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자극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leep on Balance Control and Reaction Time to Visual Stimuli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3 no.2, 2016년, pp.68 - 76  

박수경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정아 (경남대학교 건강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박강희 (인제대학교 u-항노화헬스케어연구소) ,  김주헌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동물의학연구소) ,  홍용근 (인제대학교 의생명공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인체의 필수적인 생리작용으로, 수면의 질 저하는 전반적인 건강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면과 균형조절능력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기 위하여,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서면 동의한 건강한 20대 남녀 58명을 대상으로 PSQI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한 다음, PSQI 점수에 따라 대상자를 A군(PSQI <5)과 B군($PSQI{\geq}5$)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대상자들의 체성분과 신체특성, 균형조절, 시각적 반응시간 및 오류횟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결 과 : 수면의 질이 양호한 A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아침기상 시 졸린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이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두 실험군의 신체조성을 비교한 결과, 수면의 질이 낮은 여자 대상자들의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수면상태에 따른 균형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각적 반응시간에서는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특히 수면의 질이 낮은 B군에서 반응시간은 선형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차횟수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수면의 질 저하는 반응속도를 지연시키고, 반응의 정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선택적 주의력의 저하는 균형조절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낙상 등의 손상을 입을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find evidence that sleep is necessary for normal brain function, thus indicating that declines in both sleep quality and quantity are related to worse performance of many daily tasks and deteriorated physical func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of balance con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수면박탈은 민첩성과 평형성, 전신지구력 등에 유의한 변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Lee 2014), 자세조절 및 평형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의 균형조절능력이 수면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TetraxⓇ를 이용해 균형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TetraxⓇ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아 균형조절 능력 평가에 적합하고, 균형능력 증진에 사용되기도 한다 (Kim 등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20대 남녀 대상자에서 수면의 질을 파악하고, 수면이 균형조절과 시각적 자극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면은 객관적인 활동이 아니므로 객관적인 측정이 어렵고, 연령별 수면양상이 다양하며, 개인마다 적정 수면양이 다르기 때문에 수면의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객관적인 양적 지표와 주관적인 질적 지표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 지금까지 수면문제로 인해 야기되는 인지장애와 기억력 감퇴는 다양한 형태로 보고되고 있으나, 수면의 질에 따른 균형조절 및 주의력과 관련된 연구들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건강한 성인남녀에서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수면의 질이 균형 조절과 시각적 자극 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각적 자극반응시간은 선택적 주의력(selective attention)을 평가하기 위해 측정하였으며, 선택적 주의력은 균형조절능력에 대한 근거로 분석하였다.
  • 이와 관련된 뇌 부위로는 전두엽의 앞부분, 두정엽, 그물체, 중간뇌의 윗부분, 시상 그리고 둘레엽 피질 등이 있고, 이러한 뇌부위에 손상이 오면 주의력에 장애가 발생한다. 주의력 중에서도 신체의 자세를 조화롭게 유지 및 조절하고, 동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택적 주의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Tsang 등 2016), 수면의 질이 선택적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군 모두 반응시간 과제의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시간이 함께 증가하였는데, 수면의 질이 낮은 대상자에서는 반응시간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하지 못한 수면패턴은 선택적 집중력의 저하를 야기하고, 이것이 균형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지 못하였다. 이는 균형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선택적 집중력 이외에도, 시각, 체성감각 및 전정감각 등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시간의 감소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2014년 생활시간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일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59분으로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통계청 2015). 수면시간의 감소는 피로감, 혼돈, 불안정성과 집중력 감퇴, 공격성 등 정신 생리적 기능의 변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주의력장애, 기억력 저하 및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의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Dinges 등 1997 ; Ferrie 등 2011). 이와 같이 수면부족에 의한 피로감과 주간졸음은 사회적, 직업적 업무수행능력을 저하시키고, 때로는 안전사고의 증가를 초래하기도 한다 (Thomas 등 2000).
수면이란 무엇인가? 수면은 생명유지와 일상생활 영위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건강한 수면은 회복력(resilience)의 향상과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15). 2014년 생활시간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일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59분으로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통계청 2015).
Tetra-ataxiometric posturography Tetrax의 지면반력장치는 무엇으로 구성되있고 무엇이 평가되는가? , Ramat Gan, Israel)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TetraxⓇ의 지면반력장치는 4개의 독립적인 발판(좌, 우측의 뒤꿈치와 발바닥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발판에서 감지하는 체중의 변화를 통해 체중 이동패턴과 자세변인들을 산출하여 자세동요가 평가된다 (Kim 등 2011). Table 1과 같은 8가지 자세를 1세트로, 총 3번 반복측정 하였고 각 세트가 끝나면 충분히 휴식을 취하게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통계청.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2015. 

  2. Akkaya N, Akkaya S, Atalay NS, Acar M, Catalbas N, Sahin F.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ural stability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Clin Rheumatol 2013;32:325-331. 

  3. Anic GM, Titus-Ernstoff L, Newcomb PA, Trentham-Dietz A, Egan KM. Sleep duration and obesity in a population-based study. Sleep Med 2010;11:447-451. 

  4. Borel L, Alescio-Lautier B. Posture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interaction and contribution to the rehabilitation strategies. Neurophysiol Clin 2014;44:95-107. 

  5. Buysse DJ, Reynolds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1989;28:193-213. 

  6. Byrd K, Gelaye B, Tadessea MG, Williams MA, Lemma S, Berhanec Y. Sleep Disturbances and Common Mental Disorders in College Students. Health Behav Policy Rev 2014;1:229-237. 

  7. Chang JH, Huang PT, Lin YK, Lin CE, Lin CM, Shieh YH, et al.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leep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Taiwanese police officers.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15;28:1011-1023. 

  8.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 Rev 2006;10:323-337. 

  9. Di Fabio RP, Emasithi A. Aging and the mechanisms underlying head and postural control during voluntary motion. Phys Ther 1997;77:458-475. 

  10. Dinges DF, Pack F, Williams K, Gillen KA, Powell JW, Ott GE, et al. Cumulative sleepiness, mood disturbance, and psychomotor vigilance performance decrements during a week of sleep restricted to 4-5 hours per night. Sleep 1997;20:267-277. 

  11. Ferrie JE, Shipley MJ, Akbaraly TN, Marmot MG, Kivimaki M, Singh-Manoux A. Change in sleep duration and cognitive function: findings from the Whitehall II Study. Sleep 2011;34:565- 573. 

  12. Gregory AM, O'Connor TG. Sleep problems in childhood: a longitudinal study of developmental change and association with behavioral problem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2;41:964-971. 

  13. Gribble PA, Hertel J. Changes in postural control during a 48-hr. sleep deprivation period. Percept Mot Skills 2004;99:1035- 1045. 

  14. Horak FB. Postural orientation and equilibrium: what do we need to know about neural control of balance to prevent falls? Age Ageing 2006;35-S2:ii7-ii11. 

  15. Kim EY, Choi YS, Kim SM, Choi SY, Kim EH, Kim JE,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body composition variables in Korean adults. Korean J Clin Geri 2014;15:27-34. 

  16. Kim GH, Yoon HS. Factors influencing i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and no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3;22:320-329. 

  17. Kim HS, Yun DH, Yoo SD, Kim DH, Jeong YS, Yun JS, et al. Balance control and knee osteoarthritis severity. Ann Rehabil Med 2011;35:701-709. 

  18. 18. Lee GH. Effects of stress and sleep deprivation on human postural control. Korean J Str Res 2010;12:327-335 

  19. Lee HK. The effects of sleep deprivation on the exercise performance. JCD 2014;16:75-81. 

  20. Lee IK. Polysomnography. KJCN 1999;1:230-235. 

  21. Lee SJ, Park CS, Kim BJ, Lee CS, Cha B, Lee D. Sleep and Resilience. Sleep Med Psychophysiol 2015;22:53-56. 

  22. Liu R, Zee PC, Chervin RD, Arguelles LM, Birne J, Zhang S, et al. Shor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ndependent of adiposity in Chinese adult twins. Sleep Med 2011; 12:914-919. 

  23. Liu Y, Higuchi S, Motohashi Y. Changes in postural sway during a period of sustained wakefulness in male adults. Occup Med (Lond) 2001;51:490-495. 

  24. Louca M, Short MA. The effect of one night's sleep deprivation on adolescent neurobehavioral performance. Sleep 2014;37:1799- 1807. 

  25. Park HY, Kim YS. Development of a computer-aided experiment for learning stimuli and response. BE 2010;38:643-656. 

  26. Park JS, Heo NB, Byun YH, Hwang MH, Kim SH, The relation analysis of obesity and blood lipid on total physical activity level in short sleeping adul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4;57:879-892. 

  27. Pilcher JJ, Ginter DR, Sadowsky B.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 Psychosom Res 1997;42:583-596. 

  28. Roehrs T, Kapke A, Roth T, Breslau N. Sex differences in the polysomnographic sleep of young adults: a community-based study. Sleep Med 2006;7:49-53. 

  29. Ross SE, Guskiewicz KM. Exam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ly stable and unstable ankles. Clin J Sport Med 2004;14:332-8. 

  30. Schredl M, Alm B, Sobanski E. Sleep quality in adult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7;257:164-168. 

  31. Shin SY, Lee JY, Jeong DU. Sleep Pattern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Medical Students. Sleep Med Psychophysiol 2008;15: 87-93. 

  32. Shumaway-Cook A, Woollacott M.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Baltimore: Williams & Wilkins;1995. p.1-20. 

  33. Taheri M, Arabameri E. The effect of sleep deprivation on choice reaction time and anaerobic power of college student athletes. Asian J Sports Med 2012;3:15-20. 

  34. Thomas M, Sing H, Belenky G, Holcomb H, Mayberg H, Dannals R, et al. Neural basis of aler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impairments during sleepiness. I. Effects of 24 h of sleep deprivation on waking human regional brain activity. J Sleep Res 2000; 9:335-352. 

  35. Tsang WW, Chan VW, Wong HH, Yip TW, Lu X. The effect of performing a dual-task on postural control and selective attention of older adults when stepping backward. J Phys Ther Sci 2016;28:2806-2811. 

  36. Wade MG, Jones G. The rol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 Ther 1997;77:619-628. 

  37. Wu MC, Yang YC, Wu JS, Wang RH, Lu FH, Chang CJ. Short sleep duration associated with a high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n apparently healthy population. Prev Med 2012;55:305-3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