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 -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and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OL Care: Focus on Nurses at ED, ICU and Oncology Department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6 no.2, 2013년, pp.108 - 117  

서민정 (세브란스병원 호스피스실) ,  김정연 (세브란스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김상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  이태화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 및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2)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3)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방법: 3개 대학병원의 임종 다빈도 부서인 종양내과병동, 중환자실, 응급실에 근무하는 187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다차원 죽음에 대한 태도 척도',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 척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수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 통계, 상관관계,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결혼 유무, 종교, 근무 부서,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은 죽음에 대한 태도(P=0.014), 죽음에 대한 대처(P=0.003),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부서(P<0.001),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P<0.001)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이 근무 부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에 영향을 받으므로, 근무 부서에 따라 차별화된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1) explore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coping with death,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regarding end-of-life (EOL) care, 2) describe correlations among the above factors, and 3)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EOL care performance. Method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1)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 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 및 간호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2) 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3)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임종 다빈도 경험 부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개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 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의 인식과 간호수행을 조사하고 그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간호사 자신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이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Bae(13)의 연구에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해 인식과 수행을 나누어 측정하였으나 같은 도구를 사용한 다른 연구에서는 인식과 수행을 분리하여 측정한 예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과 수행을 각각 측정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본연구에서 생애 말기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은 4점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평균 3.
  • 이에 본 연구는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 개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및 생애 말기 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이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생애 말기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에 대한 지지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종 다빈도 경험 부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 개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 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의 인식과 간호수행을 조사하고 그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간호사 자신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대처정도, 생애 말기환자 간호인식이 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대처정도와 생애 말기환자 간호와의 관계를 응급실, 중환자실,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상관성을 파악하며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 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종 다빈도 부서 간호사 개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에 대한 대처정도 및 생애 말기 환자 간호에 대한 인식이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생애 말기환자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생애 말기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에 대한 지지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과 죽음에 대한 관리가 환자와 그 가족으로부터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옮겨지고 있는 추세인 이유는?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생명 연장술이 발달하고, 만성 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임종과 죽음에 대한 관리가 환자와 그 가족으로부터 의료기관과 의료인에게 옮겨지고 있는 추세이다. 2009년 통계청 결과에 따르면, 병원에서의 임종이 85.
생애 말기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간호사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견해와 철학을 확실하게 정립하도록 하는 준비가 필요한 이유는? 특히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환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으므로 임종환자를 돌보는 시간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 중환자실, 암병동, 응급실 등의 병동은 임종이 예견되는 환자가 많은 병동이고, 이런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매우 심한 스트레스나 고통을 받는다고 보고되고 있다(2). 이는 간호사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와 준비가 부족하고,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철학을 확실하게 정립하지 않고 있으며(3), 이러한 환자를 간호하면서 예견되는 환자의 죽음과 관련된 불안, 공포 및 슬픔 등 심리적 증상을 함께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4,5). 특히 죽음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가진 간호사는 죽음에 대한 불안 정도가 높기 때문에 임종환자나 가족들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6). 따라서 생애 말기환자와 가족을 돌보는 간호사들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견해와 철학을 확실하게 정립하도록 하는 준비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Seoul: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cited 2013 Mar 14]. Available from: http:// meta.kosis.kr/bzmt/main.jsp. 

  2. Jeon MH. Recognition among nurses and doctors about the death in ER & ICU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 2008. Korean. 

  3. Lee YS, Tae YS. The lived experience of the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oncology wards. Asian Oncol Nurs 2012;12:100-109. 

  4. Lee YO. A study of cancer unit nurses' stress from bereavement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 2004. Korean. 

  5. Sheward K, Clark J, Marshall B, Allan S. Staff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in the acute care setting: a New Zealand perspective. J Palliat Med 2011;14:623-30. 

  6. Braun M, Gordon D, Uziely B. Associations 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 Nurs Forum 2010;37:E43-E49. 

  7. Noh SS. A study on death perception, terminal care attitude,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Sungkyunkwan Univ.; 2010. Korean. 

  8. Wong PTP, Recker GT, Gesser G.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attitudes toward death. In: Neimeyer RA, 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Tayler & Francis;1994. p. 121-48. 

  9. Lee UY. Validation of Wong's death attitude profile-revised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 2008. Korean. 

  10. Bugen LA. Coping: effects of death education. Omega: J Death Dying 1980-81;11:175-183. 

  11. Kim JH. Predictors of death fear, death acceptance and death competency across the adult life span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 2008. Korean. 

  12. Robbin RA. Death competency: Burgen's coping with death scale and death self- efficacy. In: Neimeyer RA, 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Tayler & Francis;1994. p. 149-179. 

  13. Bae YR. The degree of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hospice care and their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hospice patients'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 2000. Korean. 

  14. Research ethics policy [Internet].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1999-2007. [cited 2011 Oct 12]. Available from: http://www.kasr.org. 

  15. Yi M.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2003;33:553-561. 

  16.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eath perception and terminal care performanc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7. Cho YC.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death and terminal care attitude [master's thesis]. Suwon: Ajou Univ.; 2011. Korean. 

  18. Kim JH, Lee HK. Cancer unit nurses' end-of-life care-related stress, understanding and training need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205-11. 

  19. Zhou G, Stoltzfus JC, Houldin AD, Parks SM, Swan BA.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behaviors of oncology advanced practice nurses regarding advanced care planning for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2010;37:E400-E410. 

  20. Jo KH, Kim YJ, Sohn KC. Types of perception toward end-oflife medical decision-making of clinical nurses: Q-methodological approach.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2;15:18-29. 

  21. Crump SK, Schaffer MA, Schulte E.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supports, and knowledge needed in providing quality end-of-life care. Dimens Crit Care Nurs 2010;29:297-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