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병인의 전동휠체어 사용에 대한 만족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Caretakers Needs for Changes in Electric Wheelchairs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0 no.3, 2016년, pp.177 - 184  

이정아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이범석 (국립재활원 재활병원부) ,  최현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유성문 (국립재활원 공공재활의료지원과) ,  양성필 (국립재활원 뇌신경재활과) ,  배재혁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  박한람 (국립재활원 재활연구소 임상재활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관리하고 보조하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의 만족도에 대한 것이다. 전동휠체어 만족에 대한 설문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목들을 전문가 의견과 간병인들의 의견을 통해 안정성, 조작성, 만족도 항목의 사용성 공통 항목들을 선택하였다. 또한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간병 경력, 간병시간, 간병의 어려움과 전동휠체어 무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접이식 전동휠체어 개발에 대한 의견도 조사하였다. 대상자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보조하는 간병인 50명이었다. 연령대는 평균 54.54세이었고, 간병 경험은 80.98개월이었고, 하루 간병 평균시간은 9.80시간이었다. 전동휠체어 사용에 대한 만족도는 안전성, 조작성, 항목에서는 대부분 만족하였으나, 무게와 세척에 대한 만족도 항목에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동휠체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게가 무겁고 조작하기 힘들고, 간병인들을 옮기기가 힘들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접이식 전동휠체어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간병인들은 전동휠체어 사용만족도 조사에서 무게가 가볍고, 보관 및 세척이 편리한 전동휠체어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를 관리하고 보조하는 간병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접이식 전동휠체어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takers' demands and request in electric wheelchairs. The survey included the usability questionnaire (safety, operability, satisfactions) which were selected by opinions of caretakers and specialist of rehabilitation for electric wheelchairs. The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 사용만족도 조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전동휠체어 장애인을 보조해주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반적 특성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전동휠체어의 사용만족에 대한 설문 및 문제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전동휠체어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전동휠체어의 탑승을 제외한 옮겨 타기, 운반, 관리 등의 수행요소는 장애인 혼자의 힘으로 수행하기 어려우며 간병인의 도움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전동휠체어에 대한 간병인 의견은 제품개발과 개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본 연구는 간병인이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성 항목의 만족도 평가를 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추후 전동휠체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간병인의 의견과 간병인의 특성을 적극 반영하여야할 것이다.
  • 사용성 평가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사용자가 만족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11],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 시제품 단계에서 적용하면 효과가 크다. 장애인 사용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는 제품의 개선점을 발견하고 이를 제품 설계에 반영하여 실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원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사용성 평가에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조기기 사용자 만족도 및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실사용자 중 장애인 휠체어에 대한 사용성 만족도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다[1-2,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병인의 업무특성상 어떠한 신체적 어려움을 겪나? 간병인은 환자를 돌보고, 환자를 이동시키는 업무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근골격계 통증이 심하다고 알려져 있다. Bardak 등(2012)의 연구에 따르면 척수손상환자의 간병인들은 허리 통증이 일반인보다 높다고 하였으며, 허리 통증은 환자의 기능적 수준, 손상 정도, 손상의 수준, 손상기간에 따라 연관되어짐을 보여주었다.
사용성 평가란? 사용성 평가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사용자가 만족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11],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 중 시제품 단계에서 적용하면 효과가 크다. 장애인 사용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는 제품의 개선점을 발견하고 이를 제품 설계에 반영하여 실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원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동휠체어 사용에는 어려움이 있는데 그 어려움은 무엇이 있나? 전동휠체어의 사용자 증가와 그에 따른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 사용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 예로 전동휠체어의 무거운 무게, 높은 가격, 사후관리 및 서비스에 대한 불편함 등을 들 수 있다[5]. 구현모 등(2005)에 의하면 휠체어 사용의 실태와 불편 요소 등 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자세변형, 신체손상, 불편함과 휠체어 전문가의 서비스,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thanat, S., Desmarais, J. M., Eikelberg. P., Consumer perspectives on the usability and value of the iBOT(R) wheelchair : findings from a case seri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7(2), 153-167, 2012. 

  2. Arthanat, S., Nochajski, S.M., Lenker, J.A., Bauer, S.M., Wu, Y.W., Measuring usability of assistive technology from a multicontextual perspective : the case of electric wheelchairs, America Journal of Occupatianal Therapy, 63(6), 751-764, 2009. 

  3. Bardak, A.N., Erhan, B., Gunduz, B., Low back pain among caregivers of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4(10), 858-861, 2012. 

  4. Demers, L., Monette, M., Lapierre, Y., Arnold, D.L., Wolfson, C., Reliability,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QUEST2.0) for adult with Multiple sclerosi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4(1-3), 21-30, 2002. 

  5. Kong, J.Y., Kwon, S.J., Park, J.Y., Analysis of Status about Repair Suppor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cusing on Mobility Devic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3), 253-271, 2013. 

  6. Lofqvist, C., Pettersson, C., Iwarsson, S., Brandt, A., Mobility and mobility-related participation outcomes of electriced wheelchair and scooter interventions after 4-months and 1-year use,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7(3), 211-218, 2012. 

  7. Lopez-Espuela, F., Gonzalez-Gil, T., Jimenez-Gracia, M.A., Bravo-Fernandez, S., Amarilla-Donoso, J.,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Enfermeri?a cli?nica, 25(2), 49-56, 2015. 

  8. Marchiori, C., Bensmail, D., Gagnon, D., Pradon, D., Manual wheelchair satisfaction among long - term users and caregivers: a French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181-192, 2015. 

  9. Salminen, A.L., Brandt, A., Samuelsson, K., Toytari, O., Malmivaara, A., Mobility devices to promote activity and particip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9), 697-706, 2009. 

  10. Wessels, R.D., De Witte, L.P.,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utch version of QUEST 2.0 with users of various types of assistive devic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5(6), 267-272, 2003. 

  11. International Standard ISO 9241-11 (1998) Ergonomic requirements for office work with visual display terminals (VDTs) Part II: Guidance on Usability : ISO. 

  12. Frank, A.O., Ward, J., Orwell, N.J., McCullagh, C., Belcher, M., Introduction of a new NHS electric-electriced indoor/outdoor chair (EPIOC) service: benefits, risks and implications for prescribers. Clinical Rehabilitation, 14(6), 665-673, 2000. 

  13. Kairy, D., Rushton, P.W., Archambault, P., Pituch, E., Torkia, C., El Fathi, A., et al, Exploring electriced wheelchair users and their caregivers' perspectives on potential intelligent electric wheelchair use: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2), 2244-2261, 2014. 

  14. Krahn, G.L., WHO World Report on Disability: a review, Disability and health journal, 4(3), 141-142, 2011.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Report on Disability 2011;WHO:Geneva, Switzerland; 2011. 

  16. Koo, H.M., Jeong, D.H., Kong, J.Y., Chae, S.Y., A Study on the Using Realities and Satisfaction of the Wheelchair of the Disabled,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6, 229-245, 2005. 

  17. Jeong, D.H., Hong, S.T.,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Wheelchair Using the QUEST 2.0,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9(2), 61-76, 2008. 

  18. Choi, Y.J., Sim., H.P., The Related Factor of Job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Stress on Musculoskeletal Symptom for Caregiver Working in Hospital. The Journal Korean of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18(1), 19-29, 2012. 

  19. Jun, S.C., Seo, J.H., Lim, H.C., Lee, C.H., Shin, Y.I., Jung, D.Y.,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Safety Assessment Criteria for the electriced-Scooter and the Electric-Wheelchair,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6(3), 421-43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