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 돌봄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Factors Related to Emergency Department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9 no.1, 2016년, pp.11 - 25  

남금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  이주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조은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김창오 (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거나 혹은 임종에 임박한 환자, 생애말기 환자를 돌보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과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종환자 돌봄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14년 06월 01일부터 2014년 06월 30일까지 4주에 걸쳐 수도권 소재의 3개의 상급종합병원 응급실 간호사 104명, 응급실 의사 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 이루어졌다. 결과: 성별,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28.1% 설명할 수 있으며, 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 전문가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 임종환자 돌봄 교육 유무, 직종에 의해 응급실 의료진의 개인적 임종환자 돌봄 태도는 34.1% 설명할 수 있다. 응급실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으로는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은 응급실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임종환자, 가족 및 동료 의료진과 관계와 관련이 있다. 결론: 응급실 의료진의 보다 나은 임종환자 돌봄 태도를 위해서 긍정적인 죽음인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에 따른 행정적, 실무적 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care providers' attitude towards end-of-life care (EOLC)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in hospital settings. Methods: From June 1 through June 30, 2014,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performed with 41 d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응급실이라는 특수한 환경 내에서 임종환자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각 영역별 상관성을 확인하고 응급실만의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조사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응급실 의료진이 보다 나은 임종환자 돌봄 태도를 갖추기 위해서 죽음인식을 긍정적으로 고취시키며, 긍정적인 임종환자 돌봄 태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응급실의 환경 개선 및 행정적, 실무적 정책 마련이 제공되어야 하겠다.
  • 본 연구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 태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임종환자 돌봄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의료진의 임종환자 돌봄에 대한 지지체계 및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응급실 의료진 146명을 대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서 임종을 맞이하거나 혹은 임종에 임박한 환자, 생애말기 환자를 돌보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에서의 임종환자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인식과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관계 및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분석하여 응급실에서 양질의 임종환자 돌봄이 이루어지기 위한 지지체계를 마련하고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병원 내의 응급실은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응급실에서의 초기 처치에 따라 환자의 사망률이나 장애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응급실 본연의 목적은 시급한 치료 및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료 예약이 필요 없고 접근이 용이하며, 빠른 시간 내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실의 특성때문에 통증, 호흡곤란, 출혈, 의식혼미 등과 같은 급성 증상을 가진 말기 환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1,2).
  • 병원 내의 양질의 임종환자 돌봄을 위해서는 죽음과 항상 접하고 있는 의료인들에게 죽음에 대한 태도, 철학의 정립이 우선되어야 하며, 죽음에 대한 인식은 임종환자와 가족들에게도 영향을 크게 미친다(12,15,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실 의료진의 죽음 인식을 분석하여 임종환자 돌봄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응급실의 특수한 환경 및 환자나 가족 혹은 다른 의료진과의 관계, 역할 등과 관련된 임종환자 돌봄 특성요인을 분석하여 응급실에서의 양질의 임종환자 돌봄에 적용할 수 있는 중재개발 및 의료진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응급실의 목적은? 병원 내의 응급실은 응급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응급실에서의 초기 처치에 따라 환자의 사망률이나 장애율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응급실 본연의 목적은 시급한 치료 및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료 예약이 필요 없고 접근이 용이하며, 빠른 시간 내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실의 특성때문에 통증, 호흡곤란, 출혈, 의식혼미 등과 같은 급성 증상을 가진 말기 환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1,2).
임종환자 돌봄이 응급실 의료진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는 이유는? 이는 응급실 내 생애말기 환자및 임종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실질적인 응급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치료나 간호에 장애요소가 된다(2-4). 또한 환자의 임종간호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채 계속되는 다른 업무를 진행해야 하거나 생애말기 환자나 가족에게 그들의 비극적인 상황을 전달해야 하는 업무적인 압박감, 불안감이 응급실 의료진에게는 부담이 된다(4-6). 그 결과 환자를 총체적 관점보다 생물학적 관점으로만 인식하게 되어 인간 자체의 가치나 삶의 의미, 존엄성의 상실을 가져올 위험성이 크고, 그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전인적인 돌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1,7). 이처럼 임종환자 돌봄은 응급실 의료진에게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5).
급성 증상을 가진 말기 환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이유는? 응급실 본연의 목적은 시급한 치료 및 처치가 필요한 응급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진료 예약이 필요 없고 접근이 용이하며, 빠른 시간 내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실의 특성때문에 통증, 호흡곤란, 출혈, 의식혼미 등과 같은 급성 증상을 가진 말기 환자들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1,2). 이는 응급실 내 생애말기 환자및 임종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실질적인 응급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치료나 간호에 장애요소가 된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ung M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ancer patients in the emergency room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9. Korean. 

  2. Song JW. Characteristics of frequent users in an emergency department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3. Gomes B, Calanzani N, Higginson IJ. Reversal of the British trends in place of death: time series analysis 2004-2010. Palliat Med 2012;26:102-7. 

  4. Hogan KA. Caring for adult patients who di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reflections of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Ottawa: Univ. of Ottawa.; 2008. English. 

  5. Marck CH, Well J, Lane H, Weiland TJ, Philip J, Boughey M, et al. Care of the dying cancer pati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of Australian emergency department clinicians. Intern Med J 2014;44:362-8. 

  6. Choe KS, Lee KS, Ham MY. Nurses Ethical difficulties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 Med Ethics 2012;15:219-30. 

  7. Choi EH, Lee EN. Importance of nurse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nurses and patients at emergency departm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4;20:402-12. 

  8. Jeon MH. Recogni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about the death in ER & ICU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8. Korean. 

  9. Noh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10. Cho YC.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1. Seo MJ, Kim JY, Kin SH, Lee TW.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i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108-17. 

  12. Woo YW, Kim KH, Kim K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3;16:33-41. 

  13. Jo KH, Kim GM.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among nurses and physicians. Korean J Med Ethics 2010;13:305-20. 

  14. Jo KH, Kim GM. Health personnel's comprehension of death in Korea. Korean J Med Ethics 2013;16:124-38. 

  15. Bradley EH, Cramer LD, Bogardus ST Jr, Kasl SV, Johnson-Hurzeler R, Horwitz SM. Physicians' ratings of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end-of-life-care practices. Acad Med 2002;77: 305-11. 

  16. Hong EM, Jun MD, Park ES, Ryu EJ.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 Nurs 2013;13:265-72. 

  17. Hulley SB, Cummings SR, Browner WS, Grady DG, Newman TB. Designing clinical research. 4th ed. Philadelphia:Wolters Kluwer/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13. p. 59-60. 

  18. Inumiya Y.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and relationships among its element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 2013. Korean. 

  19. Cha YR. A study on the nurses' attitude to death in Korea : centering on university hospital in Jeollabuckdo province [master's thesis]. Iksan: Wonkwang Univ.; 2006. Korean. 

  20. Levetown M, Hayslip B, Peel J. The development of the physicians' end-of-life care attitude scale. Omega 1999-2000;40: 323-33. 

  21. Weigel C, Parker G, Fanning L, Reyna K, Gasbarra DB. Apprehension among hospital nurses providing end-of-life care. J Hosp Palliat Nurs 2007;9:86-91. 

  22. Beckstrand RL, Smith MD, Heaston S, Bond AE. Emergency nurses' perceptions of size, frequency, and magnitude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 care. J Emerg Nurs 2008;34:290-300. 

  23. Heaston S, Beckstrand RL, Bond AE, Palmer SP. Emergency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 care. J Emerg Nurs 2006;32:477-85. 

  24. Lee J, Choi M, Kim SS, Kim H, Kim D. Korean nurses' perceived facilitators and barriers in provision of end-of-life care. Int J Nurs Pract 2013;19:334-43. 

  25. Kirchhorff KT, Beckstrand RL.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and helpful behaviors in providing end-of-life care to dying patients. Am J Crit Care 2000;9:96-105. 

  26. Gross AG. End-of-life care obstacles and facilitators in the critical care units of a community hospital. J Hosp Palliat Nurs 2006;8:92-1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