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파의 이상 재배조건에서 생육과 저장온도에 따른 저장성 및 포장한 신선편이 특성
Growth, Storage and Fresh-cut Characteristics of Onion (Allium cepa L.) in Unstable Environmental Condition and Storage Temperature 원문보기

한국포장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22 no.3, 2016년, pp.143 - 154  

이정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장민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박수형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의 재배적 요인과 저장 조건에 따른 수확 전 후 특성을 조사하여, 이들 요인간의 상호적 관계에 대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 품종 이외의 수확전 재배환경과 같은 가변적 요인이 저장 특성과 가공 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카스(Kars)' 등의 품종을 이용하여 재배기간 중의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에 의한 재배조건 차이에 따른 생육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수확후 상온($22^{\circ}C$)과 저온($0^{\circ}C$)으로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 동안의 생체중량 감소와 호흡을 관측하였으며, 저장 후 가공 시 신선편이의 미생물 수, electrolyte leakage, 가스조성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양파 저장 시 수확후에 품종뿐만 아니라 수확전 재배조건과 같이 가변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양파는 재배 시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가 생육에 영향을 미쳐 생육량이 감소하고, 세포조직은 크기가 커지고 엉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재배환경의 차이가 생육뿐만 아니라 수확후에도 영향을 미쳐 생체중량 감소 및 호흡량의 증가로 이어짐을 밝혔는데, 양파 저장 중의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 한 양파의 생체중 변화와 호흡률이 대조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온도에서는 저온($0^{\circ}C$)뿐만 아니라 상온($22^{\circ}C$)에서 저장한 것도 재배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신선편이의 보존 중 변화는 수확전 재배환경보다 저장조건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배 후 저장과정을 달리한 신선편이 양파는 측정항목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보였다. 신선편이의 electrolyte leakage나 미생물 수는 재배조건 보다는 최소 가공전의 저장온도에 더 영향을 받아 저온($0^{\circ}C$) 저장한 것이 electrolyte leakage가 높고 미생물수가 많았다. 그러나 가스 조성 변화나 이취는 재배조건이나 저장온도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기 어려워 보였다. 향후 신선편이에서 가공 전 영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탐색과 포장 후 품질관리를 통해 효과적인 상품성의 유지를 위한 방법을 밝힐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양파의 품종, 재배환경, 저장조건 등이 수확후나 신선편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수확전 재배 단계에서부터, 수확후 저장, 가공까지 유기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품질의 신선한 원예산물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수확후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저장 이후에도 높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확후 관리는 원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수확전 재배환경에서부터 수확후 저장기술 등이 연계되어 관리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와 정론(定論)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s before and after harvesting, storage and, processing of on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tharvest from preharvest factors using onion. This experiment had identified the charac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 2에서 양파의 품종과 재배환경에 따른 저장 중의 중량감소율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실험에서 양파는 수확 전 요인에 따라 저장 중 생체중에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수확후 저장이나 최소가공품의 발생하는 차이가 수확전 요인에서부터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유기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양파에서 품종과 같은 고정적 요인 이외에도 재배환경과 같은 가변적 요인에 따른 차이가 생육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신선편이와 같은 최소가공 시에서도 이용 전의 재배 및 저장 조건 등에 따른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여, 단편적인 고찰보다는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를 통해 재배환경 조건에 따른 생육 특성의 차이를 재현하였으며, 이후 연구에서는 재배조건의 차이로 저장 중에 나타나는 특성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 7). 신선편이 후 신선식품 내의 미생물과, 최소가공 전의 수확 전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Fig.
  • 6). 신선편이는 보존 중에 식물의 상처 및 세포벽 회복과 붕괴로 전해질 누출이 달라지는데19), 재배조건과 저장온도에 따른 영향 여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양파의 재배적 요인과 저장 조건에 따른 수확 전·후 특성을 조사하여, 이들 요인간의 상호적 관계에 대해 구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양파에서 품종과 같은 고정적 요인 이외에도 재배환경과 같은 가변적 요인에 따른 차이가 생육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신선편이와 같은 최소가공 시에서도 이용 전의 재배 및 저장 조건 등에 따른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여, 단편적인 고찰보다는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양파의 수확후 특성은 수확전 요인에서부터 비롯됨으로, 수확후 관리는 수확전 산물에서부터 일관적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파의 수확후 저장이나 최소가공품의 발생하는 차이가 수확전 요인에서부터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유기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양파에서 품종과 같은 고정적 요인 이외에도 재배환경과 같은 가변적 요인에 따른 차이가 생육 및 저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신선편이와 같은 최소가공 시에서도 이용 전의 재배 및 저장 조건 등에 따른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여, 단편적인 고찰보다는 일련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취합하여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양파의 수확후 특성은 수확전 요인에서부터 비롯됨으로, 수확후 관리는 수확전 산물에서부터 일관적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절한 양파의 저장 조건은 무엇인가? 양파 저장 중의 높은 부패 및 생리장해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 수확 전 요인인 재배 시 토양조건, 관수관리 및 시비방법 등과 수확 후 불합리한 저장조건 및 미흡한 적재 방법 등에 의해 발생이 많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며1), 저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확 전에 단수(斷水)와 같은 포장 관리나 충분한 예건 등의 전처리가 강조되고 있다7). 양파의 저장은 0℃에서 상대습도 70~80%가 적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7),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상온 저장하면 2~3개월은 저장이 가능하나 맹아 신장 및 부패로 인해 저장성이 떨어진다8).
양파의 소비 이용 형태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재배 작형은 추파하여 익년의 4~6월에 수확되는 단순 작형으로 대부분이 연중공급을 위해 저장되지만 저장 중의 부패 및 생리장해로 인한 손실률이 높은 편이다5). 양파는 주로 생체로 이용되나 근래에는 생활패턴 변화로 신선편이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5).
토양 과습과 차광 같은 재배환경의 차이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양파 품종 이외의 수확전 재배환경과 같은 가변적 요인이 저장 특성과 가공 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카스(Kars)' 등의 품종을 이용하여 재배기간 중의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에 의한 재배조건 차이에 따른 생육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수확후 상온($22^{\circ}C$)과 저온($0^{\circ}C$)으로 저장온도를 달리하여 저장 동안의 생체중량 감소와 호흡을 관측하였으며, 저장 후 가공 시 신선편이의 미생물 수, electrolyte leakage, 가스조성 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양파 저장 시 수확후에 품종뿐만 아니라 수확전 재배조건과 같이 가변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양파는 재배 시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가 생육에 영향을 미쳐 생육량이 감소하고, 세포조직은 크기가 커지고 엉성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재배환경의 차이가 생육뿐만 아니라 수확후에도 영향을 미쳐 생체중량 감소 및 호흡량의 증가로 이어짐을 밝혔는데, 양파 저장 중의 토양 과습과 차광 처리 한 양파의 생체중 변화와 호흡률이 대조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온도에서는 저온($0^{\circ}C$)뿐만 아니라 상온($22^{\circ}C$)에서 저장한 것도 재배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C. J., Kim, H. D., Lee, J. T., Cho, Y. C., Song, G. W., and Choi, C. K. 2004. Quality improvement of onion by cultural managements, pre-harvest treatments and storage methods und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J. Kor. Soc. Hort. Sci. 22: 162-168. 

  2. Lee, J. S., Choi, J. W. Chung, D. S. Lim, C. L., Seo, T. C., Do, G. L., and Chun, C. H. 2005. Effects of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rs and cultivation methods on growth, quality, and shelf-life. Kor. J. Hort. Sci. Technol. 23: 12-18. 

  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Agricultural outlook for 2015, KREI Seoul Korea, p. 413-483.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5. Statistics of vegetable product amount MAFRA Sejong Korea, p. 44. 

  5. Kim, G. H. 2005. Demands and requirements for fresh-cut of consumer.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4: 2-7. 

  6. Kim, J. G., Das, B. K., and Choi, J. H. 2010. Effect of raw material characteristics on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fresh-cut onion. Kor. J. Hort. Sci. Technol. 28: 73. (Abstract) 

  7. Cho, J. G., Bae, R. N., and Lee, S. K. 2010. Current research status of postharvest technology of onion. Kor. J. Hort. Sci. Technol. 28: 522-527. 

  8. Mogren, L. M., Olsson, M. E., and Gertsson, U. E. 2007. Quercetin content in stored onions (Allium cepa L.):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cultivar, lifting time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J. Sci. Food Agric. 87: 1595-1602. 

  9. Kim, H. D., Lee, J. T., Moon, J. S., and Lee, S. D. 2011. Yield and store quality of bulb onion affected by harvesting time. Kor. J. Hort. Sci. Technol. 29: 70. (Abstract) 

  10. Im, K. R., Ahn, S. R., Park, S. H., Song, H. S., Kim, D. H., and Suh, J. K. 2011. Effect of harvesting time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 during storage on sprouting of onion set. Kor. J. Hort. Sci. Technol. 29: 87. 

  11. Suh, J. K. 2002. Effects of pre-drying methods on onion bulb rot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9: 277-281. 

  12. Kim, Y. K., Lee, S. B., Lee, S. Y., Lee, Y. H., Kim, H. D., Yun, T., and Park, S. W. 2001. Ecology and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 of garlics and onions. Rpt Natl Acad Agr Sci. 56-89. 

  13. Lee, J. S., Paek, K. Y., Shin, Y. W., Park, S. H., Jeong, S. T., and Hwang, J. H. 2004. Effect of soil waterlogging at three developmental stages on growth, fruit yield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n L. var. makuwa Makino). Kor. J. Hort. Sci. Technol. 22: 1-6. 

  14. Lee, J. S., Park, S. H., Park, D. Y., Lee, Y. S., and Chun, C. H. 2009. Yield and storability of spring transplanted onion cultivars in the middle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J. Bio- Environ Control 18: 51-59. 

  15. Lee, J. S., Seong, K. C., Sin, Y. A., Ro, H. M., and Um, Y. C. 2000. Introduction of spring cultivation of onions by adapting the plug seedling system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n peninsula. Kor. J. Hort. Sci. Technol. 18: 9-13.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RDA. Suwon. Korea. 

  17. Chang, S. C. 1973. Compounding of luft's epon embedding medium for use in electron microscopy with reference to anhydride: epoxide ratio adjustment. Mikroskopie 29: 337-342. 

  18. Lee, J. S., Chung, D. S., Lee, J. U., Lim, B. S., Lee, Y. S., and Chun, C. H. 2007. Effects of cultivars and storage temperatures on shelf-life of leaf lettuces. Kor. J. Food Preserv. 14: 345-350. 

  19. Kim, J. G., Luo, Y., and Im, C. I. 2007. Effect of ozonated water and chlorine water wash on the quality and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fresh-cut carrot shreds. Korean J. Food Preserv. 14: 54-60. 

  20. Wang, H., Feng, H., and Luo, Y. 2004. Microbial reduction and storage quality of fresh-cut cilantro washed with acidic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ozon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7: 949-956. 

  21. Lopez-Galvez, G., Peiser, G., Nie, X., and Cantwell, M. 1997. Quality changes in packaged salad products during storage. Z. Lebensm. Unters. Forsch. 205: 64-72 (Zeitschrift fur Lebensmitteluntersuchung und -Forschung A) 

  22. Kwon, J. H., Chung, H. W., Lee, J. E., Park, N. Y., Lee, G. D., and Kim, J. S. 1999. Effect of storage on the quality stability of garlic bulbs.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6: 137-142. 

  23. Kader, A. A. 2002. Postharvest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3rded. Univ. Calif. ANRPub., Oakland, USA. p. 39-47. 

  24. Yoo, K. S., Andersen, C. R., and Pike, L. M. 1997. Internal $CO_2$ concentrations in onion bulbs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in response to sealing of the neck and base. Postharvest Biol. Tec. 2: 157-163. 

  25. Yang, Y. J., Park, K. W., and Jeong, J. C. 1991. The influence of pre- and post-harvest factor on shelf-life and quality of leaf lett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33-140. 

  26. Im, J. B. 2004. Necessity for introducing agricultural production traceability system and policy implications. J. Agricultural Life Sciences. 38: 1-8. 

  27. Kim, J. G., Nimitkeatkai, H., Choi, J. W., and Lee, S. G. 2012. The Effects of calcinated calcium solution washing and heat treatment on the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of freshcut broccoli. J. Bio-Environ. Cont. 21: 411-418. 

  28. Jiang, Y., Shiina, T., Nakamura, N., and Nakahara, A. 2001. Electrical conductivity evaluation of postharvest strawberry damage. J. Food Sci. 66: 1392-1395. 

  29. In, B. C., Kim, J. G., Nimikeatkai, H., and Lee, J. S. 2010. Effects of harvest seasons on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fresh-cut iceberg lettuce. J. Bio-Environ. Cont. 19: 343-350. 

  30. Yaptenco, K. F., Kim, J. G., Lee, H. E., and Lim, C. I. 2005. Respiration modeling of whole tomato (Lycopersicum esculentum cv. Momotaro) at different temperature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J. Hortic. Sci. Biotech. 46: 341-350. 

  31. Watada, A. E. and Qi, L. 1999. Quality of fresh-cut produce. Postharvest Biol. Tec. 15: 201-205. 

  32. Kim, J. G. 2007. Fresh-cut produce industry and quality management. Semyeong Press, Suwon, Korea. 

  33. Kim, J. G., Choi, S. T., and Pae, D. H. 2009. Effect of heat treatment and dipping solution combination on the quality of peeled potato 'Jopung'. Kor. J. Hort. Sci. Technol. 27: 256-2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