d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34-1040. 

  12. Kang AS, Kang TS, Shon HR, Seo SM, Kang MS, Kim KP, Lee JS. 1999. Studies on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ria cocos. Kor J Mycol. 378-382. 

  13. Kim IC. 2008. Antioxidative property and whitening effect of the pueraria radix, poria cocos and coptidis rhizoma. J Korean Oil Chem Soc. 25: 219-225. 

  14.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Kang WW. 1998.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hoelen(Poria cocos wolf) under the picking Date. J Kor Soc Food Sci Nutr. 27:1034-1040. 

  15. Laursen J, Vestergaard BT, Pind N, Karlsen K, Hansen HCB. 2001. Rapid method for EDXRF analysis of clayey and sandy soil. X-Ray Spectrom. 30: 186-189. 

  16. Moon JY, Lee YJ, Kang JM, Cho SJ, Noh BS. 2012.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 for Scutellaria baicalensis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84-487. 

  17. Park YW, Koo CD, Lee HY, Ryu SR, Kin TH, Cho YG. 2010. Relationship between macrofungi fruit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4:657-679 

  18. Rhyu MR, Kim EY, Kim SS. 2002. Identification of cultivate sites for Job's-tears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87-791 

  19. Saito H, Misaki A, Harada T. 1968. A comparison the structure of curdan and pachyman. Agr Biol Chem. 1261-1269 

  20. Song SH, Min IS. 2009. Characteristics of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s for the korean ginsengs from various soils of keumsan. J Ginseng Res 33:13-25. 

  21. Tai T, Akita T, Kinoshita Y, Koyama K, Taka-hashi K, Watanabe K. 1995. Anti-emetic principles of Poria cocos. Planta Medica. 527. 

  22. Tai T, Mikage T, Tsuda M, Akahori Y.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terpene contents and the color for the Sclerotium. Nat Med. 219. 

  23. Yamashiro H, Fukazawa H, Ishida, Tsuji K. 1996. Isolation of inhibitors of TPA-induced mouse ear edema from Hoelen, Poria cocos. Chem pharm Bull.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