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의 체질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식생활태도 및 영양상태 관련 인자: 2010-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Factors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Nutrition Status of Mother Affecting on Body Mass Index of Children aged 1-5years: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1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1, 2016년, pp.102 - 111  

박미연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필숙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mother's body mass index, eating habits, nutrition statu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 body mass index of the children. Methods: The study used original data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 1세~5세 유아들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영양상태, 식생활태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이 유아의 체질량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소아비만 예방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많은 연구에서 단일 대상자이거나 표본수가 적은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지만, 본 연구는 어머니-자녀 양측 대상자로, 총 1,9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가설 설정

  • Table 6은 어머니의 결식, 가족과 저녁식사 여부,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율 사분위수 및 평균필요량미만 영양소의 개수가 유아 자녀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연령 및 천식과 아토피성피부염을 보정한 후 분석한 결과이다. 어머니의 2일간 식사 중 결식의 횟수와 유아의 체질량지수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또한 어머니의 저녁식사 가족 동반여부와 유아의 체질량지수와 관련성이 없었으며, 어머니 영양소 섭취량 MAR값의 4분위수 분포와 유아의 체질량지수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유아기의 영양은 청소년기, 성인기를 거쳐 노년기에 이르는 생애 전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한 영양과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성인이 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영양관련 질환의 예방과 장차 우리 미래사회의 국민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1]. 201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2]에 의하면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의 125% 이상이면서 지방 섭취량이 에너지 적정비율을 초과한 비율이 1~2세에서 5.0%, 3~5세 8.1%였고, 에너지 섭취량이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 A, 리보플라빈의 섭취량이 평균 필요량 미만인 비율이 1~2세 5.9%, 3~5세 4.4%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경제 성장과 더불어 유아들의 영양 상태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영양과다 또는 영양부족 유아도 함께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질량지수란 무엇인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중을 신장의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3], 재현성이 뛰어나 비만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비만도 평가에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가 소아 청소년 체위기준치의 5분위수 미만은 저체중, 정상은 5~84분위수, 85~94분위수일 때 과체중, 95분위수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4].
유아 비만도 평가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중을 신장의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체지방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3], 재현성이 뛰어나 비만 진단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 비만도 평가에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체질량지수가 소아 청소년 체위기준치의 5분위수 미만은 저체중, 정상은 5~84분위수, 85~94분위수일 때 과체중, 95분위수 이상을 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atheson D, Spranger K, Saxe A. Pre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food and their food experiences. J Nutr Educ Behav 2002; 34(2): 85-92.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internet]. 2014 [cited 2015 Nov 10].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 Gallagher D, Visser M, Sepulveda D, Pierson R, Harris T, Heymsfield SB. How useful is body mass index for comparison of body fatness across age, sex, and ethnic groups? Am J Epidemiol 1996; 143(3): 228-239. 

  4. Moon JS, Lee SY, Nam CM, Choi JM, Choe BK, Seo JW et al.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review of developmental process and an outlook. Korean J Pediatr 2008; 51(1): 1-25. 

  5. Garn SM, Clark DC. Trends in fatness and the origins of obesity Ad Hoc Committee to Review the Ten-State Nutrition Survey. Pediatr 1976; 57(4): 443-456. 

  6. Koziel S, Kolodziej H. Birth order and BMI in teenage girls. Coll Antropol 2001; 25(2): 555-560. 

  7. Aull JL, Rowe DA, Hickner RC, Malinauskas BM, Mahar MT. Energy expenditure of obese, overweight, and normal weight females during lifestyle physical activities. Int J Pediatr Obes 2008; 3(3): 177-185. 

  8. Bandini LG, Schoeller DA, Cyr HN, Dietz WH. Validity of reported energy intake in obese and nonobese adolescents. Am J Clin Nutr 1990; 52(3): 421-425. 

  9. Sekine M, Yamagami T, Handa K, Saito T, Nanri S, Kawaminami K et al.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short sleeping hours and childhood obesity: results of the Toyama Birth Cohort Study. Child Care Health Dev 2002; 28(2): 163-170. 

  10. von Kries R, Toschke AM, Wurmser H, Sauerwald T, Koletzko B. Reduced risk for overweight and obesity in 5-and 6-y-old children by duration of sleep-across-sectional study. Int J Obes 2002; 26(5): 710-716. 

  11. Gallaher MM, Hauck FR, Yang OM, Serdula MK. Obesity among Mescalero preschool children. Association with maternal obesity and birth weight. Am J Dis Child 1991; 145(11): 1262-1265. 

  12. Oken E, Taveras EM, Kleinman KP, Rich-Edwards JW, Gillman MW. Gestational weight gain and child adiposity at age 3 years. Am J Obstet Gynecol 2007; 196(4): 322. 

  13. Gillman MW, Rifas-Shiman SL, Camargo CA Jr, Berkey CS, Frazier AL, Rockett HR et al. Risk of overweight among adolescents who were breastfed as infants. JAMA 2001; 285(19): 2461-2467. 

  14. Toschke AM, Vignerova J, Lhotska L, Osancova K, Koletzko B, von Kries R. Overweight and obesity in 6- to 14-year-old Czech children in 1991: protective effect of breastfeeding. J Pediatr 2002; 141(6): 764-769. 

  15. Li L, Parsons TJ, Power C. Breast feeding and obesity in childhood: cross sectional study. BMJ 2003; 327(7420): 904-905. 

  16. Cutting TM, Fisher JO, Grimm-Thomas K, Birch LL. Like mother, like daughter: familial patterns of overweight are mediated by mothers' dietary disinhibition. Am J Clin Nutr 1999; 69(4): 608-613. 

  17. Brich LL. The role of experience in children's food acceptance patterns. J Am Diet Assoc 1987; 87(9 Suppl): S36-S40. 

  18. Wright DE, Radcliffe JD. Parents' perceptions of influences on food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attending day care facilities. J Nutr Educ 1992; 24(4): 198-201. 

  19. Auld G, Boushey CJ, Bock MA, Bruhn C, Gabel K, Gustafson D et al. Perspectives on intake of calcium rich foods among Asian, Hispanic and white preadolescent and adolescent females. J Nutr Educ Bhav 2002; 34(5): 242-251. 

  20.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he Committee for the Development of Growth Standard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2007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internet]. 2007 [cited 2015 Nov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 

  21. Kim SM, Ko JH, Shim EJ, Lee DH, Cho DJ, Kim DH et al. Serum creatinine, blood urea nitrogen change in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their first days of life. Korean J Perinatol 2008; 19(2): 181-189. 

  22. Wen CP, Cheng TYD, Tsai SP, Chan HT, Hsu HL, Hsu CC et al. Are Asians at greater mortality risks for being overweight than Caucasians? Redefining obesity for Asians. Public Health Nutr 2009; 12(4): 497-506. 

  23. Klesges RC, Klesges LM, Eck LH, Shelton ML. A longitudinal analysis of accelerated weight gain in preschool children. Pediatr 1995; 95(1): 126-130. 

  24. Charney E, Goodman HC, McBride M, Lyon B, Pratt R. Childhood antecedents of adult obesity: Do chubby infants become obese adults? N Engl J Med 1976; 295(1): 6-9. 

  25. Hashimoto N, Kawasaki T, Kikuchi T, Takahashi H, Uchiyama M. Influence of parental obesity on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Japan. Acta Pediatr Jpn 1995; 37(2): 150-153. 

  26. Kivimaki M, Lawlor DA, Smith GD, Elovainio M, Jokela M, Keltikangas-Jarvinen L et al. Substantial intergenerational increases in body mass index are not explained by the fetal overnutrition hypothesis: the cardiovascular risk in Young Finns study. Am J Clin Nutr 2007; 86(5):1509-1514. 

  27. Park JK, Ahn HS, Lee DH. Nutrient intake and eating behavior in mid and severely obese children. Korean J Obes 1995; 4(1): 41-50. 

  28. Skinner JD, Carruth BR, Bounds W, Ziegler P, Reidy K. Do food-related experiences in the first 2 years of life predict dietary variety in school-aged children? J Nutr Educ Behav 2002; 34(6): 310-315. 

  29. Moon JY, Hahn WH, Shim KS, Chang JY, Bae CW.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n Korea. Korean J Perinatol 2011; 22(1): 30-36. 

  30. Lee JJ. Effect of women's first childbearing age on the risk of low birth weight. Korean J Pediatr 2007; 50(12): 1206-1211. 

  31. Kristensen S, Salihu HM, Keith LG, Kirby RS, Pass MA, Fowler KB.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ge on neonatal survival of twin small-for-gestational-age subtypes. J Obstet Gynaecol Res 2007; 33(3): 259-265. 

  32. Moon HK, Song BH, Chung HR.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on growht of preschool children in Korea: Analysis with weight-length index.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1992; 18(1): 193-205. 

  33. He Q, Ding ZY, Fong DYT, Karlberg J. Risk factors of obesity in preschool children in China: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Int J Obes 2000; 24(11): 1528-15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