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적 지지 경로분석 : 자기조절모형에 기반하여
A Path Analysis of Social Support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Based on the Self-regulation Model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116 - 126  

차지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family, healthcare provider, friends/peer), treatment belief, hope, and health statu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to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n patients' health statu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질환에서 중시되는 협동적 돌봄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질병에 대한 개인의 인지와 정서가 어떤 기제를 통해 건강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의 특성과 영향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인간은 근본적으로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로 본 연구결과 가족, 친구와 환우, 의료인은 만성질환자의 삶에서 주요한 인간관계 영역이었으며, 질병에 대한 생각과 감정, 나아가 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자기조절모형을 기반으로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적 지지가 환자가 지닌 치료에 대한 믿음과 희망 및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설명하는 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자기조절모형을 바탕으로 혈액투석환자가 인지한 사회적 지지, 치료에 대한 믿음, 희망 그리고 건강상태와의 가설적 인과모형을 도출하고,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가설 경로를 검증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 이렇듯 자기조절모형은 건강결과를 설명함에 있어 인간의 인지적, 정서적 요소를 포괄하면서 이 두 요소가 모두 환경적 맥락 즉 사회적 지지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할수 있음을 보여준다[7].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자원인 치료에 대한 믿음 및 희망이 사회적 차원에서의 자원인 가족, 의료진, 친구 및 환우의 지지와 어떠한 관계를 통해 건강결과에 기여하는지 그 관계의 구조와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이는 만성질환자의 인지, 정서와 사회적 자원 간의 관계를 연계하고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 하기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만성질환자의 건강상태 유지를 위한 자기조절모형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나뉜다. 개인적인 차원에서 개인은 자신의 질병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기화된 적극적인 문제해결자로 보며, 이들이 지닌 질병에 대한 믿음과 기대, 즉 질병인식과 함께 정서적 반응이 대처 전략을 결정하고 나아가 건강결과에도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다[6]. 인지적 요소인 질병인식에는 치료에 대한 믿음, 질병에 대한 통제감, 질병에 대한 이해 등이 포함된다[6,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S SF-12는 어떤 영역으로 구성되는가?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MOS SF-12 (Medical Outcomes Study Short Form-12)를 사용하였다. MOS SF-12는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 PF), 신체적 역할제한 (Role-Physical, RP), 통증(Body Pain, BP), 일반건강 (General Health, GH), 활력(Vitality, VT), 사회적 기능 (Social Function, SF), 감정적 역할제한(Role-Emotion, RE) 및 정신건강(Mental Health, MH) 등 8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도구는 총 12문항으로 각 문항에 따라 반응척도는 3개~5개로 다양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음을 의미한다.
치료에 대한 믿음이란? 치료에 대한 믿음은 치료가 자신의 질병을 통제하고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13]. 본 연구에서는 질병인식 측정도구인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IPQ-R)[13] 중 treatment control 5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만성질환자의 건강결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정서적 측면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내용은? 한편 지금까지 자기조절모형 중 질병에 대한 정서적 반응은 우울, 두려움, 걱정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 주로 다루어졌다[18,19]. 73명의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질병에 대한 정서적 어려움이 적을수록 인, 칼륨, 투석간 체중증가가 적었으며, 질병 통제감, 질병의 시간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신체적, 정신적 삶의 질 모두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것은 정서적 반응이었다[19]. 이러한 결과들은 만성질환자의 건강결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정서적 측면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