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과대학 학생들의 전공독서 실태 분석 연구: A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ading of Major Subject Books by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a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7 no.4, 2016년, pp.149 - 165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주용국 (경성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A대학교 문과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독서역량과 전공독서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A대학교 문과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남녀 학생 457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과별 독서역량에 집단 간 어휘력과 독해력, 속독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전공독서 실태에서는 전체 학과에서 독서를 하지 않는 학생이 66.9%에 달하고, 그 이유가 교재만으로 수업과 과제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이라는 응답(67.7%)이 많았다. 셋째 전체 전공독서량을 조사한 결과 82.1%가 15권미만이고, 11.3%가 1권 미만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의 전공독서시간이 5시간미만 68.9%, 10시간미만 13.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독서역량 학과 간 편차, 전공독서 여부 및 독서량, 시간 등)를 토대로, 전공독서의 양과 질을 넓혀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liberal arts college students' academic reading, to explore basic issues in their reading, and to provide how to improve their academic reading in their majo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57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of liberal arts in a un...

주제어

참고문헌 (9)

  1. 강홍구 외. 2014. 2014 대학도서관 통계분석 자료집.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Kang, Hong-Gu Others. 2014. University Library Statistical 2014 Analysis Kit, Daegu: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 김선남, 강혜영. 2007. 대학생의 독서태도와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36: 217-240.(Kim, Sun-Nam, Hye-Young Kang. 2007. "A Study on College Students' Reading Attitudes and Media Utilization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36: 217-240.) 

  3. 손정표. 2015. 신독서지도방법론. 대구: 태일사. [원전 : Gray W.S. 1960. "The Major Aspects of Reading". Sequential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ies. ed. by Helen M. Robinson(Chicago: Univ. of Chicago Press)](Son, Jeong-Pyo, New reading instruction methods, Daegu: Taelisa [Original : Gray W.S. 1960. "The Major Aspects of Reading". Sequential Development of Reading Abilities. ed. by Helen M. Robinson(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4. 이경민. 2012. 대학도서관에서 대학생 독서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161-181.(Lee, Kyung-Min. 2012. "A Study of Reading Education Methods for University Student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161-181.) 

  5. 이종문. 2010.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문헌 독해능력 평가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17-27.(Lee, Jong-Mo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ing Ability for the Literature Reading of Korean College Students: the Freshmen of A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3): 17-27.) 

  6. 창신대학교. 2014. 2015학년도 신입생 모집안내. 창원: 창신대학교.(Changshin University, 2014. 2015 recruiting year guidance, Changwon: Changshin University) 

  7. 문화일보 (2006. 4. 22) [인용 2016. 12. 15](The Munhwa Ilbo(2006. 4. 22) [인용 2016. 12. 15]) 

  8. 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 [인용 2016. 8. 7].(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mepage. [인용 2016.8.7].) 

  9.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 홈페이지. [인용 2015. 8. 25].(OECD PIAAC Home Page. [cited 2015. 8. 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