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뇨중재 프로그램이 뇌졸중 재활대상자의 잔뇨량, 도뇨횟수, 배뇨불편감, 요로감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Residual Urine, the Number of Urinary Catheterization, Urinary Discomfort, and Urinary Tract Infection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32 - 141  

송영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이정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정지영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김난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양이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신채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  조문숙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the urinary elimination fac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urinary disorder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posttest design. The partic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배뇨장애 문제를 가진 뇌졸중 재활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자연배뇨를 위한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도뇨 횟수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적을 것이다
  •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배뇨불편감은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을 것이다
  •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의 잔뇨량은 프로그램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적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사망률은 어떻게 되는가? 뇌졸중의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8.2명으로 국내에서도 2014년 암, 심장질환에 이어 국내 사망원인 3위인 중증질환이다[1]. 뇌졸중환자의 약 22%는 발병 후 1달 이내에 사망하고, 약 79%의 환자는 뇌 병변 부위에 따라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고 배뇨기능이나 성기능 등 비뇨기과적으로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온다[2].
대부분의 실험군은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시작하였으나 그러지 못하고 중도탈락의 의사표현을 한 이유는? 한편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실험군은 배뇨중재 프로그램을 시작하면서 스스로 소변을 볼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시작하였다. 그러나 변기 적용 시 엉덩이가 아픈 것에 대한 불편감과 변기 사용에 대한 귀찮아하는 모습, 변기를 적용해도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며 바로 도뇨를 해달라고 하는 모습, 그리고 밤동안 벨소리가 시끄럽다는 불평 등의 배뇨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과 몇일간의 배뇨중재 프로그램 참여에도 불구하고 자연배뇨를 하지 못함에 대한 아쉬움으로 중도탈락의 의사표현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에서 간호사는 대상자와 가족들의 힘든 마음을 공감해주고 이해하며, 긍정적 격려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주었다.
뇌졸중의 생존 후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뇌졸중환자의 약 22%는 발병 후 1달 이내에 사망하고, 약 79%의 환자는 뇌 병변 부위에 따라 심각한 장애를 유발하고 배뇨기능이나 성기능 등 비뇨기과적으로도 중대한 변화를 가져온다[2]. 뇌졸중은 생존하더라도 편마비, 반맹증, 언어부전이나 실어증, 연하곤란, 배뇨장애, 대변실금, 지적인 추리력이나 기억력의 손상, 시력장애, 신경, 심리학적인 장애 및 정서적인 반응 장애들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자가 간호능력 상실, 일상생활 및 의사소통이 제한되고, 우울감과 불안감을 느끼며 성격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점들로 인해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갖게 되고 발병 후 사회적 복귀가 어렵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tatistics Korea. 2014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1[cited 2016 July 0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 moderead&aSeq350177. 

  2. Oh BM, Kim JH, Kim YS, Lim JY, Paik NJ, Han TR.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in chronic stroke survivors: Frequency and impact on quality of life.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5;29(5):450-456. 

  3. Bronstein KS, Popovich JM, Stewart-Amidei C. Promoting stroke recovery: A research-based approach for nurses. St Louis: Mosby-Year Book;1991. 

  4. Barrett JA. Bladder and bowel problems after strok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2002;12(3):253-268. 

  5. Brittain KR, Perry SI, Peet SM, Shaw C, Dallosso H, Assassa RP, et al. Prevalence and impact of urinary symptoms among community-dwelling stroke survivors. Stroke. 2000;31(4):886-891. 

  6. Gelber DA, Good DC, Laven LJ, Verhulst SJ. Causes of urinary incontinence after acute hemispheric stroke. Stroke. 1993;24(3):378-382. 

  7. Kim BE, Lee HY. Effect of moxibustion on urinary incontinence in stroke patient- pilot study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2;7(1):82-93. 

  8. Kim MK, Lee HN, Kim KR, Lee KM, Lee IK, Choi EH. Patterns of voiding dysfunction of stroke patients during rehabilitation.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1;25(04):551-558. 

  9. Kim KS, Suh MJ. A study on prevalence and its relating factors of urinary incontinence in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7;4(1):73-85. 

  10. So H, Kim JW, Park J, Lim NY. Task analysis of the job description of rehabilitation nurse based on DACUM.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9;12(1):16-29. 

  11. Roh DK, Lee BS, Kim SK, Nam KY, Kim DA, Kim BS. Study on the changes of voiding methods of patients with SCI after discharge -focusing on the patients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urinary tract surveillance program-.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1):92-96. 

  12. Kim SD. Voiding dysfunction after stroke and traumatic brain injury[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p. 1-19. 

  13. Rotar M, Blagus R, Jeromel M, Skrbec M, Trssinar B, Vodussek DB. Stroke patients who regain urinary continence in the first week after acute first-ever stroke have better prognosis than patients with persistent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Neurology and Urodynamics. 2011;30(7):1315-1318. http://dx.doi.org/10.1002/nau.21013 

  14. Mehdi Z1, Birns J, Bhalla A. Post-stroke urinary incontin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2013;67(11): 1128-1137. http://dx.doi.org/10.1111/ijcp.12183 

  15. Kim YH, Han TR, Jung HY, Chun MH, Lee J, Kim DY,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09;2(1):1-38. 

  16. Park MH, Kim MA. Evaluating the $NGC^{TM}$ evidence based guideline of prompted voiding for use in Korea. 2005;17(4):622-634. 

  17. So HY, Cho BH, Seo YO. Rehabilitation nursing. Seoul: Hyunmoon; 2007. p. 3-628. 

  18. Korean Continence Society. Guidelines on urinary incontinence. 1st ed. Seoul: Aplus; 2012. p. 9-243. 

  19. Jeon SJ, Kim GMJ, Park JS, Lee MH, Cho KS, Kim HK, et al. Medical-surgical nursing. 4th ed. Seoul: Hyunmoon; 2005. p. 1-978. 

  20. Heo KO. Study of Women's Life-Distress by Voiding Dysfunctio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p. 1-84. 

  21. Lyons SS, Specht JK, Mentes JC, Titler MG. Prompted voiding protocol for individuals with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2000;26(6):5-13. 

  22.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itors. Mosby's medical, nursing & allied health dictionary. 6th ed. Seoul: Hyunmoon; 2002. 

  23. Kim NK, Lee HK, Kim YY, Sim YS, Choi KY, Choi YS, et al. Internal medicine guide book. Seoul: Korea Medical Book; 1999. p. 67-68. 

  24. Dromerick AW, Edwards DF. Relation of postvoid residual to urinary tract infection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 84(9):1369-1372. 

  25. Gil HH. Job analysis of the nursing care service in hospital without a guardia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1. p. 1-83. 

  26. Choi IH. The effects of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on urinary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tlh Nursing. 2008;19(1):46-56. 

  27. Kim JI. The evaluation of 10 week urinary tract function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4): 439-448. 

  28. Lee YH, Kim SA. A study on self-esteem and urinary symptoms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2;9(3):360-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