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옛글을 통한 한양도성 연지(蓮池) 일대의 문화경관 고찰
A Study on the Cultural Landscape around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through Old Writings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1, 2016년, pp.1 - 17  

길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  손용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황기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양도성의 연지인 동지, 서지, 남지 관련 옛글을 통해 연지에서의 개인의 행태와 감흥을 준 경관적 특성을 고찰해 당대의 문화경관으로서 연지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각 연지의 경관을 묘사하고 있는 시문, 일기문, 기문 등의 옛글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 연지 모두 연꽃, 버드나무, 연못의 물을 아름다운 경관요소로 꼽고 있다. 둘째, 지역적으로 동지가 자연적 경관으로 인식되었다면, 서지는 자연적 경관과 도시적 경관으로, 남지는 도시적 경관으로의 성격이 강했다. 셋째, 이용행태 측면에서 동지가 이동 중 잠시 들리거나 멀리 조망하는 방식이었다면, 서지는 천연정 누정에서 긴 시간을 체류하며 다양한 행태가 이루어졌다. 남지는 임시로 장막을 편 곳이나 인접한 지인의 저택에서 모임을 가졌고, 번화한 주변 환경으로 인해 밤 시간이 연지를 즐기기 가장 좋은 시간이었다. 넷째, 세 연지가 한양도성과 인접하기에 주변 경관에서 성곽을 인상적으로 묘사하는 글이 많았다. 다섯째, 연지는 주변 환경과 통합적으로 체험되어 넓은 수공간과 자연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오픈스페이스 역할을 했다. 한양도성의 연지는 도성의 연접부에 위치해 도시의 문화적 기능을 보완하고, 오픈스페이스로서의 가치가 높으며 한양 고유의 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장소였다. 현재 이들 연지는 사라졌지만 고도의 수경관으로서 많은 의미와 잠재적 가치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value of Dongji(東池), Seoji(西池) and Namji(南池), the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 as part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period through a consideration of personal behavior and impressive landscape characteristics via various old writings on ea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관은 어떠한 매체가 되는가? 실제로 경관은 ‘정을 촉발한다(觸情)’는 말이 있다. 경관이 마음속에 있는 정서를 촉발하고, 나아가 잠재하고 있는 정서를 구체화하는 매체가 된다는 얘기이다.[2] 이들 연 지에서도 사람들은 특정한 감정을 느끼고 그 안에서 여러 활동과 체험을 통해 경관을 향유했을 것이다.
시문이란? 과거 하나의 장소를 경험했던 개인의 기록을 읽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시문은 경관을 표현하는 대표적 옛글로, 시문을 통해 과거의 경관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왔다. 시문 외에도 일기문, 기문, 수필,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문학작품은 경관이나 장소와 관련이 있는 감정, 관점, 가치, 태도, 의미 등을 수렴하고 있다[3]고 여겨져 여러 문헌들을 통해 개인에게 의미 있었던 경관과 장소를 연구해오 기도 했다.
각 연지(동지, 서지, 남지)는 지역적으로 어떤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는가? 둘째, 각 연지의 주변 환경을 살펴보면 세 연지는 지역적으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었다. 동지가 주변이 들판과 산들로 둘러싸인 자연적 경관으로 인식되었다면, 서지는 수레와 마차가 다니는 큰 길과 밀집한 가옥들로 번화하지만 한편으로는 산 속의 숲 같은 분위기가 있어 자연적 경관과 도시적 경관을 함께 체험할 수 있었다. 남지는 통행이 많은 큰 길과 주거지와 상업지가 인접한 시끌벅적한 장소이고, 숭례문과 성곽과 같은 인문 적 경관요소가 주로 인지되는 보다 도시적 경관의 성격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Gil, J. H., Son, Y. H. and Hwang, K. W.(2015). A Study on the Loca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tus Ponds of Fortress Wall of Seoul(漢陽都城) during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4): 38-51. 

  2. Hwang, K. W.(2011). Interpreting Landscape(경관의 해석).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482-553. 

  3. Lee, E. S.(2010). Literature as a Research Subject of Geography and Literature as a Research Mean of Geography(지리학 탐구대상으로서의 문학작품과 지리학 연구수단으로서의 문학작품).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2(3): 146-153. 

  4. Baek, S. J. and Jang, H. S. Ed. and Trans(2003). 17-19c Everyday Life of Europe, Enjoyment of Microhistory(17-19세기 유럽의 일상 세계, 미시사의 즐거움). Dolbegae. 

  5. Lee, J. G.(1992). A Study on the Retreating Villa(Byeol Soe) Garden in Choson Dynasty. Doctoral Dissertation of Sungkyungwan University. 

  6. Jeong, D. O.(1973). On the Soswe Won Garde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2: 27-33. 

  7. Lee, W. H. and Kim, D. H.(2015). A Basic Study on Spatial Recognition through Poet in Soswaewon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 38-49. 

  8. Eom, T. G., Kim, S. J., Park, J. L., Kang, H. M. and Sim, W. K.(2011).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at the Geumsidang sibigyung(12 Landscapes) in Miryang, Gyungn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1-18. 

  9. Lee, M. J., Sagong, Y. B. and Kim, Y. K.(1999). A Study on the Preferred Elements of Pavilion in Kwang Ju City through the Analysis of Po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7(1): 29-45. 

  10. Park, Y. H.(2008). Pavilion Literature of Jung-won Area.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33: 1-32. 

  11. Lee, J. M.(2008). GiMyoSaRim and the Cultural Space of ChungJu.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33: 101-126. 

  12. Son, Y. H. and Ham, K. M.(2011). A Study on Yijing 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oems in Changdeokgung's Rear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3): 124-133. 

  13. Shin, S. S. and Rho, J. H.(2011). An Interpretation of the Landscape Meaning and Culture of Anpyung-Daegun(Prince)'s Bihaedang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1): 28-37. 

  14. Lee, H. W.(2012).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Nu-Jeong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16-18th Century.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5(1): 190-217. 

  15. Rho, J. H. and Lee, J. H.(2014). A Study on the Persons Enjoying the Landscape of Daegodae in Hamyang and Space Hegemony through Analysis of Poetry and Letters Carved on the Roc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1): 10-21. 

  16. Ahn, G. B.(2014).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Youngnam-Lu through the Analysis of Poet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1): 1-9. 

  17. Kim, D. H. and Choi, J. H.(2015). Enjoyment Culture of Garden through Poet and Text, Painting in the 18?19th Century, Hanya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2): 36-48. 

  18. Jeong, M. and Lee, H. S.(2013). Reading Korean Classical Writings Everyday of Ahn, D. H., Lee, J. M. and Jeong, M.(안대회?이종묵?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20): 20. Minumsa Digital Classic. 

  19. Park, S. Nuljae Sok-jip(訥齋先生續集) 2. 

  20. http://tip.daum.net/question/82098767?q. Lee, S. G. Jibong-jip (芝?集) 1. 

  21. Huh, M. Gieon(記言) 15 (C) Kim, M. S. of ITKC(2006). 

  22. Lee, M. S.(1992). Seopa-jip Korean Translations First Volume. Haeju Oh-ssi Chutan Gong-pa Jongjung: 584. Oh, D. I. Seopa-jip (西坡集). 

  23. Kim, H. R. Ed. and Trans.(2015). Writing a Diary 2(일기를 쓰다 2). Dolbegae Publishing: 264-265. Yu, M. J. Heumyeong(欽英). 

  24. Kim, B. N.(2012). Re-Illumination of Jukranshisa. Woori Societ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26: 33-72. 

  25. Lee, D. M. Cheongjanggwan-jeonseo(靑莊館全書) 6 (C) Lee, J. S. of ITKC(1978). 

  26. Lee, D. M. Cheongjanggwan-jeonseo(靑莊館全書) 20 (C) Lee, S. of ITKC(1979). 

  27. Park, J. W. Yeonam-jip(燕巖集) 1 (C) Shin, H. Y. and Kim, M. H. of ITKC(2004). 

  28. King Jeongjo. Hongjae-jeonseo(弘齋全書) 2 (C) Lim, J. K. of ITKC (1998). 

  29. Yun, G. Mumyeongja-jip Munjo(無名子集文稿) 5 (C) Kang, M. J. of ITKC(2013). 

  30. Lee, G. P.(2014). Mumyeongja-jip Korean Translations 4.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Yun, G. Mumyeongja-jip Sigo(無名子集詩稿) 4. 

  31. Seo, Y. B. Jukseok Gwanyu-jip(竹石館遺集) 1 (C) Lee, S. H. of ITKC (2013). 

  32. Jeong, Y. Y. Dasan Simun-jip(茶山詩文集) 2 (C) Song, G. C. of ITKC (1994). 

  33. Jeong, Y. Y. Dasan Simun-jip(茶山詩文集) 4 (C) Yang, H. Y. of ITKC(1994). 

  34. Jeong, Y. Y. Dasan Simun-jip(茶山詩文集) 6 (C) Lim, J. G. of ITKC (1994). 

  35. Kim, J. H. Wandang-jeonjip(阮堂全集) 6 (C) Shin, H. Y. of ITKC (1988). 

  36. http://tongblog.sdm.go.kr/158. Hwang, R. B. Hwangrokcha-jip(黃 錄此集). 

  37. Kim, Y. S. Unyang-jip(雲養集) 2 (C) Ki, T. W. of ITKC(2013). 

  38. http://www.culturecontent.com. Lee, G. Lee Haehakyuseo(李海鶴 遺書) 

  39. Sung, H. Heobaekdang Si-jip(虛白堂詩集) 2 (C) Lim, J. G. of ITKC (2008). 

  40. Sung, H. Heobaekdang Bo-jip(虛白堂補集) 3 (C) Cho, S. H. of ITKC (2011). 

  41. Lim, E. R. Seokcheon Si-jip(石川詩集) 4. 

  42. Yun, C. Y.(2002). A History of Tramsmission of Yonjihoe sijong-sasil (蓮池會始終事實) and Namji kirohoe-do(南池耆老會圖) by Yi Yu-gan (李惟侃, 1550-1634). Jangseogak 8: 55-91. 

  43. Jang, Y. Gyegok-jip(谿谷集) 31 (C) Lee, S. H. of ITKC(1997). 

  44. Lim, J. K.(1998). Baeksa-jip Korean Translations 1.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23. Lee, H. B. Baeksa-jip(白沙集). 

  45. Song, J. G. Dongchundang-jip Sok-jip(同春堂集 續集) 10 (C) Chung, T. H. of ITKC(2007). 

  46. Kim, J. S. Sugok-jip(壽谷集) 1. 

  47. Kang, J. H. Sammyeong Si-jip(三溟詩集) 6. 

  48. Park, H. W. Ed. and Trans.(2015). 18c Seoul Landscape through Seongsijeondo(성시전도시로 읽는 18세기 서울). Bogosa: 255-269. 

  49. Sung, H. Heobaekdang Bo-jip(虛白堂補集) 1 (C) Cho, S. H. of ITKC (2011). 

  50.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2009). Geographical Dictionary of Seoul(서울지명사전). 

  51. Choi, Y.(2015). Column: Choi Yeol, Meaning of Picture(최열 그림의 뜻) 76. Kim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http://www.daljin.com). 

  52. Lee, J. M.(2012). Yanghwasorok. Aka-net. Kang, H. A. Yanghwasorok (養花小錄).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