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강암, 화강편마암, 변성퇴적암류와 같이 다양한 지질환경에서 지하수내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Rn-222의 산출특성에 대한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영향, 지질과의 상관성, 단층대의 영향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영동지역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지하수 49점, 지표수 4점을 채취하였다. 지하수내 우라늄과 지표 암석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감마스펙트로메트리를 이용하여 40지점에서 지표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지하수 화학적 유형 $Ca-HCO_3$, $Na-HCO_3$, $Ca-HCO_3(SO_4+NO_3)$등 3가지 유형을 보인다. 환경부 권고치인 우라늄 $30{\mu}g/L$를 초과하는 지하수는 총 49지점 중 2점이며, Rn-222의 경우 미국 EPA 기준치인 148 Bq/L를 초과하는 지하수는 총 40지점중 11점이다. 초과하는 지하수는 주로 화강편마암과 흑운모편마암 지질과 지질경계부에 분포한다. 지표방사능 세기와 지하수내 우라늄함량과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여지 않는다. 아울러 $N45^{\circ}E$ 방향의 주향이동단층인 영동단층은 $82^{\circ}$의 고경도로 상반에 해당되는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지역에서 고함량의 우라늄과 Rn-222가 산출되며, 하반에 해당되는 퇴적암지역에는 고함량의 지하수가 확인되지 않는데, 이와 같은 뚜렷한 차이는 지질의 영향과 더불어 단층대가 방사성물질의 이동 및 확산을 차단시키는 역할에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hydrochemistry, geology, fault with occurrence of uranium and radon-222 from the groundwater in the Yeongdong area. In this study, 49 groundwater and 4 surface water sampl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were collected on two separate occa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영동지역 다양한 지질환경에서 지하수내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Rn-222의 산출특성에 대한 지하수의 화학적 영향, 단층대, 지질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지역 지하수 내 대표적인 생활환경 오염물질인 질산염(NO3−)의 농도가 높아서 자연상태에서 기대할 수 있는 최대농도를 10mg/L 이하로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이온농도를 지질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라늄의 특징은? 우라늄은 자연방사성물질 중 가장 무거운 원소이며, 높은 이동성과 긴 반감기(44억 6,800만년) 때문에 비교적 지하수 내 높게 검출된다. 지하수 내 우라늄의 주요 산화 상태는 4+와 6+이며, 용해된 우라늄은 대부분 착이온을 형성하며 가장 안정한 형태는 우라닐이온(UO2)이다.
ph에 따른 우라늄의 화학종 예시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UO22+ + CO32−(or HCO3−) → (UO2CO3) 0 or (UO2HCO3)+’이와 같은 탄산염착물의 형태가 우라늄이 인체에 유입되는 가장 흔한 형태이며, pH에 따라 매우 다양한 화학종을 형성한다. 중성 및 알칼리에서는 우라닐이온, 우라닐탄산염화합물로 형성되며, 산성에서는 우라닐이온이 많이 형성된다. 따라서 지하수내 고함량 우라늄은 중탄산(HCO3) 함량이 높고, 산화환경이며, 약알칼리성의 pH의 조건을 가지며, 이때 우라늄의 형태는 우라닐탄산염화합물의 형태로의 용존 가능성을 보인다.
지하수 내 용해된 우라늄의 가장 안정한 형태는? 우라늄은 자연방사성물질 중 가장 무거운 원소이며, 높은 이동성과 긴 반감기(44억 6,800만년) 때문에 비교적 지하수 내 높게 검출된다. 지하수 내 우라늄의 주요 산화 상태는 4+와 6+이며, 용해된 우라늄은 대부분 착이온을 형성하며 가장 안정한 형태는 우라닐이온(UO2)이다. ‘UO22+ + CO32−(or HCO3−) → (UO2CO3) 0 or (UO2HCO3)+’이와 같은 탄산염착물의 형태가 우라늄이 인체에 유입되는 가장 흔한 형태이며, pH에 따라 매우 다양한 화학종을 형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nks, D., Frengstad, B., Midtgard, A. K., Krog, J. R., and Strand, T., 1998, The chemistry of Norwegian groundwater: I. the distribution of radon, major and minor elements in 1604 crystalline bedrock groundwat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22(1), 71-91. 

  2. Betcher, R. N., Gascoyne, M., and Brown, D., 1988, Uranium in groundwaters of southeastern Manitoba, Canad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25(12), 2089-2103. 

  3. CEPA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1, Public health goals for uranium in drinking water. CEPA, California, 30p. 

  4. Choo, C. O., 2002, Characteristics of uraniferous minerals in Daebo granite and significance of mineral species,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5(1), 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B. W., Jeong, C, H., and Han, I. S., 2009, A detail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II), NIER, 27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B. W., Kim, K. H., Kim, Y. K., Sung, I. H., Ahn., J. S., Yun, U., Yoon, Y. Y., Lee, K. Y., Lee, B. D., Chon, C. M., Cho, S. Y., Chae, G. T., Choi, B. I., Hong, Y. K., Baek, S. G., Ryu, S. W., and Jeong, C. H., 2008, Adetail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I), NIER, 293p. 

  7. Cho, B. W., Kim, K. H., Kim, Y. K., Sung, I. H., Ahn, J. S., Yun, U., Yoon, Y. Y., Lee, K. Y., Lee, B. D., Lee, H. J., Im, H. C., Cho, S. Y., and Hong, K. Y., 2006,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NIER, 200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othern, C. R., 1990, Radon, radium and uranium in drinking water, CRC Press. 

  9. Cowart, J. B. and Osmond, J. K., 1980, Uranium isotopes in Groundwater as a Prospecting Techique. US Dept. Energy Report, GJBX 119, 112p. 

  10. EPA, 2012, Report to Congress: Radon in Drinking Water Regulations, EPA 815-R-12-002, 34p. 

  11. Finch, R. J. and Murakami, T., 1999, Systematic and paragenesis of uranium minerals. In Uranium: Mineralogy, Geochemistry, and the Environment: Reviews in Mineralogy, 38(1), 91-180. 

  12. Gaines, R. V., Skinner, H. C., Foord, E. E., Mason, B., Rosenzweig, A., King, V. T., and Dowty, E., 1997, Dana's new mineralogy, Eighth edi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1872p. 

  13. Greenberg, A. E., Clesceri, L. S., and Eaton, A. D.,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The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4-55. 

  14. Han, J. H. and Park, K. H., 1996, Abundances of uranium and radon in groundwater of Taejeon area,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9(5), 589-5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eong, C. H., Kim, C. S., Kim, T. K., and Kim, S. J., 1997, Reaction path modelling on geo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and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in watergneiss reaction system, The Journal of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10(1), 3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Jeong, C. H., Kim, D. W., Kim, M. S., Lee, Y. J., Kim, T. S., Han, J. S., and Jo, B. W., 2012,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in borehole groundwater and rock core in the Iche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2(1), 95-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Jeong, C. H., Kim, M. S., Lee, Y. J., Han, J. H., Jang, H. G., and Jo, B. U., 2011, Hydrochemistry and occurrence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within borehole groundwater in the Cheonw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2), 163-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Jeong, C. H., Ryu, K. S., Kim, M. S., Kim, T. S., Han, J. S., and Jo, B. U., 2013, Geochemical occurrence of uranium and radon-222 in groundwater at test borehole site in the Daeje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2), 171- 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Jeong, C. H., Yang, J. H., Lee, Y. J., Lee, Y. C., Choi, H. Y., Kim, M. S., Kim, H. K., Kim, T. S., and Jo, B. U., 2015, Occurrences of uranium and radon-222 from groundwaters in various geological environment in the hoengseong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5(4), 557-5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Jeong, C. H., Yan, J. H., Lee, Y. C., Lee, Y. J., Choi, H. Y., Kim, M. S., Kim, H. K., Kim, T. S., and Jo, B. U., 2016,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Uranium and Radon-222 in Groundwater at OO Village, Yongi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6(2), 261-2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Ju, B. K., Kim, M. S., Jeong, D. H., Hong, J. K., Kim, D. S., Noh, D. J., Yoon, J. K., and Kim, T. S., 2013,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 $^{238}U$ , $^{222}Rn$ ) concentration in drinking groundwaters of metamorphic rock areas;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8(3), 82-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M, S., Yang, J, H., Jeong, C. H., Kim, H. K., Kim, D. W., and Jo, B. U., 2014, Geochemical origins and occurrences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in borehole groundwater in the Goesa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4), 535-5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ER(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Seoul Korea), 1986, Geological report of the Yongdong sheet(scale 1:50,000). 

  24. Lanctot, E. M., Tolman, A. L., and Loiselle, M., 1985, Hydrogeochemistry of radon in ground water. The Second Annual Eastem Regional Ground Water Conference, Portland, Maine, July 16-18, 66-85 p. 

  25. Langmuir, D., Hall, P., and Drever, J., 1997, Environmental geochemistry, Prentice Hall, New Jersey. 

  26. Loomis, L. P., 1997, Radon-222 concentration and aquifer lithology in North Carolina. Ground Water Monitoring Review, 7, 33-39. 

  27. Lowry, J. D., Hoxie, D. C., and Moreau, E., 1987, iExtreme levels of 222 Rn and U in a private water supplyi Radon, radium, and other radioactivity in ground water: Hydrogeologic impact and application to indoor airborne contamination, Lewis Publisher, Chelsea, MI. 

  28. Mandarino, M. J., 1999, Fleischer's glossary of mineral species, Minerlogical Record Incorporated Tucson, Arizona. 

  29. Michel, J., 1990, Relationship of radium and radon with geological formations. In: Cothern, C. R. and Revers, P.A. (eds.), Radon, Radium and Uranium in Drinking Water. Lewis Publishers, Inc., Michigan, 83-96. 

  30.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9,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 

  31.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0,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I). 

  32.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1,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II). 

  33.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2, Study on the radionuclides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IV). 

  34. Park, M. E. and Kim, G. S., 1998, Geochemical of uranium and thorium deposits from the Kyemyeongsan pegmatite,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rionmental Geology, 31, 365-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Shin, D. C., Kim, Y. S., Moon, J. Y., Park, H. S., Kim, J. Y., and Park, S. K., 2002, A review on the hazard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Journal of Envrionmental Toxicology Society of Korea, 17, 273-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Sung, I. H., Cho, B, W., Kim, D. O., Kim, K. H., Park, D. W., Park, J. K., Yoon, Y. Y., Lee, B. J., Lee, B. D., Lee J. C., Im, H. C., Chung, K. S., Cho, S. Y., Hong, Y. K., Jang, W. S., Yang, J. H., Shin, D. C., and Han, I. S., 2002,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IV), NIER, 357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Sung, I. H., Cho, B, W., Woo, H. J., Kim, D. O., Kim, K. H., Park, J. K., Hong, Y. K., Lee, B. D., Yun, U., Lee, B. J., Lee, J. C., Yoon, Y. Y., Kim, Y, J., Chung, K. S., Cho, S. Y., Shin, D. C., Chang, T. W., and Yu, M. J., 2001,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III), NIER, 38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ung, I. H., Kim, D. O., Woo, H. J., Cho, B. W., Park, J. K., Lee, H, Y., Chung, K. S., Yoon, Y. Y., Cho, S. Y., Lee, Y. J., Lee, B. D., Kim, T. K., Kim, K. S., Choo, C. O., and Shin, D, C., 1999,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radioactive materials in groundwater (I), NIER, 33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Wathen, J. B., 1987, The effect of uranium siting in two-mica granites on uranium concentrations and radon activity in ground water. Radon, radium, and other radoactivity in groundwater, Proceedings of the NWWA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