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假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san of the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4, 2016년, pp.26 - 36  

김묘정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정기호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김두규 (우석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의 가산에 대하여 그 위치와 장소를 확인하고, 근대화 과정 속에서 사라졌거나 변화된 모습의 현황을 확인해 보기 위한 것이다. 청계천 준설과 관련된 고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통한 문헌조사와 가산의 실제위치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현장조사로 진행되었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청계천 관련 고문헌과 고지도를 통해서 청계천 주변 가산 관련 내용 및 기록을 선별하였고, 주로 세종 대에 지류 및 세류의 준설작업과 영조 대의 대규모 준설에 의해 가산이 조성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고지도에 나타난 청계천 주변의 가산 및 수림대의 위치를 파악하였으며, 그 위치가 오간수문을 중심으로 도성 안과 밖의 청계천 양안, 그 주변의 지류 주변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산의 위치는 수선전도의 축척지도화방안을 토대로 고지도상의 가산을 현지도상에서 파악하고, 현지조사를 통해서 가산으로 표현된 장소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에 조성된 가산은 대부분 19세기말 이래로 진행된 도시개발로 인해 사라졌지만 아직도 그 흔적이 일부 남아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lace and location of Gasan around Cheonggyecheon in the Joseon Dynasty, and also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ir changes or disappearanc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n top of literature research on old document and maps related to dredging of Cheonggye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 준설과정에서 조성된 가산에 관한 문헌조사와 이들 가산 가운데 근대화 과정 속에 변화된 모습과 아직도 그 흔적의 일부를 가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 들을 확인한 것이다. 고문헌과 조선시대 고지도 그리고 여러 축척지도를 통하여 청계천 주변 가산에 관한 내용과 위치를 추정하고, 현 지도상에 청계천 주변 가산위치를 파악하여 현지답사를 통해서 주변현황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조선시대 고문헌에 실린 청계천 준설 및 가산의 논의에 내포된 의미를 찾는 한편 문헌자료 및 고지도를 활용하여 그 위치를 추정하고, 근대화 과정 속에서 사라졌거나 변화된 모습을 조사하여 조선시대 청계천 주변에 조성되었던 가산의 상황을 재확인함으로서 향후 청계천 주변 복원에 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계천은 어떤 하천이었는가? 청계천은 개천(開川)이란 이름의 건천이며, 여름 장마철이나 홍수 때 이외에는 그냥 얕고 좁은 자연하천이었다. 조선에 들어서 한양 정도가 이루어지고 천변에 동네가 생기고, 매년 반복되는 홍수와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준설작업이 시행되었다.
조선왕조도 끊임없이 준설사업을 통해 청계천의 수질을 관리하고자 노력했으며, 한양의 명당수인 청계천의 관리도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는 예시는 무엇인가? 조선시대 비보풍수와 관련된 가산 내용을 보면, “조선전기에 도성(都城) 수구내(水口內), 훈련원(訓練院) 동북에도 수북(水北)ㆍ수남(水南)에 각각 한 개씩의 조산(造山)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이 조산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도 “……지기(地氣)를 모아두는 것과 같다.”고 하여 이른바 비보(裨補)의 방책인 듯 설명하였고, 흙은 개천공사 때 나온 토사로 조산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3]. 조선후기에는 이런 조산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4].
준설작업이 시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청계천은 개천(開川)이란 이름의 건천이며, 여름 장마철이나 홍수 때 이외에는 그냥 얕고 좁은 자연하천이었다. 조선에 들어서 한양 정도가 이루어지고 천변에 동네가 생기고, 매년 반복되는 홍수와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준설작업이 시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ttp://www.newsis.com/article/view.htm?cID&ar_idNISX20080926_0000171086 

  2.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Sounjosiloxanyl 32. 

  3.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77). Seoul 600 year history 1 : 323-324. 

  4.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1998). Seoul 600 year history. Era-history. Hanseongb(2). 

  5. Kim, H. W., Kim, D. G. and Kim, Y. K. (2002). A Study of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 of the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3): 68-77. 

  6. Lee, M. K. and Kim. H. B. (2009). A Study Environmental Cognition Patterns through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6): 102-114. 

  7. Nho, M. W. (2004). Urban landscapes of the Cheonggyecheon and "Seoul situations". Sogang University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Sogang University Social Science Research. 12(1): 206-239. 

  8. Ju, Y. (1987). A Study of the Cheonggyecheon and the Bridge Flowing through in the Capital Hanyang. Seoul Historiography Sources. Seoul Folk. 44(0): 61-82. 

  9. Kim, H. J. (2005). The Cheonggyecheon flows. Korean Institu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iver and culture. 1(0): 26-32. 

  10. Kim, M. J. and Jung, K. H. (2006). A Study on Old Bridge Locations Over Cheonggyecheon on the Susunjeondo.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4(0): 18-25. 

  11. Cho, K. K. (2005). An Analysis of Discourse for the People Appear in Dredging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International Culture Association. History and society. 33(0): 3-51. 

  12. Choi, W. Y., Yoon, Y. J., Seo, O. H. and Yoon, Y. H. (2013). The Implications Representated in Korea's Traditional Sokgas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1-12. 

  13. Yun, G. B. (1983). Seokgasan to Get the Terrain Changes. Environment and Landscape. 2(2): 96-99. 

  14. http://ko.wikipedia.org/ 

  15. http://encykorea.aks.ac.kr/ 

  16. Lee, H. (1969). DonggukyeogebegoII. Hanseongbu. 

  17. http://www.baidu.com/ 

  18. Ma, C. Y. (1985). Introduction of China Landscape architecture ar, Taipei : WeC. p134. 

  19. Han, H. D. (1990). A Study on Makeing of Artificial mount as Landscape Elements. Master's thesis. National Seoul University. p31. 

  20. Kim, M. J. (1995). The Comparision on the Landscape Elements in the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Gardens. Master's thesis. National Taiwan University. 

  21.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aejongsiloxanyl 17, Sejongsiloxanyl 12, 119, Sunjosiloxanyl 115, Youngjosiloxanyl 95, Sounjosiloxanyl 32, Munjongsiloxanyl 12. 

  22.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2015). Gukyeok Kyungsungbusa. Seoul Series. 12(1): 418-428. 

  23. Seou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Suggests. (2000). Gukyeok Hangyeong-jiryak. Seoul Historical Materials Series. 2. 

  24. http://blog.naver.com/tmsong21/220322880469 

  25.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68969&mobile&cid46707&categoryId46707 

  26. Governor-General of Korea. (1985). 1/10000 Joseon Topographical Map Collection, BakSeBang. 

  27. Kim, M. J. and Jung, K. H. (2004). A Study to Create a Map Based on Susunjeondo. Docto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