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연안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단기변화 (2013-2015)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microbenthic invertebrates in the coastal waters Jeju Island, Korea from 2013 to 2015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2 no.4, 2016년, pp.297 - 328  

고준철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김보연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손명호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조운찬 ((주)챌린저) ,  이관철 (가을파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연안 5개 마을어장 주변해역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총 629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연체동물이 282종 (44.8%) 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31.8% 로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 88종 (14.0%), 해면동물 61종 (9.7%), 태형동물 52종 (8.3%) 및 자포동물은 51종 (8.1%) 의 순으로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71,007개체/$m^2$, $599,2008.0gwwt/m^2$로 연체동물 중 복족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바퀴고둥, 분홍멍게, 줄꼬마담치, 짧은미륵비늘갯지렁이, 상어껍질별벌레 로 주로 북족류와 해초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군집유사도의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4.28-4.64, 0.74-0.79, 33.17-35.45 로 종다양성 및 개체수 균일성이 가장 안정된 지역은 남부인 사계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동부에 위치한 신흥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know and compare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five fishing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from 2013 to 2015. A total of 629 species was identified. Molluscans comprised 282 species (44.8%), Arthropods 88 (14.0%), Poriferans 61 (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3개년 동안 제주연안 마을어장의 저서생물상 분포실태를 모니터링하고, 저서무척추동물 출현종의 분포 특성과 연도별, 계절별 및 해역별 종조성, 개체밀도, 생체량 변화에 대한 조사 등 무척추동물 군집구조의 단기변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주변해역이 독특한 해양생태계를 이루는 이유는? 제주도 주변해역은 동중국해에서 북상해 오는 따뜻한 대마 난류수가 연중 영향을 미치고, 양쯔강유출수, 한국남해연안수 및 황해저층냉수가 시기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해황구조 (Ko et al., 2003) 를 나타내어 아열대해역을 비롯한 난류권 해역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유입되어 서식하는 등 독특한 해양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Choa and Lee 2000; Lee et al., 2000).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해양생태계는? 제주도 주변해역은 동중국해에서 북상해 오는 따뜻한 대마 난류수가 연중 영향을 미치고, 양쯔강유출수, 한국남해연안수 및 황해저층냉수가 시기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다양하고 복잡한 해황구조 (Ko et al., 2003) 를 나타내어 아열대해역을 비롯한 난류권 해역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유입되어 서식하는 등 독특한 해양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Choa and Lee 2000; Lee et al., 2000).
저서무척추동물의 해역별 개체밀도 순서는? 제주연안 방향별로 조사된 저서무척추동물의 해역별 출현양상의 경우 출현종수는 북부, 남부, 서부, 가파도 및 동부해역의순으로 북부와 남부해역에서 341-350종으로 가장 높고, 낮은 해역은 동부해역 (320종) 으로 북부와 남부해역의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해역별 개체밀도는 북부, 서부, 남부, 동부 및 가파도의 순이였으며, 생체량은 서부, 북부, 동부, 남부 및 가파도의 순으로 출현종수 양상을 제외하면 제주연안에서 개체 밀도와 생체량이 높게 나타나는 해역은 북부와 서부해역이고, 남쪽에 위치해 있는 가파도 해역에서 가장 낮은 생물량을 나타냈다. 또한 분류군의 해역별 출현양상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체동물과 기타동물의 해역별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출현종수의 경우 연체동물은 남부해역, 기타동물과 해면동물은 북부 해역, 환형 및 절지동물은 동부해역, 극피동물은 가파도에서 높게 나타나는 등 동, 서, 남, 북 해역별로 분류군의 서식유형차이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ray, J.R. &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2. Choa, J.H. and Lee, J.B. (2000)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Cheju Island, Korea: I.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community structures of phytoplankton. Journa Korean Society Oceanography, , 5: 59-69. 

  3. Choi, J.W., Kim, D.S., Shin. S.H. and Je, J.G. (1998)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the sandflat of Taebudo, Kyonggi Bay,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Research, 20: 97-104. [in Korean] 

  4. Choi, J.W., Je, J.C., Lee, J.H. and Lim, H.S. (2000)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5: 346-356. [in Korean] 

  5. Choe, B.L (1992)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3 Mollusca(II). Ministry of Education, Seoul, 860pp., 126pls. [in Korean] 

  6. Clarke, K.R. and Gorley, R.N. (2006) PRIMER V6: user manual/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K., 1-190. 

  7. Cohen, E.B., Grosslein, M.D., Sissenwine, M.P., Steimle, F.W. and Wright, W.R. (1982) An energy budget of Georges Bank. In: Mercer, M.C. (ed.) Multi-species approaches to fisheries management advice. Canadian Special Publication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9: 95-107. 

  8. Dai, A. and Yang. S. (1991) Crabs of the China Sea. China Ocean Press Beijing. pp. 1-606. 

  9. Hily, C. (1983) Macrozoobenthic recolonization after dredging in a sand mud area of the Bay of Brest enriched by organic matter. Oceanol. Acta, 1983. Proceedings 17th European Marine Biology Symposium, Brest, France, 27 September_1 October, 1982, pp. 113-120. 

  10. Hong S.Y.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 Publishing Company Incorporated, Seoul, pp. 1-479. 

  11. Kim, H.S. (1985) Systemtic studies on crustaceans of Korea, 1. Decapods Proceedings College Natur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63-94. [in Korean] 

  12. Ko, J.C., Kim, J.T., Kim, S.H. and Rho, H.K. (2003)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around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Fisheries Society, 36: 306-316. [in Korean] 

  13. Ko, J.C., Kim, B.Y., Kim, M.J., PARK, S.E., Kim, J.B. and Cha, H.K. (2015) A Seasonal Characteristic of Marine Environment and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Jeju Island Korea from 2012 to 2013. The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7: 319-344. [in Korean] 

  14. Ko J.C., Koo J.H., Lee S.J., Chang D.S. and Jo S.H. (2011)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f fishing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7: 229-246. [in Korean] 

  15. Ko, J.C., Koo, J.H. and Yang, M.H. (2008)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round Munseom, J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4: 215-228. [in Korean] 

  16. Kwon, Y.A., Kwon, W.T. Boo, K.O. and Choi, Y.E. (2007) Future Projections on Subtropical Climate Regions over South Korea Using SRES A1B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 355-367. [in Korean] 

  17. Lambshead, P.J.D..Platt, H.M. & Shaw, K.M. (1983) The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 a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ournal of Natural History, 17: 859-874. 

  18. Lee, J.B., Choa, J.H., Kang, D.W., Go, Y.B. and Oh, B.C (2000) B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ral habitats around Moonsom, Cheju Island, Korea: II.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primary productivity. Algae, 15: 37-47. [in Korean] 

  19. Lee, J.J. and Jwa, Y.W. (1988) Eological study on the intertidal zone around Cheju Island - 1. Estmation of plankton produc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shells - Community structure of molluscan shells.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4: 17-29. [in Korean] 

  20. Lee, J.J. and Hyun, J.M. (2002)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habiting intertidal zone near Songacksan area,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18: 41-52. [in Korean] 

  21. Lee, C.H. (2010) Population study of solitary ascidian Herdmania monus in Jeju Island, Korea. M.S.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pp. 1-23. [in Korean] 

  22. Lee, J.J. and Kim, J.C. (1993) Bioecological studies of the western coastal area in Cheju Island. - Distribution and seasonal community change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on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Biyangdo.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9: 68-84. [in Korean] 

  23. Long, B. and Lewis, J.B. (1987)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fauna of the north shore of the Gulf of St. Lawrence described by numerical methods of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Marine Biology, 95: 93-101. 

  24.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5. Margalef, D.R. (1958) Im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26. Nishimura, S. (1995) Guide to Seashore Animals of Japan With Color Pictures and Keys. Vol. II. Hoikusha, Tokyo, 425pp. 

  27. Neushul, M. (1967) Studies of subtidal marine vegetation in western Washington. Ecology, 48, 83-94. 

  28. Okutani, T. and Habe, T. (1990) The Mollusks of Japan. Gakken Illustrated nature encyclopedia. Gakken Publishing Company, Tokyo, 301pp. 

  29. Pielou, E.C. (1969)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pp. 291-331, Wiley-interscience. 

  30. Paik, S.G, and Yun, S.G.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ournal of Fisheries Society, 33: 572-580. [in Korean] 

  31. Shannon, C.E. and Wien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25 pp.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Chicago. 

  32. Snelgrove. PVR. and Butman, C.A.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s revisited : cause versus effect. Oceanography and Marine Biology: an Annual Review, 32: 111-177. 

  33.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7) List of animals in Korea(excluding insects). Academy Press, 489pp. 

  34. Trewartha, G.T. and Horn, L. (1980) An Introduction to Climate, 5th Edition, McGraw-Hill, New York. 

  35. Thouzeau, G., Robert, G. and Ugarte, R. (1991)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egainvertebrates inhabiting sea scallop grounds from eastern Georges Bank,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74: 61-82. 

  36. Yang, M.H., Moon, T.S., Yu, J.T., Ko, J.C. and Chang, D.S. (2007) Species apear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 the coastal water of Chagwi-do,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23: 235-243. [in Korean] 

  37. Yu, O.H., Koh, B.S., Lee, H.G. and Lee, J.H. (2004)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Inchon, Korea. Journal of Fisheries Society, 37: 423-43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