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환자 입원간호 프로토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Nursing Protocols for Hospitalized Foreign Patien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161 - 172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안정원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최윤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서수량 (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protocol for care of hospitalized foreign patients based on necessary nursing care and to evaluate content validity and practical applicabilit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 for protocol development and to prioriti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외국인 환자 입원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외국인 환자에게 제공되는 입원간호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효과적인 문화간 의사소통은 원활한 언어적 의사소통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문화를 이해하면서 의사소통하는 태도와 공감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을 의미한다[19]. 따라서 프로토콜에 국가별 문화와 의료 영역을 포함하고 국가별 문화, 의사소통, 의료와 식이, 종교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간호사의 외국인 환자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서식 개발에 관한 요구도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프로토콜에 포함된 표, 안내문, 교육자료, 사정도구, 서식지를 국문, 영문, 러시아어로 개발하여 본문에 삽입하였다. 또한 국문과 외국어를 같이 제시하여 간호사가 자료에 대한 내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대상자가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자신감이 없는 다른 이유로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병원내 지원 부족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외국인 환자 입원간호에 대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간호 프로토콜 개발연구이다.
  • 의료진은 대상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해야 하며, 의료기관에서는 영어로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대상자 진료 시에 이용가능한 통역서비스와 정보제공을 위한 서면자료를 제공해야 함을 의료기관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해야 할 서비스 표준으로 지정하여, 대상자의 기본적인 권리가 충족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5,8].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외국인 환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간호를 제공할 수있도록 외국인 환자의 문화 관련 정보와 교육 자료 등을 포함 하여 입원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환자의 국적은? 전국의 모든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외국인 환자의 간호와 관련된 병원조직실태를 조사한 결과, 병원 내 외국어로 작성된 서식지와 설명서는 대부분 영어에 집중되어 있었고 그 중, 퇴원간호 계획 및 투약에 대한 설명서를 갖춘 병원이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외국인 환자의 국적은 중국, 미국, 일본, 러시아, 몽골 순이며, 그 중, 입원 환자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몽골의 순으로[1,9] 영어 이외에 다양한 외국어로 된 설명문과 서식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외국인 환자 대상 국내 의료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해야 할 점은? 국내 의료서비스의 장점은 높은 의료수준과 시설 및 의료 인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외국인 환자 대상의 만족도 조사결과 외국인 환자는 우리나라 의사의 의료 지식과 기술의 질, 간호 서비스, 외국인 전담 코디네이터 서비스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 3]. 그러나 외국인 환자 대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아시아 국가와 비교하여 커뮤니케이션 능력, 정보제공과 교육, 문화적 수용성과 개방성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국내 의료기관을 이용한 외국인 환자는 투약과 치료에 대한 설명 및 문화와 종교적 차이를 고려한 서비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평가하였다[2-4]. 외국인 환자에게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국가적 산업으로 기반을 닦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여러 노력이 필요 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외국인 환자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 개발한 자료들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는 외국인 환자 의료서비스 개선을 위해서 의료기관, 대상 환자 수와 진료 관련 정보에 대해서 꾸준히 실태조사를 하고 있고[1], 간호 부문에 있어서는 외국인 환자의 만족도 측면의 도구 표준화[11], 케어매 뉴얼 개발[12], 외국인 환자 진료서식 개발[13]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료들이 병원간호사에게 전달되어 충분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로 매뉴얼에 대한 홍보가 부족한 것도 있지만 내용이 간호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 자료가 아니며, 여러 국적의 환자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외국인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간호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국제표준에 맞는 간호실무지침으로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간호사들에게 배포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Statistics on international patients in Korea, 2014. Statistics Report. Osong: KHIDI; 2015 December. 

  2. Kim KS, Ahn JW, Kim JA, Kim HJ. A comparison study using mixed methods on foreig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86-96. http://dx.doi.org/10.4040/jkan.2014.44.1.86 

  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13 International patient satisfaction survey. Osong: KHIDI; 2014. 

  4. Chung Y, Lee KJ, Kim SH. An analysis o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medical tourism industry in S. Korea, Thailand, Singapore, Malaysi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3):302-326. 

  5.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Minority Health. National standards for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appropriate services in health care [Internet]. Rockville: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1[cited 2016 April 24]. Available from: http://minorityhealth.hhs.gov/assets/pdf/checked/finalreport.pdf. 

  6. Lipson JG, Desantis LA. Current approaches to integrating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7;18(1 suppl):10S-20S. http://dx.doi.org/10.1177/1043659606295498 

  7. Romanow RJ. Building on values: The future of health care in Canada. Final Report. Saskatoon, Canada: Commission on the Future of Health Care in Canada, 2002 November. Report No.: CP32-85/2002E-IN. 

  8. Anderson LM, Scrimshaw SC, Fullilove MT, Fielding JE, Normand J. Task force on community preventive services. Culturally competent healthcare systems: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3;24(3S):68-79. 

  9. Kim KS, Choi YK, Ahn JW, Jung EH, Kim ES. A survey on nursing organizational service for foreign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5; 21(5):53-66. 

  10. Park HS, Ha SJ, Park JH, Yu JH, Lee SH. Employment experiences of nurses caring for foreig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81-29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81 

  11. Kim JA, Kim HJ, Kim KS, Choi YK, Ahn JW, Kim MG. Report on development and revision of international patient satisfaction survey. Osong: Internationa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July. 

  1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International patient care manual 2012. Osong: KHIDI; 2012 December. p. 1-138.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Standardized medical document for international patients. Osong: KHIDI; 2011 December. p. 1-257. 

  14. Courtney M, McCutcheon H. Using evidence to guide nursing practice. Australia: Elsevier; 2009. p. 59-74. 

  15. Lee BS, Oh IK, Lee EM.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226-237. 

  16. Lee H, Lee B. Key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s for foreigners in Korea: A delphi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137-145. 

  17. Campinha-Bacote J.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A model of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2;13(3):181-184. 

  18. Papadopoulos I, Tilki M, Ayling S. Cultural competence in action for CAMHS: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tool and training programme. Contemporary Nurse. 2008;28(1-2):129-140. 

  19. Ngo-Metzger Q, Massagli MP, Clarridge BR, Manocchia M, Davis RB, Iezzoni LI, et al.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to car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003;18(1):44-52. http://dx.doi.org/10.1046/j.1525-1497.2003.20205.x 

  20. Lee JY, Lee H, Kim S, Jang Y. Comparison of perceived nurses' cultural competence of nurses and foreign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4;20(3):267-278. 

  21. Kim KS, Choi YK, Ahn JW, Jung EH, Kim ES. A study on nursing care for foreign patients in tertiary hospitals. Annual Report. Seoul: Korea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22. Kim KS, Ahn JW, Choi YK, Seo SR. Development of nursing protocol for hospitalized foreign patients.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Janu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