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 교수 맥락 내에서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구축
Construction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O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in Biology Teaching Context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6년, pp.147 - 158  

김선영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예비 생물교사들을 대상으로 약 9개월에 걸친 연구기간 동안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태도의 변화, 과학의 본성 교수 계획 및 실행 과정,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신념 및 과학의 본성 교수 전략 등의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의 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3학년 1학기 <교과교육론>과목을 통해 과학이란 어떤 학문인지, 과학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과학의 본성에 대해 명시적으로 토론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졌다. 뿐만 아니라 과학사의 에피소드를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찾아보는 과정을 거쳤으며,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의 본성 학습목표를 도입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가변성,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창의적 측면, 사회적 협의의 역할, 과학의 이론의존적 탐구, 과학 지식의 발달에 있어서 사회 문화적 영향 등을 과학의 본성 교수학습 목표로 도입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하고 수업에 이를 반영하였다. 또한 3학년 2학기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목을 통해 과학의 본성 요소를 도입한 모의수업의 경험을 가졌다. 연구결과, <교과교육론> 과목에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의 본성 교수에 대한 관점에 향상을 나타냈으며,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목 후에는 두 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모의 수업 후 적은 반성적 일지에서 과학의 본성 요소를 중등학교 생물수업에 도입할 때 어려웠던 점, 과학의 본성 교수의 필요성, 그리고 어떤 교수법이 효과적인지 제안하는 모습을 보여 예비교사 스스로 과학의 본성 교수내용학적 지식을 구축해나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O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wo consecutive science methods courses: NOS understandings;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difficulties of NOS teaching; NOS teaching strategies; and views of orientation of NOS teaching. 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과 기술에 의해 형성된 사회에서 과학적 소양을 가진 시민의 양성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며,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 NOS)에 대한 이해는 과학적 소양의 중요한 요소이다(AAAS, 1993; NRC, 1996). 과학적 소양은 과학 지식 및 과학적 사고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논리적 논의를 통해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의사결정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NRC, 1996).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과학 지식의 근거와 타당성을 포함하는 과학 지식의 발달 과정과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의미하는 과학의 본성 교육이 기반 되어야 한다(Driver et al.
현재 중등학교에 과학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이 있는 이유는? .그 이유는 학생들 이 과학을 어렵게 느낀 것도 맞지만, 과학이라는 학문의 진정한 매력을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무슨 학문이든지 그 학문의 본질을 깨닫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가? 과학적 소양은 과학 지식 및 과학적 사고 방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논리적 논의를 통해 문제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의사결정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NRC, 1996).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과학 지식의 근거와 타당성을 포함하는 과학 지식의 발달 과정과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의미하는 과학의 본성 교육이 기반 되어야 한다(Driver et al., 1996; Sandov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Abd-El-Khalick, F. (2013). Teaching with and abo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er knowledge domains. Science & Education, 22(9), 2087-2017. 

  4.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5.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mproving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critical review of the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665-701. 

  6. Akerson, V. L., Abd-El-Khalick, F., & Lederman, N. G. (2000). Influence of a reflective explicit activity based approach on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295-317. 

  7. Bell, R. L., Lederman, N. G., & Abd-El-Khalick, F. (2000). Developing and acting upon one'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A follow-up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536-581. 

  8. Brickhouse, N. W. (1989). The teaching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in secondary classrooms: Case studies of teachers' personal theo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4), 437-449. 

  9. Brush, S. G. (1989).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Interchange, 20(1), 60-71. 

  10. Carey, R. L. & Strauss, N. G. (1968). An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by prospect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Science Education, 52(4), 358-363. 

  11. Chen, S. (2006).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views on nature of science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0(5), 803. 

  12. Clough, M. P. (2006). Learners' responses to the demands of conceptual change: Considerations for effective nature of science instruction. Science Education, 15, 463-494. 

  13. DeBore, G. E. (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582-601. 

  14. Driver, R., Leach, J., & Millar, R.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McGraw-Hill Education (UK). 

  15. Khishfe, R. & Abd-El-Khalick, F. (2002). Influence of explicit and reflective versus implicit inquiry oriented instruction on sixth graders' view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551-578. 

  16. Kim, J., Jeon, E., & Paik, S. (2007).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science views of science textbook, science teacher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09-817. 

  17. Kim, S. Y. (2010).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Biology vs. non-biolog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2), 206-217. 

  18. Kim, S. Y. (2015).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NOS teaching practices in the simulated teaching. Biology Education, 43(3), 228-239. 

  19.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4), 331-359. 

  20. Lederman, N. G. (1999).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lassroom practice: Factors that facilitate or impede the relationshi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16-929. 

  21. Matkins, J. J., & Bell, R. L. (2007). Awakening the scientist inside: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nature of science in an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 137-163. 

  22.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23. McComas, W. F. (1998).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Dispelling the myths. In W. F. McComas(Ed.),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53-70).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24. McComas, W. F. Clough, M. P., & Almazroa, H. (1998). The role and character of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7(6), 511-532.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 Ryder, J., Leach, J., & Driver, R. (1999).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imag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201-220. 

  27. Sandoval, W. A. (2005). Understanding students' practical epistemologies and their influence on leaning through inquiry. Science Education, 89, 634-656. 

  28. Schwartz, R. S., & Lederman, N. G. (2002). "It's the nature of the beast": The influence of knowledge and intentions on learning and teaching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3), 205-236. 

  29. Simmons, P. E., Emory, A., Carter, T., Coker, T., Finnegan, B., Crockett, D., Richardson, L., Yager, R., Craven, J., & Tillotson, J. (1999). Beginning teachers: beliefs and classroom a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30-954. 

  30.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 Deli: Sage Publications. 

  31.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32. Vesterinen, V., & Aksela, M. (2012). Design of chemistry teacher education course on nature of science. Science & Education, Published online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