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쥐의 만성 알콜성 근위축에 시호소간산(柴胡疎肝散)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hihosogan-san on Alcohol-induced Muscle Atrophy in Rat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4 no.4, 2016년, pp.311 - 321  

김범회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동의대학교 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onic or acute alcohol abuse often leads to liver injury associated with alcoholic hepatitis, liver fibrosis, cirrhosis, and liver cancer. In addition to the liver, alcohol abuse also induces a variety of other tissue injuries including pancreatitis, cardiomyopathy, neurotoxicity and muscle lo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알콜성 근육 손상의 세포사에서 apoptosis에 관련된 Bcl-2(B-cell lymphoma 2) 및 BAX(Bcl-2 associated X) 단백질 변화를 면역조직화학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柴胡疎肝散이 유의한 방어효과를 나타내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적인 알콜섭취로 인해 근육위축이 나타남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한의학적 처치가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黃帝內經·素問>에 알콜섭취에 의한 손상에 대해서는 “酒入於胃 … 精氣竭, 則不營其四肢也17)”라 하여 알콜과 신체근육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고, 또한“肝이 인체의 筋을 주관한다”하여 한의학에서 筋은 肝의 기능을 외부로 발현하는 생리기능계통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8).
  • <黃帝內經·素問>에 알콜섭취에 의한 손상에 대해서는 “酒入於胃 … 精氣竭, 則不營其四肢也17)”라 하여 알콜과 신체근육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고, 또한“肝이 인체의 筋을 주관한다”하여 한의학에서 筋은 肝의 기능을 외부로 발현하는 생리기능계통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18). 이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한의학적 치료 중에서 전통적으로 임상적인 간질환에 다용되어 왔으며, 실험적으로도 간손상에 치료효과가 입증10,11)된 柴胡疎肝散이 알콜로 인한 근육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를 통하여 시호소간산은 stress로 인한 흰쥐에 간손상에 유의한 보호효과 있음이 밝혀졌으며10), thioacetamide 약물중독에 의한 흰쥐의 간손상에도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알려졌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간의 알콜섭취는 인체의 어떤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장기간의 알콜섭취는 인체의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데, 간, 심장, 신경계통, 소화계통 뿐 아니라 인체골격근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알콜중독 환자의 많은 수가 근육위축, 보행장애, 수축력 약화와 같은 근육계 이상을 호소한다1).
알콜성 근질환이란 무엇인가? 알콜중독 환자의 많은 수가 근육위축, 보행장애, 수축력 약화와 같은 근육계 이상을 호소한다1). 이러한 골격계통 증상은 말초신경병증과는 독립적으로 발생하는데, 알콜성 근질환(Alcohol-induced skeletal muscle disease :AIMD)이란 급성 혹은 만성 알콜섭취로 인해 근육에서 유발되는 분자생물학적, 해부학적, 생리학적 병리상태를 가리킨다2).
장기간의 알콜섭취가 알코올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 이외에도 근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따라서 장기간의 알콜섭취는 근육세포에서의 단백질 합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4). 알콜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 이외에도 단백질생성 부족으로 인해 발생되는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1), testosterone 및 corticosterone과 같은 호르몬 변화도 근육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omero JC, Santolaria F, Gonzalez-Reimers E, Diaz-Flores L, Conde A, Rodriguez-Moreno F, Batista N. Chronic alcoholic myopathy and nutritional status. Alcohol. 1994;11(6):549-555. 

  2. Preedy VR, Adachi J, Ueno Y, Ahmed S, Mantle D, Mullatti N, Rajendram R, Peters TJ. Alcoholic skeletal muscle myopathy: definitions, features, contribution of neuropathy, impact and diagnosis. Eur J Neurol. 2001;8(6):677-687. 

  3. Preedy VR, Paice A, Mantle D, Dhillon AS, Palmer TN, Peters TJ. Alcoholic myopathy: biochemical mechanisms. Drug Alcohol Depend. 2001;63(3):199-205. 

  4. Preedy VR, Peters TJ. The effect of chronic ethanol ingestion on protein metabolism in type-I and type-II fibre-rich skeletal muscles of the rat. Biochem J. 1988;254(3):631-639. 

  5. Gonzalez Reimers E, Duran Castellon MC, Lopez Lirola A, Santolaria Fernandez F, Abreu Gonzalez P, Alvisa Negrin J, Sanchez Perez MJ. Alcoholic myopathy: vitamin D deficiency is related to muscle fibre atrophy in a murine model. Alcohol Alcohol. 2010;45(3):223-230. 

  6. Martin F, Ward K, Slavin G, Levi J, Peters TJ. Alcoholic skeletal myopathy, a clinical and pathological study. Q J Med. 1985;55(218):233-251. 

  7. Reilly ME, Patel VB, Peters TJ, Preedy VR. In vivo rates of skeletal muscle protein synthesis in rats are decreased by acute ethanol treatment but are not ameliorated by supplemental alpha-tocopherol. J Nutr. 2000;130(12):3045-9. 

  8. Lee SI. Herbal Formula Science. Seoul: Young Lim Sa; 1990:97. 

  9. Kong KH. Effects of Daegeum-eumja, Igwi-tang and Sihosogan-san on Gastric Mucosal Lesions Induced by Alcohol, Indomethacin and Burn-stress in Mice. J Korean Oriental Med. 2007;28(2):166-184. 

  10. Koo YB, Choi DY. Experimental Study on the Recovery of Sihosogan-San on the Injury of Liver in Rat Induced by Stress.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al Pathology. 1988;3(1):63-70. 

  11. Hong YS. Effect of Shihosogansan on Thioacetemide- Induced Rat Liver Injury. Master's Thesis. Seou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1984. 

  12. Jung YS. Effects of Sihosogansan on blood changes after swimming stress.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1993:3:115-132. 

  13. Jung MH. Anti-stress effects of Sihosogansan in the passive avoidance test and the forced swimming test. Doctoral Thesis. Gyeonggi-do,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2007. 

  14. Choi MS. Effects of Shihosogansan and Jeungmi- Shihosogansan on Serotonin Content of Stress. Master's Thesis. Gyeonggi-do,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1999. 

  15. Fujii H, Ohmachi T, Sagami I, Watanabe M. Liver microsomal drug metabolism in ethanol-treated hamsters. Biochem Pharmacol. 1985;34(21):3881-3884. 

  16. Otis JS, Brown LA, Guidot DM. Oxidant-induced atrogin-1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precede alcohol-related myopathy in rats. Muscle Nerve. 2007;36(6):842-848. 

  17. Hong WS. Yellow Emperor's Inner Canon.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1994:269 

  18. Shin MK, Hong MC, Ryu DG. Kwon KB, Kim KJ, Kwon YK et al. Oriental Medical Physiology. Seoul:Jip Moon dang 2008:217. 

  19. Lieber CS, DeCarli LM, Sorrell MF. Experimental methods of ethanol administration. Hepatology. 1989;10(4):501-510. 

  20. World MJ, Ryle PR, Thomson AD. Alcoholic malnutrition and the small intestine. Alcohol Alcohol. 1985;20(2):89-124. 

  21. Mezey E.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1980;33(12):2709-2718. 

  22. Woods SE, Hitchcock M, Meyer A. Alcoholic hepatitis. Am Fam Physician. 1993;47(5):1171-1178. 

  23. Herlong HF.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bnormal liver enzymes. Hosp Pract (Off Ed). 1994;29(11):32-38. 

  24. Adachi J, Asano M, Ueno Y, Niemela O, Ohlendieck K, Peters TJ, Preedy VR. Alcoholic muscle disease and biomembrane perturbations(review). J Nutr Biochem. 2003;14(11):616-625. 

  25. Duane P, Peters TJ. Nutritional status in alcoholics with and without chronic skeletal muscle myopathy. Alcohol Alcohol. 1988;23(4):271-277. 

  26. Hickish T, Colston KW, Bland JM, Maxwell JD. Vitamin D deficiency and muscle strength in male alcoholics. Clin Sci (Lond). 1989;77(2):171-176 

  27. Nakahara T, Hashimoto K, Hirano M, Koll M, Martin CR, Preedy VR.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alcohol exposure on skeletal muscle c-myc, p53, and Bcl-2 mRNA expression.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3;285(6):E1273-1281. 

  28. Preedy VR, Adachi J, Ueno Y, Ahmed S, Mantle D, Mullatti N, Rajendram R, Peters TJ. Alcoholic skeletal muscle myopathy: definitions, features, contribution of neuropathy, impact and diagnosis. Eur J Neurol. 2001;8(6):677-687. 

  29. Korzick DH, Sharda DR, Pruznak AM, Lang CH. Aging accentuates alcohol-induced decrease in protein synthesis in gastrocnemius. Am J Physiol Regul Integr Comp Physiol. 2013;304(10):R887-898. 

  30. Otis JS, Guidot DM. Procysteine stimulates expression of key anabolic factors and reduces plantaris atrophy in alcohol-fed rats. Alcohol Clin Exp Res. 2009;33(8):1450-1459. 

  31. Hoek JB, Pastorino JG. Ethanol, oxidative stress, and cytokine-induced liver cell injury. Alcohol. 2002;27(1):63-68. 

  32. Urbano-Marquez A, Fernandez-Sola J. Effects of alcohol on skeletal and cardiac muscle. Muscle Nerve. 2004;30(6):689-707. 

  33. Hajnoczky G, Csordas G, Das S, Garcia-Perez C, Saotome M, Sinha Roy S, Yi M. Mitochondrial calcium signalling and cell death: approaches for assessing the role of mitochondrial Ca2+ uptake in apoptosis. Cell Calcium. 2006;40(5-6):553-560. 

  34. Kroemer G. The proto-oncogene Bcl-2 and its role in regulating apoptosis. Nat Med. 1997;3(6):614-620. 

  35. Narula J, Haider N, Virmani R, DiSalvo TG, Kolodgie FD, Hajjar RJ, Schmidt U, Semigran MJ, Dec GW, Khaw BA. Apoptosis in myocytes in end-stage heart failure. N Engl J Med. 1996;335(16):1182-1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