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대의 학습과 정보 - 학습 코먼스로서 학교도서관 -
Learning with Information in Digital Age: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as Learning Common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0 no.1, 2016년, pp.353 - 375  

정진수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디지털 패러독스"가 "조용한 위기"로 우리의 미래 세대를 위협한다는 심각한 우려가 있으나 이미 디지털 문화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디지털 매체들과 기존의 다양한 정보매체들의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학습에 활용해야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기반 의미 있는 학습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를 적용한 학교도서관 학습 코먼스(Learning Commons)를 제안하는 것이다. 학습을 위해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와 매체들을 다루는 학교도서관의 중요성을 전제하여 정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매체와 학습의 밀접한 연관성, 정보 활용을 통한 의미 있는 학습의 개념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의 초점은 정보열람과 접근이 아닌 학습이어야 한다는 학습 코먼스의 개념을 학교도서관에 적용 및 분석하였다. 본 논문이 디지털 시대의 학교도서관프로그램 핵심인 정보기반 학습에 의미 있는 학습을 위한 학습 코먼스의 설계를 지원하는 이론적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people seriously worry that "digital paradox" is a "quiet crisis" to our society as a whole and threatens our future generation, we need to reconsider how we utilize digital media for effective learning as we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and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all formats of 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은 탐구적 학습 및 문제해결 학습을 가르치는데 효과적일 뿐 아니라 관찰력과 세밀한 부분과 정보에 대한 집중력을 기르는데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Seels et al. 2004).
디지털 패러독스 현상은 어떤 현상인가? 그러한 여러 이슈 중 하나가 “디지털 패러독스”(Guernsey and Levine 2015)이다. 즉, 청소년들이 성인이 된 후에 일할 고도화된 정보 사회에서는 독서능력이 뛰어난 인재를 원하지만 막상 그들은 디지털 도구 들에 둘러싸여 그러한 독서능력을 함양하기가 점점 어려워진다(Guernsey and Levine 2015) 는 것이다. 인지뇌과학자인 Wolf(2007)에 따르면, 독서능력은 결코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주어진 능력이 아닌데 디지털 문화 속에서 우리는이 능력을 훈련할 기회는 점점 줄고 결국 능력 자체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상호작용 가능 매체란 무엇인가? 상호작용 가능 매체는 “참여자가 어떤 수준의 행동을 함으로써 표현의 순서가 달라지는 정보”(Smaldino et al. 2008, 371)를 담고 있는 매체이다. 우리는 상호작용 가능 매체를 말할때 흔히 컴퓨터를 이용한 상호작용을 떠올리지만 이와 함께 전통적인 형태로 대면 상호작용을 하는 게임, 훈련, 또는 상호작용 박물관 등도 역시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교육부. 2014. 제5차 교육정보화 기본계획(2014-2018). 서울: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2014. The 5th National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lan. Seoul: Ministryof Education.) 

  2. 미래창조과학부. 2015. 2014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과천: 미래창조과학부. [online] [cited 2015. 11. 10.]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2015. 2014 Internet Addiction Survey Results.Gwacheon: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online] [cited 2015. 11. 10.] ) 

  3. 임형연. 2014. 도서관 정보코먼스에서 러닝코먼스로의 진화: 일본 공공도서관의 러닌코먼스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441-462.(Lim, Hyung-Yeon. 2014. "Evolution of Public Library from Information Commons to LearningCommons: The Cases of Japan Public Library."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45(3): 441-462.) 

  4. 정진수. 2003. 풍부한 정보환경에서 정보와 함께하는 학습: 인지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4(3): 135-158.(Chung, Jin Soo. 2003. "Learning with Information in an Information-Rich Environment."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4(3): 135-158.) 

  5. 정진수. 2015. 다양하고 풍부한 맞춤콘텐츠를 구축하여 제공하는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저널, 51: 57-60.(Chung, Jin Soo. 2015.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Providing Diverse and Rich Information."School Library Journal, 51: 57-60.) 

  6.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3. 초중등학생 스마트기기 활용실태 조사.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online] [cited 2015. 1. 15.] (KERIS. 2013.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Use of Smart Phones. Daegu: KERIS.[online] [cited 2015. 1. 15.] ) 

  7.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3 청소년 통계. 대전: 통계청, 서울: 여성가족부. [online] [cited 2015. 11. 10.]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3. 2013 Adolescents Statistics.Daejoen: Statics Korea,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online] [cited 2015.11. 10.] ) 

  8. Anderson, D. R. and Collins, P. A. 1988. The Impact on Children's Education: Television's Influence on Cognitive Development.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ERIC No. 295-271. 

  9. Anderson, L. W. and Krathwohl, D. R. Ed.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mplete ed. New York: Longman. 

  10.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ians. 2015. Growing up Digital: Media Research Symposium. Elk Grove Village, IL: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online] [cited 2016. 1. 1.] 

  11.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1: Cognitive Domai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12. Bransford, J. D. Brown, A. L. and Cocking, R. R. 2000.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3. Bransford, J. D. and Johnson, M. K. 1972. "Contextual Prerequisites for Understanding: Some Investigations of Comprehension and Recall."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1: 717-726. 

  14. Buckland, M. 1991. "Information As Thing." Journal of American Society of Information Science, 42(5): 351-360. 

  15. Carr, N. 2011. The Shallows: What the Internet Is Doing to Our Brain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16. Chung, J. S. 2003. Information Use and Meaningful Learning. Ph.D. diss., College of Information Studies, University of Maryland, U.S. 

  17. Churches, A. 2011. "Digital Learning." Teacher Librarians, 39(2): 34. 

  18. Cognitive and Technology Group. 1991. "Technology and the Design of Gene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31(5): 34-50. 

  19. Deloura, M. 2014. The White House Education Game Jam. Washington DC: The White House. [online] [cited 2015. 1. 15.] 

  20.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2016 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Plan.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online] [cited 2016. 1. 15.] 

  21. Gee, J. P. 2005. "What Would a State of the Art Instructional Video game Look Like?" Innovative: Journal of Online Education, 1(6). [online] [cited 2016. 1. 1.] 

  22. Guernsey, L. and Levine, M. H. 2015. Tap, Click, Read: Growing Readers in a World of Scree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3. Haloday, M. A. and Hasan, R. 1976.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24. Hannafin, M. et. al. 1994. "Learning in Open-Ended Environments: Assumptions, Methods, and Implications." Educational Technology, 34(8): 48-55. 

  25. Jacobson, M. J. 2008. "A Design Framework for Educational Hypermedia System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6(1): 5-28. 

  26. Loertscher, D. and Koechlin, C. 2014. "Climbing to Excellence: Defining Characteristics for Successful Learning Commons." Knowledge Quest, 42(4): 1-10. 

  27. Kozma, R. 1991. "Learnin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2): 79-211. 

  28. Loertscher, D., Koechlin, C. and Zwaan, S. 2008. The New School Learning Commons Where Learners Win. Spring, TX: Hi Willow Research & Pub. 

  29. Marchionini, G. 1995. Information Seeking in Electronic Environment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Mayer, R. 1984. "Aids to prose comprehension." Educational Psychologist, 19: 30-42. 

  31. Mellon, C.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32. Middleton, J. A. 1995. "A Study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 Personal Constructs Approach."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3): 255-257. 

  33. Neuman, D. 2011. Learning in an Information Rich Environment. New York: Springer. 

  34. Novak, J. 1998. Learning, Creating, and Using Knowledge. Mahwah, NJ: Lawrence Erlbaum. 

  35. Rieber, L. P. 1992. "Computer-Based Microworlds: A Bridge Between Constructivism and Direct Instruc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10): 93-106. 

  36. Salomon, G. 1972. "Can We Affect Cognitive Skills Through Visual Media? A Hypothesis and Initial Findings." AV Communication Review, 20(4): 401-422. 

  37. Seels, B. et al. 2004. Research on Learning Form Television. In Jonassen, D. H. ed. Handbook of Research on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2n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38. Smaldino, S. E. et al. 2008.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Lawrence Erbaum. 

  39. Wixson, K. 1984. "Level of Importance of Postquestions and Children's Learning from Tex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2): 419-433. 

  40. Wolf, M. 2007. Proust and the Squid: The Story and Science of the Reading Brain. New York: Harper Colli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