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SMEs·Ventu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blems Using AHP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1, 2016년, pp.1 - 12  

노두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정영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박호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9%, 종사자의 87.5%, 전체 생산액의 47.6% 등 국가경제 전반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기술혁신, 지역균형개발, 산업의 다양성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의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함에 따라 그 지원의 실효성은 높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 경제의 근간인 중소기업이 국가경제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사업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무엇보다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이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 파악을 목적으로 애로요인들을 평가지표화 하고, 이들 지표의 중요도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요인에 대한 선행연구와 전문가 면담을 통해 12개의 주요 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이들 12개 항목들을 기술요인, 기업내부요인, 기업외부요인 등 3요인으로 분류하였다. AHP 분석결과, 기업내부요인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하위항목으로는 '시장 환경'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공공 연구기관 및 중소기업 지원 기관이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그램 기획과 지원 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mall and medium sized domestic enterprises(SMEs) play an pivotal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ccounting for 99.9% of all enterprises, 87.5% of total employment, and 47.6% of production. and SMEs was driving a real force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in many respects such as j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의 기술사업화 문제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애로요인을 우선적으로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정부 및 출연(연)이 중소기업을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계획은 중소기업과 출연(연) 간의 공동연구, 인력지원 등 산·연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마련함과 동시에 중소기업 지원과 관련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다(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이하 (MSIP), 2014a).
  • 본 계획은 특히 중소기업의 창의력과 상상력을 통해 신기술·신산업·신시장 개척 등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창조경제의 밑거름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이하 SMBA), 2014a).
  •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이 기술사업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애로요인들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였고, 정책적 지원 분야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애로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AHP 설문 결과의 분석을 통하여 정량적 가중치로 나타내고, 이를 통해 중소기업 정책 및 프로그램 수요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요자(중소기업) 측면에서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요인들을 파악한 후 실질적인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시도했다. 또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특히 당장 수치화하기 어려운 정성적 요인들을 구조적으로 계층화하고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략·정책 연구의 방법론으로써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술사업화 애로요인을 계층적 형태로 구조화 한 후 정책지원이 필요한 요인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AHP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그들이 기술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다양한 애로요인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며,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계층적으로 구조화하기 위한 절차가 필요하다. 전체 애로요인들을 구조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주요인(Main Factor)을 선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들 중 Yang(2005), Jang et al.
  • 이는 실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파악함은 물론, 애로사항 별로 시급성과 상대성을 비교·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고객 부응형 중소기업 지원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정부, 중소기업 및 출연(연) 차원에서의 시사점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들의 기술사업화 문제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애로요인을 우선적으로 파악한 후, 이를 토대로 정부 및 출연(연)이 중소기업을 지원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때, 각 요인들이 가지는 중요도를 분석하여 추후에 사업화 지원 시 보다 우선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는 실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과정에서 겪는 애로사항을 파악함은 물론, 애로사항 별로 시급성과 상대성을 비교·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중소기업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애로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중소기업 지원 책의 실효성은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문제점 해결 여부에 달려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의 비중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중소기업은 전체 사업체 수의 99.9%, 종사자의 87.5%, 전체 생산액의 47.6% 등 국가경제 전반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기술혁신, 지역균형개발, 산업의 다양성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의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정부에서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과 정책적 지원하기 위해 제정한 법은 무엇인가? 이를 고려하여,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을 위한 다양한 제도 마련과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우선 정부에서는 지난 2001년 5월에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촉진과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기술혁신촉진법’을 제정하였다. 본 법에서는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계획 수립 및 시행, 지원사업, 기반확충 및 우대조치 등 중소기업 기술혁신을 위한 다양한 사항을 담고 있다.
중소기업은 경제발전에 대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 6% 등 국가경제 전반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고용창출, 기술혁신, 지역균형개발, 산업의 다양성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의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Bozeman, B.(2000). Bureaucracy and Red Tape. Upper Saddle Revier, N. J. Prentice-Hall. 

  2. Chatterjee, & Wernerfelt(1991). The Lnk Between Resources and Type of Diversification: Theory and Evidenc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2(1), 33-48. 

  3. Chesbrough, H.(2003).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ive for Creating a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4. Cho, D. M., Choi, K. H., So, D. S., Suh, J. L. & Chae, K. S.(2010). R&D Projects's Commercialization Readiness Assessment,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s Spring 2010, Seoul;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5. Cho, I. H.(2005). The Study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Small & Medium Business Programs, Seoul, KOSBI. 

  6. Choi, S. & Lee, M. H.(2014). The Analysis for the Determinant Factors on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Among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Conference on Business Administration Summer 2014, Seoul;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7. Choi, S. B. & Ha, G. R.(2011). A Study of Critical Factor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4(1), 1-24. 

  8. Choi, S., Lee, D. & Park, S.(2003). A Stud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Considering the Demand on the Technologies,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1, 135-145. 

  9. Cooper, M. C., Labert, D. M. & Pag, J. D.(1997). Supply Chain Management: More Than a New Name for Logistics Strategy, Jounal of Business Logistics, 8(1), 1-13. 

  10. Cooper, M. C. & Kleinshmidt, E. J.(1994). Determinants of Timeliness in Product Development,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1(5), 381-396. 

  11. Day, G. S. & Wensely, R.(1988). Assessing Advantage: A Framework for Diagnosing Competitive Superiority, Journal of Marketing, 52(1), 1-20. 

  12. Di Benedetto, C. A.(1999). Identifying the Key Success Factors in New Product Launch,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16(6), 530-544. 

  13. Frenz, M. & Ietto-Grillies, M.(2009). Th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of Different Sources of Knowledge: Evidince from the UK Community Innovation Survey, Research Policy, 38(7), 1125-1135. 

  14. Frishammar, J. & Horte, S. A.(2007). The Role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Firm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19(6), 765-788. 

  15. Gonzalez-Benito, O., Gonzalez-Benito, J. & Munoz-Gallego, P. A.(2009). Role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 Orientation in Firms' Succes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43(3/4), 500-522. 

  16. Grimpe, C. & Sofka, W.(2009). Search Patterns and Absorptive Capacity: Low and High Technology sectors in European Countries, Research Policy, 38, 495-506. 

  17. Han, S. L. & Wilson, D.(1993). Buyer-Supplier Relationship Toda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22(4), 331-338. 

  18. Hitt, M. A. & Ireland, R. D.(1984). Corporate Distinctive Competence and Performance: Effects of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Size, and Technology, Decision Sciences, 15(1), 324-349. 

  19. Hong, Y S.(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Transfer and Technology Transactions of Public Institutions, Issue Paper, Kiet. 

  20. Hunt, S. D. & Morgan, R. M.(1995). The Comparative Advantage Theory of Competition, Journal of Marketing, 59(1), 1-15. 

  21. Hwang, H. R., Kim, K, G. & Jeong, H. G.(2015). A Study o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olicy for Technology-based SMEs: Case on Daedeok Innopoli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3), 39-52. 

  22. Hwhang, H. D. & Chung, S. Y.(2015). A Measure on Technology Transfer Activation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cusing on Companies in Demand: Focusing on the Cases in the K Research Institut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8(2), 318-337. 

  23. Hyun, C. H., Kim, S. K., Park, H. Y., Lee, I. C. & Kang, E. H.(2015). Easy ICT R&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Daejeon, ETRI 

  24. Jang, J. H., Kim, W. S. & Lee, B. H.(2008). Study of Certification and Evaluation Program on Innovativ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24(2), 153-177. 

  25. Jolly, V. K.(1997). Commercializing new Technologies: Getting from Mine to Market,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Cambridge. 

  26. Katz, M. & Shapiro, C.(1985). Network Externalities, Competition, and Compatibility, American Economic Review, 75(1), 424-40. 

  27. Katz, M. & Shapiro, C.(1992), Product Introduction with Network Externalitie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40(1), 55-84. 

  28. KBIZ(2015). Status of SMEs in 2015, Seoul, KBIZ. 

  29. Kim, C. H., Ko, C. R. & Seol, S. S.(2012). Case Studies on the Failures of Commercialization of Technolog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5(1), 203-223. 

  30. Kim, J. B.(2001). A Comparative Study on System and Measurement of Technology Valuation,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5(2), 139-158. 

  31. Kim, S. Y., Kim, M. K, Choi, K. H. & Kim, C. H.(2007).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Global Outsourcing on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 Medium Enterprises,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29(4), 153-170. 

  32. Kim, Y. K. & Roh, C. C.(1997). An Analysis on the Insolvency of SMEs and Their Diagnostic Measures in Korea Using AHP, (The) Korean Journal of Fnancial Management, 14(1), 75-105. 

  33. Knight, G. A. & Cavusgil, S. T.(2004). Innovation, Organization Capabilities, and the Born-Global Firm,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5(1), 124-141. 

  34. Kongmanila, X. & Takahashi, Y.(2009). Inter-Firm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f the Lao Garment Industry Clus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4(5). 3-17. 

  35. KOVA(2014). Survey report on SMEs of ICT Business, Seoul; KOVA. 

  36. Ku, B.(2014). Derivation and Empirical Analysis of Critical Factors that Facilitat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Outcom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erprenership, 9(5), 69-81. 

  37. Lee, C.(2000). Group Decision Making: Sejong Press. 

  38. Lee, J. M. & Jeong, S. Y.(2011).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Korean SMEs, Conference on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Fall 2011, Cheona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39. Lee, J.(2005). A Study on the Process of Connecting Government-Sponsored Joint R&D Projects with the Performance of Partners, Master's thesis, Seoul, The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40. Lee, M. S., Lee, T. H. & Kim, J. S.(2010). An Analysis on the Important Weight of Evaluation Items in Technology Transfer using AHP,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8), 2758-2765. 

  41. Lee, Y. D.(2014).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rategy and System, Seoul: Doonam Press. 

  42. Leiponen, A. & Helfat, C. E.(2010). Innovation Objectives, Knowledge Sources, and the Benefits of Breadth',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1(2), 224-236. 

  43. Lim, C. Y. & Lee, Y. J.(2007). An Analysis for Success Factor of Technology Transfer: From GRI's perspectives, STEPI. 

  44. Mitchell, W. & Singh, K.(1996). Survival of Busines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3), 169-195. 

  45. Moon, T. S. & Choi, S. M.(2009). The Influence of Core Compet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Domestic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8(4), 1-18. 

  46. MOTIE(2014). The Guideline of Technology Valuation, Seoul. SMBA. 

  47. MSIP(2014b). A Plan to Reinvigorate Government Funded Researcher's Commercialization Supports Plan for SMEs, MSIP. 

  48. MSIP(2014a). The Plan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the Diffusion of R&D Performance, Seoul, MSIP. 

  49. MSIP(2015). Government's R&D Innovation policies, MSIP 

  50. OECD(1997). Proposed Guidelines for Collecting and Integra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Data, OSLO Manual(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51. OECD(2007). Red Tape Scoreboard Annex on Academic Reports, Paris, OECD. 

  52. Palma, A., Leruth, L. & Regibeau, P.(1999). Partial Compatibility with Network Externalities and Double Purchase,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11(2), 209-227. 

  53. Park, H. W., Kim, S. K. & Kim, K. H.(2011). A Study on the Economic Useful Life Method for Determining the Technology Valuation, Conference on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Fall 2011, Cheona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54. Park, J B., Cho, Y. A., Lee, S. K., Sung, Y. Y. & Kwon, Y. K.(2011). Promoting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e Korean Private Sector, Issue Paper, kiet. 

  55. Park, J. B.(2008). Status and Position of Commercialization in Korea-Focused on Government Funded Technology, Issue Paper, kiet. 

  56. Park, J. O., Youn, S. J. & Park, B. S.(2015). Commercialization Success Factors of Transfer Technology from Public R & D and Enhanc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8(1), 28-48. 

  57. Park, S. C. & Yang, D. W.(2010). 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MEs' Technology Evaluation Index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3(1), 41-63. 

  58. Park, S. Y.(2007). Development of a Categorized Checklist for Valuation of Patent Technology, The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2(1), 30-56. 

  59. Park, W. & Park, H. Y.(2014). A Study on Business Ecosystem Model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cused on Its Application to Public R&D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7(4), 786-819. 

  60. Prahalad, C. K. & Hamel, G.(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1. Ryu, S. W. & Kim, S. Y.(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on SMEs' Innovation,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4(2), 65-90. 

  62.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Y, McGraw Hill. 

  63. Schere, F. M.(1980). Industrial Market Structure and Economic Performance, Skokie, IL: Rand McNally. 

  64. Seol, S. S. & Lee, K. H.(2002). A Study on Checklists for Technology, Market, and Firm Analysi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5(3), 227-292. 

  65. Shin, T. Y.(2004). Behavioral and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 R&D and Private R&D Expenditures: Complementarity VS. Substitutability, STEPI. 

  66. SMBA(2014a). Overview of Budget and Fund in 2014, Seoul. SMBA. 

  67. SMBA(2014b). Yearly Report, Seoul. SMBA. 

  68. Suh, A. Y. & Shin, K. S.(2004). An Empirical Study on Success Factors of Supply Chain Management by Supplier-Buyer Relationship Type, Information systems review, 3(1), 191-203. 

  69. Suh, S. H., Ko, J. W. & Cho, S. B.(2008).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er Adop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An Exploratory Research,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1(4), 450-475. 

  70. Yang, D. W.(2005). An Empirical Study on Extracting Significant Technology Valuation Index of IT SM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8(1), 277-295. 

  71. Yang, S., Kim, M. & Jung, H.(2011). The Effects of Entrepreneur's Compet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pabilities on Business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6(4), 195-213. 

  72. Yeo, I. G.(2002). Technological Assesment on Public R&D Activities, Confer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Fall 2002, Seoul;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73. Yoo, H. L. & Park, S. J.(2007).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Supporting Policy for SMEs R&D: Focused on the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nsortium Program,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9(1), 171-195. 

  74. You, Y. Y. & Roh, J. H.(2010). The Analysis for the Determinant Factors on the Outcome of Technology Innovation Among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5(1), 61-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