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상태 예측요인: 2년 종단연구
Predictors of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3, 2016년, pp.359 - 367  

차지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on the health status o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longitudinal data. Methods: Two surveys were conducted within a period of two-year. A total of 75 patients participated in bo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 지지는 인간을 둘러싼 환경으로 건강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밝혀졌지만, 사회적 지지의 종류에 따른 인과적 기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았다[14,15]. 만성질환에서는 가족과 의료진,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질병을 관리해 나가는 것이 강조되며[4,5] 대상자에 따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요구가 다를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가족, 환우 및 친구, 의료진의 지지로 구분하여 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특히 혈액투석 환자들은 지속적인 투석으로 인해 의료진과 환우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에서 치료와 돌봄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6] 이들 사회적 요인들의 장기적인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결과 증상과 같은 신체적 요인외에 사회적 지지, 의미와 희망 등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건강의 주요 결정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질병이 아닌 환자에 대한 돌봄 전략이 더욱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비록 만성질환을 갖고 살아가지만 건강을 유지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앞으로 건강전 문가들은 혈액투석 환자들이 연장된 삶의 시간 동안 가능한 한 최선의 건강과 안녕을 누릴 수 있도록 지지적 환경을 제공하고 심리적 자원을 강화해주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질병치료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전인적 관점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심리사회적 요인들과 지각된 건강 상태와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증상과 같은 신체적 요인외에 사회적 지지, 의미와 희망 등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건강의 주요 결정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질병이 아닌 환자에 대한 돌봄 전략이 더욱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 말기신장질환은 다양한 신체심리사회적 요인들이 함께 작용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질병과정 동안 이러한 요인들은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치면서 적응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성공적인 장기투석과 건강증진을 돕기 위해 2년 간격으로 실시된 종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은 건강에 있어 위험요인이었으나 심리사회적 자원들은 건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적 탐색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혈액투석 환자의 지각된 건강상태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신체심리사회적 요인들과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과 안녕에 있어 신체심리사회적 요인들의 효과가 상당수 발표되었지만, 주로 한두 가지 차원에 한정되었고 종단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어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다각적인 측면에서 확인할 수 없었다 [6,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원에 대한 개념을 기초로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2014년과 2016년에 실시한 자료를 이차분석함으로써 혈액투석 환자의 신체심리사회적 요인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실무 현장에서 혈액투석 환자의 건강유지와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와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투석은 무엇인가? 혈액투석은 신장 기능을 대신하여 수십 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말기신장질환의 보편화된 치료법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장기투석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도 장기 혈액투석 생존자는 점차 증가하여 2010년 이후부터 10년 이상 혈액투석 중인 환자가 18~21%의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1].
말기신장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내에서도 장기 혈액투석 생존자는 점차 증가하여 2010년 이후부터 10년 이상 혈액투석 중인 환자가 18~21%의 수준으로 보고되고 있다[1]. 말기신장질환은 완치보다는 조절을 목표로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 자원집약적인 특 징과 함께 최첨단의 의료기술 및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혈액투석 환자들의 사회경제적인 부담이 막대하므로 건강전문가들은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면서 대상자들이 가능한 한 최선의 건 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2].
말기신장질환의 진행을 늦추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면서 대상자들이 가능한 한 최선의 건 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하는 이유는? 말기신장질환은 완치보다는 조절을 목표로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요구되는 만성질환으로 자원집약적인 특 징과 함께 최첨단의 의료기술 및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다른 만성질환에 비해 혈액투석 환자들의 사회경제적인 부담이 막대하므로 건강전문가들은 질병의 진행을 늦추고 잠재적인 합병증을 예방하면서 대상자들이 가능한 한 최선의 건 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nd stage renal disease registry committee.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2015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5 [cited 2016 October 31]. Available from: http://www.ksn.or.kr/rang_board/list.html?codesinchart. 

  2. Curtin RB, Mapes DL. Health care management strategies of long-term dialysis survivors.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01;28(4):385-392. 

  3. Engel GL.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 Science. 1977;196:129-136. http://dx.doi.org/10.1126/science.847460 

  4. Whittemore R, Dixon J. Chronic illness: The process of integratio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8;17(7b):177-187.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07.02244.x 

  5. Institute of Medicine. Living well with chronic illness: A call for public health action.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12. 

  6. Cukor D, Cohen SD, Peterson RA, Kimmel PL. Psychosocial aspects of chronic disease: ESRD as a paradigmatic illnes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2007;18(12):3042-3055. http://dx.doi.org/10.1681/asn.2007030345 

  7. Davison SN, Jhangri GS. Impact of pain and symptom burden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10;39(3):477-485.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09.08.008 

  8. Dodd M, Janson S, Facione N, Faucett J, Froelicher ES, Humphreys J, et al. Advancing the science of symptom manag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3(5):668-676.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1.01697.x 

  9. Taylor SE, Kemeny ME, Reed GM, Bower JE, Gruenewald TL. Psychological resources, positive illusions, and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2000;55(1):99-109. http://dx.doi.org/10.1037/0003-066x.55.1.99 

  10. Pressman SD, Cohen S. Does positive affect influence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2005;131(6):925-971. http://dx.doi.org/10.1037/0033-2909.131.6.925 

  11. Herth K. Abbreviated instrument to measure hop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2;17(10):1251-1259.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2.tb01843.x 

  12. Broadbent E, Petrie KJ, Main J, Weinman J.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6;60(6):631-637.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05.10.020 

  13. Folkman S.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and coping with severe stress. Social Science & Medicine. 1997;45(8):1207-1221. http://dx.doi.org/10.1016/s0277-9536(97)00040-3 

  14. Fowler JH, Christakis NA. Dynamic spread of happiness in a large social network: Longitudinal analysis over 20 year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2008;337:a2338. http://dx.doi.org/10.1136/bmj.a2338 

  15. Livneh H. Psychosocial adaptation to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A conceptual framework.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2001;44(3):151-160. http://dx.doi.org/10.1177/003435520104400305 

  16. Chan R, Brooks R, Erlich J, Gallagher M, Snelling P, Chow J, et al. Studying psychosocial adaptation to end-stage renal disease: The proximal-distal model of health-related outcomes as a base model.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1;70 (5):455-464.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0.11.005 

  17. Cha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self-management process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p. 1-98. 

  18.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9. Kring DL, Crane PB.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ersons on hemodialy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2009;36(1): 5-24, 55. 

  20. Moss-Morris R, Weinman J, Petrie K, Horne R, Cameron LO, Buick D.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IPQ-R). Psychology and Health. 2002;17(1):1-16. http://dx.doi.org/10.1080/08870440290001494 

  21. Garnefski N, Kraaij V.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development of a short 18-item version(CERQ-shor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6;41(6):1045-1053. http://dx.doi.org/10.1016/j.paid.2006.04.010 

  22.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23. Hughes J, Wood E, Smith G. Exploring kidney patients' experiences of receiving individual peer support. Health Expectations. 2009;12(4):396-406. http://dx.doi.org/10.1111/j.1369-7625.2009.00568.x 

  24. National Kidney Foundation. Benefits of peer support [Internet]. New York: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9[cited 2016 September 10]. Available from: https://www.kidney.org/sites/default/files/docs/02-10-4196_ebb_benefitsprofessionalflyer.pdf. 

  25. Pierce P, Asick R, Weaver M. Trained ESRD mentors: An important resource for total patient care. Nephrology News & Issues. 2009;23(3):36, 38, 40, 42-44. 

  26. Jablonski A. The illness trajectory of end-stage renal disease dialysis patients.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2004; 18(1):51-72. http://dx.doi.org/10.1891/rtnp.18.1.51.28053 

  27. Gillanders S, Wild M, Deighan C, Gillanders D. Emotion regulation, affect,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well-being in hemodialysis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s. 2008;51(4):651-662. http://dx.doi.org/10.1053/j.ajkd.2007.12.023 

  28. Chida Y, Steptoe A.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rtality: A quantitative review of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Psychosomatic Medicine. 2008;70(7):741-756. http://dx.doi.org/10.1097/psy.0b013e31818105ba 

  29. Chilcot J, Wellsted D, Farrington K. Illness perceptions predict survival in haemodialysis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Nephrology. 2011;33(4):358-363. http://dx.doi.org/10.1159/000326752 

  30. Van Dijk S, Scharloo M, Kaptein AA, Thong MS, Boeschoten EW, Grootendorst DC, et al. Patients' representations of their end-stage renal disease: Relation with mortality.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2009;24(10):3183-3185. http://dx.doi.org/10.1093/ndt/gfp1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