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mong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Terminal Care Performance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1, 2013년, pp.33 - 41  

우영화 (중앙대학교병원 15병동) ,  김경희 (중앙대학교 간호학과) ,  김기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간호현장에서 임종간호수행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임종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의 차이는 근무부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및 호스피스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임종간호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호스피스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nurses'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stress affect their terminal care performance in the clinical setting. Methods: The study enrolled 180 registered nurses with experience of attending dying 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임종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경우 죽음의 가치관을 정립하지 못한 상태에서 죽음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특히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부족하여 임종간호수행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는데 반해(20), 간호사의 효율적 임종간호수행및 죽음불안, 임종간호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죽음불안,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을 파악하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임종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 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임상간호 현장에서 임종간호수행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 실무 현장에서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효율적인 임종간호 중재안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간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에 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의 임종의 추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임종을 가족과 친지에 의해 집에서 행하였으나 오랜 관습에서 벗어나 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임종장소를 분석한 결과, 1998년 28.5%였던 병원에서의 임종이 2006년도에는 54.7%, 2010년에는 67.6%로 십여 년 전보다 2배 이상 상승되었으며 현재도 꾸준히 상승되고 있다(1).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임종을 어떻게 행하였나?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임종을 가족과 친지에 의해 집에서 행하였으나 오랜 관습에서 벗어나 병원에서 임종을 맞이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임종장소를 분석한 결과, 1998년 28.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및 임종간호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와 One-way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임종간호수행의 차이는 근무부서, 결혼여부, 교육정도 및 호스피스 교육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임종간호스트레스와 임종간호수행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사들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노력을 통해 임종간호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0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11. [cited 2011 Sep 15]. Available from: http://www.kostat.go.kr. 

  2.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561. 

  3. HIRAS: Analysis medical treatment payment 2005-2010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2010. [cited 2012 April 2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 

  4. Choi ES, Kim KS. Content analysis with counseling cancer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in outpatient hospice office. Korean J Rehabil Nurs 2005;8:50-58. 

  5. Mularski RA, Puntillo K, Varkey B, Erstad BL, Grap MJ, Gilbert HC, et al. Pain management within the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xperience in the ICU. Chest 2009;135:1360-1369. 

  6. Choi JY. A comparison of perceived nursing needs among oncology nurses, patients with non-terminal cancer and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Acad Nurs 2005;35:1135-1143. 

  7. Detering KM, Hancock AD, Reade MC, Silvester W. The impact of advance care planning on end of life care in elderly patient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C 2010;340:c1345. 

  8. Kang SE, Lee BS.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in 2001;7:237-251. 

  9. Seo YS, Sung KW. Influence of nurses' spirituality on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 Korean Gerontol Nurs 2012;14:12-20. 

  10. Lee EH, Chang SJ, Kim HO, Roh JH, Park EJ, Won JU.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of registered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19: 93-104. 

  11. Tunnah K, Jones A, Johnstone R. Stress in hospice at home nurses: a qualitative study of their experiences of their work and wellbeing. Int J Palliat Nurs 2012;18:283-289. 

  12. Han J, Lee N. Nursing students'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care. J Korean Oncol Nurs 2009;9:95-103. 

  13. Deffner JM, Bell SK. Nurses' death anxiety, comfort level during communication with patients and families regarding death, and exposure to communication education: a quantitative study. J Nurses Staff Dev 2005;21:19-23. 

  14. Cho MO. Experiences of ICU nurses on temporality and spatiality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Qual Res 2010;11:80-93. 

  15. Lim SH, Chang SO, Kim MS.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sign and symptom management in end of life care in nursing hom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0;17:209-219. 

  16. Kim SN, Kim HJ, Choi SO.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11;17:454-463. 

  17. Park SJ, Choi SH. A study on the degrees of death orienta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96;3:285-297. 

  18. Hansen L, Goodell TT, Dehaven J. Smith M. Nurse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fter multiple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Am J Crit Care 2009;18:263-271. 

  19. Lee HY, Lee YO, Choi EY, Park YM.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J Korean Oncol Nurs 2007; 7:26-35. 

  20. Cho IH, Kim BH. The study on perception about cancer patients. J Korean Oncol Nurs Nursing 2001;1:252-253. 

  21. Thorson JA, Powell FC. A revised death anxiety scale. Death Stud 1992;16:507-521. 

  22. Park EK.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death anxiet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 1995. Korean. 

  23. Kim MH, Lee BS. Death anxiety and attitude on death in hospice volunteers. Keimyung J Nurs Sci 2009;13:85-94. 

  24. Mealer M, Jones J, Moss M. A qualitative study of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nited States ICU nurses. Intensive Care Med 2012;38:1445-1451. 

  25. Ward-Griffin C, McWilliam CL, Oudshoorn A. Relational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providing home-based end-of-life care. J Fam Nurs 2012;18:491-516. 

  26. Callahan MF, Breakwell S, Suhayda R. Knowledge of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by student registered nurse anesthetists. AANA J 2011;79(4 Suppl):S15-S20. 

  27. Choi M, Lee J, Kim SS, Kim D, Kim H. Nurses' knowledge about end-of-life care: where are we? J Contin Educ Nurs 2012; 43:379-384. 

  28. Caton AP, Klemm P. Introduction of novice oncology nurses to end-of-life. Clin J Oncol Nurs 2006;10:604-608. 

  29. Crump SK, Schaffer MA, Schulte E.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 supports, and knowledge needed in providing quality end-of-life care. Dimens Crit Care Nurs 2010;29:297-306. 

  30. Chi KA, Kim EJ.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 toward hospice.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05;14: 285-2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