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치해석을 이용한 바닥공조 시스템의 공기환경 평가
Numerical Study on Indoor Air Quality Based on Age of Air for the 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열에너지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of Geothermal Energy Engineers, v.12 no.4, 2016년, pp.40 - 46  

방승기 (경민대학교 건축과) ,  안혜린 (연세대학교 기계공학과) ,  이원근 ((주)티이애플리케이션) ,  문기선 ((주)티이애플리케이션) ,  김종률 ((주)티이애플리케이션) ,  이광호 (한밭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air quality of indoor environment, studies of the underfloor air distribution (UFAD) system for application in buildings are actively in progress based on temperature and air flow distribution. However, although the age of air is the major evaluation parameter, there has been v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예정인 40m×40m 규모의 서울 시내 중심부에 위치한 지하 6층, 지상 26층의 사무소 건물을 대상으로 CFD를 이용하여 바닥취출에 따른 바닥하부에서의 공기령, 실내에서의 높이별 평균 공기령과 천장내부의 공기령을 중심으로 바닥취출 공조시스템의 성능 평가 및 바닥 취출속도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기질의 평가지표인 공기령 항목을 이용하여 바닥 취출공조방식의 성능을 평가할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조기에서 바닥취출구까지 공기령의 평균 값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2) 공조기에서 바닥취출구까지의 공기령의 평균 값은 공조기의 풍량이 증가하고, 바닥취출구에서의 취출속도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령의 최대값이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1) 바닥하부에서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취출구에도달하는 공기의 공기령의 최대값은 풍량 및 풍속에 따라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닥하부에서 공조기에서 공급된 공기가 실의 형태에 따라 회전하기 때문에 회전 중심부에서 공기령이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바닥공조시스템이란 무엇인가? 바닥공조시스템(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은 공기조화시 건물 내부의 공기흐름을 바닥을 통해 공급하여 공조하는 방식이다[1]. 이러한 시스템은 층고의 감소, 급기 디퓨져 배치의 유연성 및 온열 쾌적성 향상 등으로 인해 건물에 적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Kim, J. R., Lee, W. K., Moon, K. S., and Kim, H. Y., Introduction of Underflow Air Distribution System, 2016,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 Vol. 10. No. 2, pp. 20-26. 

  2. Yoon, S. H., Jan, H. I., Jung, H. K., Choi, S. K., and Yu, K. H., Post Occupancy Evaluation for Office Building with An Under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2011,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1, No. 6. pp. 78-85. 

  3. Jung, K. S., Han, H. T., Kim, Y. S., Lee, E. T., and Kim, J. H.,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indoor Environment of Office Building with underfloor Air-Conditioning (UFAC) System, 1998,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14, No. 11, pp. 279-286. 

  4. Kim, S. H. and Park, J. I., Evaluation of Indoor Air Environment by Changing Diffuser location and Air Temperature with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2005,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 17 No. 15, pp. 397-403. 

  5. Lee, Y. H., Chang, J. D., Hwang, J. H., and Kim, J. I., Assessments of the Temperature and Velocity in an Office Using the Under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2004,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11, No. 1, pp. 42-53. 

  6. Choi, E. H., Lee, Y. H., Kwon, Y. C., and Hwang, J. H., An Estimation on Indoor Thermal Environment by Pressurized Plenum Under 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in Heating,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30, No. 4, pp. 92-99. 

  7. Y. J. P. Lin and P. F. Linden, A Model for and Under Floor Air Distribution System, 2005,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s, Vol. 37, No. 4, pp. 399-409. 

  8. S. Schiavon, T. Webster, D. Dickerhoff, and F. Bauman, Stratification Prediction Model for Perimeter Zone UFAD Diffusers based on Laboratory testing with Solar Simulator, 2014, Journal of Energy and Building, Vol. 82, pp. 786-79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