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점심 식사장소에 따른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의 비교 :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Comparison of nutrients and food intake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lunch places: based o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3, 2018년, pp.254 - 263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점심 식사장소에 따라 영양소와 식품섭취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제5기 (2010 ~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개인별 24시간 회상에 의한 식품섭취조사 항목 중에서 점심 식사장소가 유아원/유치원일 경우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으로, 점심 식사장소가 가정과 이웃집/친척집일 경우 가정 점심식사군으로 나누어 복합표본설계 요소를 반영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수는 1~2세에서 보육기관 점심식사군 179명, 가정 점심식사군 367명이었고, 3 ~ 5세에서 보육기관 점심식사군 549명, 가정 점심식사군 225명이었다. 연령군별 하루 총에너지섭취량, 점심과 저녁 식사로부터 에너지 섭취량은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으나, 아침 에너지섭취비율이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에서 낮은 반면에 간식 에너지섭취비율은 더 높았다. 3 ~ 5세 유아에서는 나트륨, 칼륨 및 비타민 C 섭취량이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에서 많았으며,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가정 점심식사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점심으로부터 섭취한 식품군을 비교한 결과 1~2세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에서 채소류 섭취량이 유의하게 많은 반면에 과일류, 난류, 우유류 섭취량은 가정 점심식사군에서 많았다. 3 ~ 5세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의 점심으로부터 채소류, 두류, 어패류 섭취량이 유의하게 많은 반면에 우유류 섭취량은 가정 점심식사군에서 많았다. 3~5세 유아들이 보육기관 점심으로부터 채소류, 두류, 어패류를 더 많이 섭취하고 칼륨과 비타민 C를 많이 섭취하여 보육기관 점심이 영양소 균형과 식품 다양성 측면에서 가정 점심보다 나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성장 발육을 위한 적절한 영양 공급은 물론,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서 보육기관 급식은 물론, 가정 식사에서도 채소류, 생선류 등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trients and food intake of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ir lunch places. Methods: The dietary survey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 2012) were used. The children were grouped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점심 식사장소에 따라 영양소와 식품 섭취량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제5기 (2010 ~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개인별 24시간 회상에 의한 식품섭취조사 항목 중에서 점심 식사 장소가 유아원/유치원일 경우 보육기관 점심식사군으로, 점심 식사장소가 가정과 이웃집/친척집일 경우 가정 점심 식사군으로 나누어 복합표본설계 요소를 반영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6 보육기관에서의 유아 급식률이 급속하게 증가했음8에도 불구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보육기관에서의 식사와 가정에서의 식사를 영양 측면에서 직접 비교한 자료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2010 ~ 2012년 동안에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품섭취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점심식사 장소에 따른 유아의 영양소 및 식품 섭취량을 비교 및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란? 유아기는 1~5세 연령군으로 영아기의 성장속도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활동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신체조절 능력이 점차 향상되며, 두뇌 성장이 빠르게 진행된다.
유아가 식생활에서 부모 등 성인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이유는? 유아는 아직 음식의 선택이나 섭취량을 스스로 조절하고 관리할 능력이 없으므로 식생활에서 부모 등 성인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다.5 과거 대부분의 유아가 가정에서 양육될 때는 유아의 식생활이 부모 등 가족환경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1990년대 이후 어린이집과 유치원 이용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보육기관 급식소 환경 및 보육종사자가 유아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또한 중요해졌다.
유아기 식행동 문제는 어떤 것들이 공존하는가? 또한 신체의 제반 조절 기능 및 사회 인지적 능력이 발달하는 시기이므로 충분한 영양소의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1 유아의 식행동 문제는 까다로운 식성, 불규칙한 식사, 과식 등이며, 2 또한 소식과 편식으로 인한 영양부족,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에너지 과잉 및 비만 문제가 공존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oo JO, Kim JH, Byun KW, Sohn CM, Lee JW, Lee JH, Choi YS.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Seoul: Powerbook Co.; 2013. 

  2. Dubois L, Farmer AP, Girard M, Peterson K. Preschool children's eating behaviours are related to dietary adequacy and body weight. Eur J Clin Nutr 2007; 61(7): 846-855. 

  3. Seo JY, Lee IS, Choi BS.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habit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10-721. 

  4. Shin KO, Chung KH, Park HS.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stratified based on the weight-length index (WLI). Nutr Res Pract 2010; 4(5): 383-392. 

  5. Addessi E, Galloway AT, Visalberghi E, Birch LL. Specific social influences on the acceptance of novel foods in 2-5-year- old children. Appetite 2005; 45(3): 264-271. 

  6. Benjamin Neelon SE, Briley M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benchmarks for nutrition in child care. J Am Diet Assoc 2011; 111(4): 607-615. 

  7. Nicklas TA, Baranowski T, Baranowski JC, Cullen K, Rittenberry L, Olvera N. Family and child-care provider influences on preschool children's fruit, juice, and vegetable consumption. Nutr Rev 2001; 59(7): 224-23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ocial security factbook 2014, p53 [Internet].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cited 2018 Jun 7];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608&page1&CONT_SEQ301120. 

  9. Do NH, Kim JS, Ha MK. Survey on time use of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Research report 2013-10. Seoul: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3. 

  10. Song ES, Kim EG. A Study of parents' satisfaction and needs for foodservice quality of the child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4): 497-510. 

  11. Sin EK, Lee YK. Evaluati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in day-care cen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5; 34(7): 1008-1017. 

  12. Chung M, Lee YM, Lee KW.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J Korean Home Econ Assoc 2000; 38(4): 99-114. 

  13. Seo JY, Lee IS, Choi BS.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 in preschool children: Daegu and its environs. Korean J Food Cult 2008; 23(6): 793-800. 

  14. Lee JY, Cho DS. The eating behavior and food preference of preschool children in Sungnam day care facilities. Korean J Food Nutr 2006; 19(4): 482-495. 

  1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16. Kweon S, Kim Y, Jang MJ, Kim Y, Kim K, Choi S, Chun C, Khang YH, Oh K. Data resource profil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nt J Epidemiol 2014; 43(1): 69-77. 

  17.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2015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Internet]. Cheongju: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2015 [cited 2018 June 7]. Available from https://ccfsm.foodnara.go.kr/menuno164. 

  18. Ministry of Education (KR). Kindergarten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f Korea; 2013. 

  20. Birch LL. Development of food acceptance patterns in the first years of life. Proc Nutr Soc 1998; 57(4): 617-624. 

  21. Cooke L, Wardle J, Gibson E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port of food neophobia and everyday food consumption in 2-6-year-old children. Appetite 2003; 41(2): 205-206. 

  22. Lee Y, Oh YJ. A study on kindergarten's meal service program and children's food intake. Korean J Nutr 2005; 38(3): 232-241. 

  23. Kim SH, Park GS. Survey on actual situation and importance of use of snacks according to young children mother's nutrition knowled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6; 26(2): 141-151. 

  24. Yeoh Y, Kwon S, Lee Y. Menu pattern and food diversity of snack menus provided b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s in Seoul. J Nutr Health 2014; 47(6): 443-451. 

  25. Black RE, Williams SM, Jones IE, Goulding A. Children who avoid drinking cow milk have low dietary calcium intakes and poor bone health. Am J Clin Nutr 2002; 76(3): 675-680. 

  26. Jung HR, Lee MJ, Kim KC, Kim JB, Kim DH, Kang SH, Park JS, Kwon KI, Kim MH, Park YB. Survey on the sodium contents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4): 526-534. 

  27. Kim JN, Park S, Ahn S, Kim HK. A Survey on the salt content of kindergarten lunch meals and meal providers' dietary attitude to sodium intake in Gyeonggi-do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5): 478-490. 

  28. Kim HY, Yang IS, Chae IS, Yi BS, Park MK, Kim HY, Kang TS, Leem DG, Lee JH, Lee HY. Effectiveness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for menu management and dietary varie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43-256. 

  29. Seo JY, Lee IS, Choi BS.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assessment of dietary pattern and dietary divers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5): 521-530. 

  30. Briley ME, Jastrow S, Vickers J, Roberts-Gray C. Dietary intake at child-care centers and away: are parents and care providers working as partners or at cross-purposes? J Am Diet Assoc 1999; 99(8): 950-9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