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과 기술혁신의 관계에 관한 연구: 표준 제정·보유정보와 특허정보를 이용한 패널데이터 분석 및 정준상관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ndardiz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Panel Data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rough the use of Standardization Data and Patent Data 원문보기

기술혁신학회지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19 no.3, 2016년, pp.465 - 482  

이희상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  김순천 (성균관대학교 산업공학과) ,  전예준 (성균관대학교 기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적으로 기술혁신에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시도되었지만, 표준이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부문에 관해서는 그 연구의 양이 작을 뿐더러 관련 종사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나 사례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수준에서 표준화 활동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표준화활동과, 기술혁신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표준제정수, 표준보유수, 국내특허출원수,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무형자산, 연구개발비를 한국산업표준 분류체계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2003-2012년 동안의 연도별 패널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첫 번째 연구로 산업별 특성효과를 반영한 산업전반의 표준과 기술혁신과의 관계를 찾기 위해 특허출원수를 종속변수로 표준제정수, 표준보유수, 연매출액, 연간영업이익을 독립변수로 하는 패널데이터모형을 사용하였고, 시간지연(time lag)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분석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 결과, 표준제정은 같은 해의 특허출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1-2년 뒤에 특허출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3년 뒤에 특허출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보유는 특허출원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으로는 표준이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새로 제정된 표준을 혁신주체가 수용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두 번째 연구로 각 산업별로 부각되는 표준과 기술혁신의 상관관계가 어떻게 다른지를 식별하기 위해 표준을 방법표준, 전달표준, 제품표준으로 구분하여, 산업별로 기술혁신의 요인들과의 정준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널분석의 결과와 유사하나, 몇몇 산업에서는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표준 정책 측면에서는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각 산업별 특징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안목으로 표준화활동을 장려하는 정부의 노력이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researches have introduced various ways to analyze the impact of standardization on innovation while the works are not only small in number but based on interview or case study. This paper addresses the impact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within South Korean industries on technological in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술혁신과 표준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분석으로서 1) 산업 전반의 기술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표준화 요인에 대한 연구와 2) 세부산업분야별 표준화와 기술혁신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한다. 표준과 기술혁신에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산업수준에서의 표준과 특허로 대표되는 기술혁신의 관계성을 연구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국제특허분류(IPC)와 한국산업표준(KS)은 각기 상이한 분류체계를 따르므로 자료를 산업수준에서 같은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각 체계의 분류들을 매칭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기술표준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기업단위의 설문조사나 사례연구로 진행한 기존연구에서 벗어나 산업수준에서의 객관적인 시계열 데이터들을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표준화 활동과 기술혁신의 연관성을 실증적으로 밝히는데 있다. 특히 표준이 기술혁신에 시계열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표준 분야에 따라 표준이 기술혁신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는 표준정책 결정권자들에게 새로운 시야를 제공함으로서 표준의 제정 및 활용 등 표준정책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가설 1, 2에서 산업전반에 걸친 표준화 활동이 기술혁신의 측정변수인 특허활동에 특정한 영향을 미친다면, 각 산업별 표준화 활동은 서로 다른 특이점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가설 1: 산업전반에 대하여 표준의 제정과 보유는 기술혁신 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산업전반에 대하여 표준이 기술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한 시간지연을 두고 나타날 것이다.
  • 가설 3: 표준화활동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은 각 산업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혁신 과정에서 표준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성태경(2009)에 의하면 기술혁신의 과정에서 표준의 역할은 표준지식/정보의 입력, 표준화 활동에 의한 아이디어 창출, 그리고 신표준에 대한 표준화 과정 이 세 가지로 나뉜다. 표준은 대표적인 혁신지표 중 하나인 R&D활동에도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표준과 특허의 상충관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Blind(2009)는 무엇을 주장하였는가? 이러한 표준과 특허의 상충관계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고 있다. Blind(2009)에 의하면 표준은 아직 강력한 기술이전 채널로서 인식되지 못하고 있지만 연구방향, 연구개발, 기술혁신의 프레임워크를 생성하는 요소이고 특히 표준이 특허의 효과적인 지렛대와 확산 메커니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의 측정변수로 특허출원수를 사용하고 표준 및 표준화활동이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표준화활동으로 인하여 기술 혁신에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전통적으로 표준은 일종의 규제로서 기술혁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져 왔다(Blind, 2013). 이는 표준화활동으로 인해 생기는 기술의 고착화현상(lock-in effect), 독점화, 기술의 폐쇄성 초래, 기술 다양성 감소 등으로 설명된다(성태경, 2015). 하지만 최근에 들어 표준이 기술혁신을 촉진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성태경,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가기술표준원 (2015), 2014년 국가기술표준백서 

  2. 국가기술표준원 (2016), "국가표준 : 표준화개요", http://kats.go.kr/content.do?cmsid26 (2016. 07.13). 

  3. 김태근.조영환.오장근 (2013),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내장산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의 입지환경 평가", 생태와 환경, 46(4): 561-569. 

  4. 성태경 (2009) "표준화 활동과 기술혁신의 연관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조기업과 서비스업의 비교", 대한경영학회, 22(2): 761-782 

  5. 성태경 (2010) "표준과 기술혁신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경영과 정보연구, 29(4): 225-244. 

  6. 성태경 (2012), 표준의 경제학: 이론, 사례, 정책, 경기: (주)한국학술정보. 

  7. 성태경 (2015) "표준과 기술혁신: 연구과제 및 전망", 기술혁신연구, 23(3): 1-19 

  8. 이영준 (2002), 정준상관분석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석정. 

  9. 최열.임하경 (2005), "초고층아파트 공동공간의 범죄불안감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7): 57-63. 

  10. Beneito, P. (2006),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In-house and Contracted R&D in Terms of patents and Utility models", Research Policy, 35(4): 502-517. 

  11. Blind, K. (2009), "Standardisation as a Catalyst for Innovation", TUB(Technishce Universitat Berlin), Germany. 

  12. Blind, K. (2013), "The Impact of Standardization and Standards on Innovation", Manchester Institute of Innovation Research, http://www.nesta.org.uk/sites/default/files/the_impact_of_standardization_and_standards_on_innovation.pdf,(accessed 13 February 2015). 

  13. Cheong, H. (2014), "Analysis of panel d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4. 

  14. Choi, D. G., Lee, H. and Sung, T. K. (2011), "Research Profiling for 'standardization and innovation'", Scientometrics, 88: 259-278. 

  15. Farrell, J. and Garth, S. (1985), "Standardization, Compatibility, and Innovation", The RAND Journal of Economics, 16(1): 70-83 

  16. Gann, D. M., Wang, Y. and Hawkins, R. (1998), "Do Regulations Encourage Innovation?- The Case of Energy Efficiency in Housing",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26(5): 280-296. 

  17. Hotelling, H. (1936), "Relations between Two Sets of Variates", Biometrika, 28(3/4): 321-377. 

  18. Jaffe, A. B. and Palmer, K. (1997),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Innovation: A Panel Data Stud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9(4): 610-619. 

  19. Jaffe, A. B., Peterson, S. R., Portney, P. R. and Stavins, R. N. (1996),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U.S. Manufacturing: What Does the Evidence Tell U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3(1): 132-163. 

  20. Lanjouw, J. O. and Mody, A. (1995), Stimulating Innovation and International Diffusion of Environmentally Responsive Technology, Washington, DC: World Bank. 

  21. Lanoie, P., Patry, M. and Lajeunesse, R. (2008),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Productivity: Testing for Porter Hypothesis",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30(2): pp. 121-128. 

  22. Pilkington, A., Dyerson, R. and Tissier, O. (2001), "Patent Data as Indicator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nvestigating the Electric Vehicle",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4: 5-12. 

  23. Sun, Y., Lu, Y., Wang, T., Ma, H. and He, G. (2008) "Pattern of Patent-base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in China",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75(7): 1032-10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