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항 위험물 부두의 안전계류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Safe Mooring Guide for Dangerous Goods Berths in Ul-San Port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2 no.1, 2016년, pp.67 - 73  

강원식 (선박안전기술공단) ,  박영수 (한국해양대학교 항해학과)

초록

항만물동량이 증가하고 선박의 대형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부두의 설계 접안능력보다 큰 선박이 부두를 이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위험물 취급항만인 울산항을 대상으로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위험물 부두를 이용한 선박 실태를 조사하였고 기존 부두 접안능력의 최대 3배가 넘는 선박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에 따라, 50,000 DWT급 부두를 모델링하여 50,000 DWT급, 70,000 DWT급, 100,000 DWT급 선박을 대상으로 계류 프로그램을 통해 선박 규모의 변화에 따른 계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는 OCIMF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환경기준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50,000 DWT급 선박은 대체로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70,000 DWT급 선박의 경우 풍속 60 kts, 파고 1.5 m 이상의 기상조건에서 100,000 DWT급 선박은 풍속 60 kts 조건 등에서 허용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대상부두에 대한 안전 계류 가이드라인 사례를 제시하였고 향후 다양한 사례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해당항만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도록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tate of the vessels which were using the berth for dangerous goods more than its carrying capacity in the major dangerous cargo handling port of Ulsan in Ko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 ship which has 3 times more than the maximum berthing capacity was moor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실태와 안전계류를 위한 운영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해 울산항을 대상으로 부두의 접안능력을 상회하는 선박이 부두를 이용하는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50,000 DWT급 부두를 대상으로 선박규모 변화에 따른 외력별 계류안전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만, 계류안전성 평가 결과는 바람, 파고, 조류 등 외력뿐만 아니라 선박의 길이, 폭, 풍압면적, 흘수, 계류삭 특성 등 선박제원과 부두의 길이, 계류형태 등 부두 제원에도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평가 결과가 절대적인 수치라고 볼 수는 없으므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사례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바람, 조류 및 파랑과 같은 외력이 존재할 때 계류된 선박 규모의 변화에 따라 계류삭 및 계선주의 장력, 방충재의 반력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부두 특성, 이용선박 특성 및 바람, 조류 및 파랑 등과 같은 환경외력을 모델링 하였다. 그리고 계류안전성에 대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용 소프트웨어로 개발된 TTI(Tension Technology International)사의 OPTIMOOR S/W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선박의 계류한계 및 평가 대상부두에 대한 안전 계류가이드 사례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계류안전성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선박운항자, 부두운영관리사 등 부두 이용자가 선박과 부두, 외력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계류장력 등을 파악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안전 계류를 위한 운영 가이드라인 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위험물 취급항만인 울산항을 대상으로 접안능력을 상회하는 선박의 부두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접이안한 선박의 계류안전성을 검토하여 계류안전 가이드라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평가 대상부두에 대한 대상선박은 입출항 선박 현황조사 결과에 따라 최대 100,000 DWT급 탱커선을 적용하였으며 부두의 적정 접안능력에 따른 50,000 DWT급 선박부터 최대 선박까지 규모가 상향될 때 계류삭 및 계선주 장력, 방충재 반력 등 계류상황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 50,000 DWT급, 70,000 DWT급, 100,000 DWT급 탱커선이 각각 계류하고 있을 경우를 가정하여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울산항을 입항한 선박의 수와 선박의 톤수는? 2014년 울산항을 입항한 선박은 총 51,565척이며 전체 선박의 톤수는 435,103,488톤이다. 전국항만 중 부산(95,378척)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입항선박 의 규모와 항만 물동량면에서는 부산과 광양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선박 규모를 가지고 있다(SP-IDC, 2014).
국내 전체 항만 물동량의 증가량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내 전체 항만 물동량은 20년간 약 2.8배 증가, 우리나라 전체 입출항 선박 척수는 약 1.5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에 전체 항만 입출항 선박의 톤수는 약 3.
온산항의 동북부두의 접안능력과 1년간 접안 한 선박 수, 그리고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이용한 선박의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동북부두의 접안능력은 30,000 DWT이며, 1년간 접안한 총 542척의 선박 중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부두를 이용한 선박은 약 16 %로 조사되고 최대 선박은 약 52,000 DWT으로 분석되었다. 정일 1부두와 2부두, OTK부두의 경우 접안능력은 각 40,000 DWT이며 접안능력을 초과하여 부두를 이용한 선박은 4~7%인 것으로 조사되고 최대 규모 선박은 약 51,000 DWT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usan Regional Office of Ocean & Fisheries(2014), The number of vessels that depart and arrive(2014), http://www.portbusan.go.kr. 

  2. Choi, B. H. and S. C. Kim(2010), An Empirical Study on Causality among Trading Volume of Busan, Kwangyang and Incheon port, Port Economic, Vol. 26, No. 1, pp. 61-82. 

  3. IMO(2005),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SC Circular 1175, Guidance On Shipboard Towing and Mooring Equipment. 

  4. Kang, W. S.(2015), A Study of Design for Proper Berthing Capacity of Berths for Dangerous Goods in Ul-San Port,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ast Guard Studies, Master's thesis. 

  5.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4), A Guide for Design of Harbour and Fisheries, pp. 29-52, pp. 710-712. 

  6. OCIMF(2008), Oil Companies International Marine Forum, Mooring Equipment Guidelines. 3rd Edition, pp. 31-38, pp. 77-88, pp. 109-135, pp. 163-173. 

  7. PIANC(2014), Perman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Navigation Congresses, Harbour Approach Channels Design Guidelines, 3rd Edition, pp. 31-38. 

  8. SP-IDC(2014), Shipping And Port Integrated Data Center, Port Trading Volume(1994-2014) and The number of vessels that depart and arrive(2014), https://www.spidc.go.kr. 

  9. SK Gas/SK Energy(2011), Report of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for Extension of the SK Pier (#3) and the Berth of SK Gas, Ch.7, pp. 6-8, pp. 13-27. 

  10. UPA(2014), Ulsan Port Authority, General Status and Specifications for Ul-san Port(2014), http://www.upa.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