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유의 열처리가 우유품질과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 I. 우유 열처리 기술의 발달사 -
Effects of the Heat-Treatment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Milk - I.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eat-Treatment Technology in Milk -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4 no.4, 2016년, pp.271 - 278  

정안나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  오세종 (전남대학교 동물자원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milk heat-treatment is to improve milk safety for consumer by destroying foodborne pathogens. Secondly, heat-treatment of milk is to increase maintaining milk quality by inactivating spoilage microorganisms and enzymes. Pasteurization is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airy Fede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생산되는 우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UHT 우유는 전세계적으로 market share가 가장 많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UHT 우유가 위생적으로 가장 안전하기 때문이다. 본 저자는 30년 가까이 된 오래된 글을 재 수록하면서 지금까지 간과하고 있었던 우유 열처리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길 수 있는 좋은 기회이었다고 생각한다. “우유의 열처리가 우유품질과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의 첫 장에 “우유열처리기술의 발달사”를 수록한 것은, 원저자가 유가공을 공부하는 후학들에게 “옅은 지식으로 우유 열처리 논쟁을 하기보다는, 우유 열처리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라고 충고를 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 당시에 우유 살균법은 전혀 새로운 공정이어서 경험이 없었고, 소비자는 살균효과에 대하여 의심을 가졌으며, 살균장치와 적당한 살균유 포장장치가 아직 개발되지 못하였고, 식품위생 관리는 살균보다도 위생적인 원유의 생산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여기에서는 미국에서의 살균법의 시행과정을 주로 살펴봄으로써 초기에 우유 살균법의 법제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 이 글에서는 우유 열처리 기술의 초기발달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우유 열처리 기술의 목적과 방법 및 현실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 사멸목적으로 실시되는 우유의 열처리 방법의 종류는? 현재 세계적으로 미생물의 사멸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우유의 열처리는 간이살균(Thermization), 살균 (Pasteurization), UHT열처리(Ultra-High Temperature treatment)의 세가지 방법이있다. 간이살균은 목장이나 우유공장에서 63~65℃ 에서 15~20초간 열처리하여 우유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며, 우유에 오염될 수 있는 병원균의 사멸을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는 아니다.
우유의 열처리 과정 중 미생물의 사멸 외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우유의 열처리는 원유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사멸시킴으로써 우유에 안장성과 저장성을 부여하는 식품가공의 한 수단이다. 우유를 가열 살균하는 동안에는 미생물의 사멸 이외에도 효소 및 독 성분의 파괴와 같은 변화와 영양성분, 향미성분의 소실과 같은 부정적인 품질변화도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미생물의 파괴를 최대화하고, 식품의 영양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개개의 식품에 알맞은 살균공정의 선택에 유의해야 한다(한, 1989).
우유의 살균 시, 특히 어떤 미생물 사멸에 초점 두는가? 간이살균은 목장이나 우유공장에서 63~65℃ 에서 15~20초간 열처리하여 우유의 저장성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며, 우유에 오염될 수 있는 병원균의 사멸을 목적으로 하는 열처리는 아니다. 우유의 살균은 젖소로부터 우유를 통해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병원균을 완전히 사멸시켜서 위생적으로 안전한 우유를 만들기 위한 열처리 과정이며, 따라서 젖소에서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 전염병균(Zoonotic Pathogens) 중에 내열성이 제일 높은 미생물의 사멸에 열처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non, 1981. Factors affecting the keeping quality of heat treated milk. 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 Document 130. 

  2. Anon, 1981. New monograph on UHT milk, 1981. International Dairy Federation. Document 133. 

  3. Anon, 1983. Pasteurizing plant manual. The Society of Dairy Technology, Huntingdon, England. 

  4. Anon. 1986. Monograph on pasteurized Milk. Int. Dairy Fed., Bulletin No. 200, Brussels, Belgum. 

  5. Dewees, W. P. 1829. A Treatise on the Physical and Medical Treatment of Children, 3rd edition. Leaand-Cared, Philadelphia, USA. 

  6. Hall, C. W. and Trout, G. M. 1968. Milk Pasteurization. AVI Pub. Co., Conn., U.S.A 

  7. Hammer, B. W., and Babel, F. J. 1957. Dairy Bacteriologu 4th ed., JohnWiley and Sons, Inc., New York. 

  8. Knutson, K. M., E. H. Marth, and M. K. Wagner. 1987. Important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milk pasteurization. Dairy Food Sank 7, 459 

  9. Parker, H. N. 1917. City milk Supply. McGraw Hill Book Co., New York. 

  10. Sommer, H. H. 1952. Market Milk and Related Products. 3rd edition, published by the author, Madison, Wisconsin, USA. 

  11. 한봉호. 1989. 식품의 가열살균. 식품공학. pp159-192. 형설출판사, 한국.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