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창업 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 애로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iculty Factors of Youth Startups for Activating Local Startup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2, 2020년, pp.67 - 80  

안태욱 (군산시 청년센터.창업센터) ,  강태원 (군산대학교 국제물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앙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청년 창업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지방정부에서도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창업에 다양한 애로요인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청년 창업가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실질적인 애로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지역 청년창업의 애로 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과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 참고, 문헌 조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청년창업의 애로사항에 대한 평가요인 5개 항목을 도출하고, 세부 애로요인으로 25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애로 평가요인을 AHP 기법을 활용해 군산지역 청년(19~39세), 남녀, 계층별(대학생, 예비창업자, 기창업자)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지역 청년들이 느끼는 창업 애로요인은 비즈니스 모델, 경영관리, 창업자금, 창업제도개선, 창업 인식개선 순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지역의 청년들은 창업자금보다 자신의 아이디어를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세부요인으로 시장정보획득, 기술사업화, 사업 타당성, 기술개발, 판로개척 순으로 25개 창업 애로 요인이 도출되었다. 성별 비교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애로요인이었다. 반면 여성은 비즈니스 모델 애로 요인을 제외한 모든(경영관리, 창업자금, 창업 제도개선, 창업인식개선) 요인에서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청년 계층(대학생, 예비창업자, 기창업자)별로 창업 애로요인이 상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지역에서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서 창업자금보다 비즈니스 모델 사업화 애로요인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해결책 제시가 아닌 성별, 계층별 애로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맞춤형 창업지원 및 상황별 행정서비스를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청년들이 직면한 창업 애로 요인의 실질적인 우선순위와 도출방법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역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t a time when Korean government continues to extend support for youth startups as part of its policy to create jobs and the focus moves from career and employment to youth startups with a growing interest in the field of youth startup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업자란 무엇인가? 또한, 창업자는 사업아이디어의 확보를 통해 사업성 분석, 사업계획 수립, 실행 등을 주도 및 책임지는 사람이다. 유․무형 자원을 동원해 설립된 창업기업의 목적에 따라 기능을 발휘해 성장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Amit et al.
청년 창업자 애로 요인에 대한 연구배경은? 또한, 단기적인 성과가 아닌 기업가정신을 갖춘 창업가를 육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청년창업 분야가 제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양적 창업지원만을 늘릴 것이 아니라 실질적 청년창업에 대한 애로 요인이 무엇이며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는지에 관한 실증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청년 실업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제경기 침체, 기존 산업 생태계의 붕괴 현상, 기업의 경영관리 및 경쟁력 상실로 실물경제의 침체가 장기화됨으로써 청년 실업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019년 4월 기준 통계청 고용 동향 발표자료에서 대한민국은 21세기 최악의 청년 실업률 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T. U., Lee, I. H., & Park, J. W.(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Creativity Competency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through Parent Cooper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6), 25-39. 

  2. Amit, R., Muller, E., & Cockburn, I.(1995). Opportunity Costs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0(2), 95-106. 

  3. CB insights(2014). The Top 20 Reasons Startups Fail. Retrieved (2020.2.5) from https://www.cbinsights.com/research/startup-failure-reasons-top/. 

  4. Cho, K. T., Cho, Y. K., & Kang, H. S.(2003). Hierarchical Analysis of Leading Leaders. Seoul: DongHyun Publishing Co. 

  5. Cho, M. Y., & Yang, D. W.(2014). The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reparation and the R&D Performance of Technology Based Startup Compani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37-46. 

  6. Choi, J. I., & Baek, K.(2018). Financial Ecosystem Development for Venture Capital Activation in Daejeo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6), 39-48. 

  7. Choi, C. R., Kang, H. Y., & Lee, J. S.(2014). A Study on the Promotion of Women Entrepreneurship Support in Busan, (Research Report, 14-2). Busan Women's Family Development Institute. 

  8. Choi, Y. S.(2018). Status of Women's Participation in Gyeonggi-do's Startup Nurturing Project and Tasks. Gyeonggido Family & Women Research Institute. 

  9. Chun, H. S.(2016). Factors that Explain the Lag in Building High-growth Firms in Wom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7), 300-308. 

  10. Hwang, B. Y., & Lee, I. H.(2012). A Study on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the Difuss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2), 45-53. 

  11. Kim K. H.(2010). Small and Medium Companie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olicy Support Methods in Daejeon: Focused on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Companies, (Research Report, 2010-10).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12. Kim K. H., Park D. H., & Lee S. B.(2013). Method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D Support for the Facilitation and Growth of Technology-Intensive Small and Medium Startups, [BOK]. BOK Regional Economic Report, 3(1). 

  13. Kim, K. Y.(2004). Policy Suggestions for Activating Technology Startups, Issue Paper(2004.12).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14. Kim, S. K., Park, B. S., & Oh, K. S.(2003). Analysis of the Bottleneck, Growth Factors and the Situation of Excellence New Technology Venture.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18(1), 51-62. 

  15. Kim, S. U., & Kim, J. S.(2018). Indepth Assessment of Youth Labor Market Policies: Startup Support Project, (Policy Research, 2018-20). Policy Study Korea Labor Institute. 

  16. Kim, Y. H., & Oh, J. S.(2017). Methods to Promote Women's Entrepreneurship and Their Startups(STEPI Insight, 205). Science &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7. Kim, Y. J.(2014).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iversity's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Supporting Policy, (Research Report, 2014-029).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18.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KIET) (2018). Methods to Increase a Potential Growth Rate through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and Business-Friendly Policies. Retrieved (2020.02.13.)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E204733635CA487871CE5A86F4DAB0B0.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411000-200800040&pageIndex2424&leftMenuLevel160. 

  19.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KCCI)(2014). An Investigation into Venture Companies' Management Status and Policy Tasks. Retrieved (2020.02.13.) from http://kocham.hk/xe/?modulefile&actprocFileDownload&file_srl104952&sid4f4dd5724965544f9fc294fc9de958dd&module_srl239. 

  20. Lee, S. B.(2017). An Analysis on the Critical Startup Success Factors in Small-Sized Venture Businesse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3), 53-63. 

  21. Lee, S. B., & Park, J. G.(2018). A Study on the SCM Capability Modeling and Process Improvement in Small Venture Firm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2), 115-123. 

  22. Lee, Y. J., Jung, K. C., Jang, B. Y., Kim, S. W., Lee, M. K., Kim, Y. H., Kim, S. K., Jung, W. J., & Lee, S. H. (2012). Vitalization of Technology-based Startup by Inspiring Entrepreneurship, (Research Report, 2012-11).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3. Noh, K. S., & Kang, H. J.(2012).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Promotion Policy and Alternatives to Revitalize the Youth Start-up.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9), 79-87. 

  24. Park, B. S., Kim, S. K., & Park, T. W.(2002). The Development Bottlenecks of IT Venture Companies and Venture Incubating System.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7(4), 113-122. 

  25. Park, J. Y.(2000). Tenant Firms in Infocommunication TBI: A Survey and Policy Recommendations,(Research Report, 99-10). Information Society Research Institute. 

  26.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2017). 2016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Retrieved (2020.02.13.) from https://www.kised.or.kr/board.es?mida10309000000&bid0008&tag&actview&list_no905. 

  27.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2018). 2018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Retrieved (2020.02.13.) from https://www.mss.go.kr/common/board/Download.do?bcIdx1009581&cbIdx81&streFileNmbd57f8c7-efc4-4724-83a5-2e1ddd091f52.pdf. 

  28. Roh, D. H., Jeong, Y. K., & Park, H. Y.(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SMEs Ventur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blems Using AH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1(1), 1-12. 

  29. Saaty, T. L.(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 Hill. International, Revised editions, Paperback. Pittsburgh: RWS Publications, 180-191. 

  30. Seo, J. S., Lee, G. C., & Ock, Y. S.(2015), A Study of Co-Working Space Operation Strategy: Focused on Operation Elements Analysis by AHP Method.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4), 157-165. 

  31. Sim, Y. H., Gil, W. G., & Kim, S. K.(2015). Study on the Perception Gap between Technology Based Entrepreneurs and Startup Facilitators about Success Factors for Startup.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2), 43-57. 

  32. Yang, H. B.(2014). Promoting Knowledge and Technologybased Female Entrepreneurship in Korea, Small Business Finance Research. Journal of SME Finance, 34(4), 29-54. 

  33. Yang H. B., & Park J. B.(2009). Creation of Youth startup Ecosystem and Activation Plan, (Research Report, 2014-697).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34. Yang, H. B., Jo, D. H., & Park, J. B.(2009). Analysis of Startups' Behavior and Results: Focused on Business Administration Results and Job Creation Factors, (Rese arch Report, BB-554).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KIET). 

  35.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2017). 2017년 창업지원기업 이력.성과조사. Retrieved (2020.02.13.) from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3486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