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NS 소셜 빅데이터를 통한 아웃도어 의류 소비자 특성과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현황 분석
Analysis of Outdoor Wear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Leading Outdoor Wear Brands Using SNS Social Big Data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1, 2016년, pp.48 - 62  

정혜정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  오경화 (중앙대학교 패션디자인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umers have come to demand high quality, affordable prices, and innovative product designs of the outdoor wear market due to their well-being and leisure oriented lifestyle. A new system of business in outdoor wear has emerged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corporations have endeavored to satisf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5. SNS 소셜 빅데이터을 통해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긍정적, 부정적 여론을 살펴본다.
  • 에서 아웃도어 의류를 키워드로 탐색한 결과, 소셜 빅데이터에서 보여지는 연관어들 중에서 등산, 골프, 캠핑, 스키, 트레킹, 클라이밍 등의 아웃도어 액티비티 관련 연관어들이 나타났다. 국내 소비자들의 아웃도어 활동이 점차 세분화되고 있는 가운데 아웃도어 의류의 세분 시장에 대한 미래 전략을 구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각 아웃도어 액티비티들을 키워드로 입력하여 아웃도어 활동별 소비자들의 관심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1을 위해 아웃도어 의류로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나타난 100개 연관어 중에서 아웃도어 액티비티 관련 연관어로는 등산, 골프, 캠핑, 트레킹, 클라이밍, 백패킹, 스키/스노우, 수상스키, 오프로드, 워킹, 러닝, 바이크, 카약, 요트 등으로 나타나 사계절별, 장소별 아웃도어 활동 언급빈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 2014a; Lee & Yoon, 2014), 소비자 행동(Lee & Yi, 2013), 온라인 고객 행동(Kim & Oh, 2009)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 활용을 시작하고 있으며 의류산업에서도 점차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의류산업 영역에서 소셜 빅데이터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류산업에서 중요한 세분시장으로 부각됨과 동시에 시장규모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아웃도어 의류시장을 분석하고 기회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SNS 소셜 빅데이터 활용하고자 한다. 즉, 실제 SNS 상에서 소비자들이 아웃도어 의류에 대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아웃도어 의류 속성, 제품, 브랜드, 심리, 긍정 혹은 부정적 감정과 등산, 캠핑, 트래킹과 같은 아웃도어 액티비티와 관련한 연관어 등 아웃도어 의류 시장 및 소비자 특성을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 즉, 실제 SNS 상에서 소비자들이 아웃도어 의류에 대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아웃도어 의류 속성, 제품, 브랜드, 심리, 긍정 혹은 부정적 감정과 등산, 캠핑, 트래킹과 같은 아웃도어 액티비티와 관련한 연관어 등 아웃도어 의류 시장 및 소비자 특성을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SNS 상에서 소비자들이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Top 5에 대하여 어떠한 언급을 하고 있는지 등의 브랜드 현황과 소비자들의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여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들의 강점과 약점, 기회 및 위협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전략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NS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아웃도어 의류의 주요 특성(속성, 제품, 브랜드, 심리)과 아웃도어 의류에 대한 긍정적과 부정적 감정, 아웃도어 액티비티별 관련 주요 연관어 등 아웃도어 의류 소비자의 특성을 조사하고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아웃도어 의류 주요 브랜드 5개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SNS 소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아웃도어 의류 시장 및 소비 특성과 긍부정 여론, 아웃도어 액티비티 특성,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현황 및 긍부정 여론을 살펴보고 아웃도어 의류 시장의 기회요인과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들의 강점과 약점 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제품 및 브랜드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웃도어 의류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아웃도어의 주요 이슈들을 파악한 후, ㈜다음소프트의 소셜메트릭스TM 서비스를 통해 소셜 빅데이터(트위터, 블로그)를 수집하였다.
  • 시장의 피드백을 적시에 직접 청취하여 분석할 수 있는 SNS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아웃도어 의류시장과 주요 브랜드들 관련 여론 변화 및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웃도어 패션기업 및 브랜드를 위한 최적의 제품 및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생성된 소셜 빅데이터를 의류산업 분야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였으며, 현상적인 측면에서는 분석된 자료의 의미를 어떻게 분석하여 비정형의 자료를 의미 있는 자료로 해석하고 실무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의류패션산업 분야에서 소셜 빅데이터 분석 초기 연구로 분석의 타당성에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 Top 5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로 선정된 “노스페이스”, “코오롱스포츠”, “K2”, “아이더”, “블랙야크”를 각각 키워드로 입력하여 연관어 및 여론을 탐색하고 국내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현황을 분석하여 경쟁우위 전략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아웃도어 및 포함어(의류, 패션, 옷, 웨어)의 키워드를 입력한 결과에서 추출된 각 하나의 연관어당 최소 200회 이상 언급 시 의미 있는 결과(Jung et al., 2014; Lee & Yoon, 2014)로 보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 그러나 의류산업 분야에서의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들은 SNS 소셜 빅데이터 연구방법의 의의 및 과정, 소셜 빅데이터를 사용한 기업 사례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져 초기단계 조사로서 SNS 소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한 시장과 브랜드, 소비자 트렌드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류산업 분야에서 SNS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실증적인 연구를 위해 현재 경쟁이 치열한 아웃도어 의류 시장 및 브랜드 현황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아웃도어 의류 시장이 점차 커지면서 국내외 여러 제품들의 시장진입에 따라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시장 환경 속에서 국내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들은 아웃도어 스포츠 활동 참여 증가라는 시장규모 확대에 안주하기 보다는 고객욕구를 명확히 규명하여 고객의 만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품기획과 판매를 통해 시장경쟁우위를 선점하고 유지해야할 것이다. 즉 고객들이 생각하는 아웃도어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실제 소비자들이 아웃도어에 대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SNS상에서 아웃도어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키워드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의류산업에서 중요한 세분시장으로 부각됨과 동시에 시장규모 선점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아웃도어 의류시장을 분석하고 기회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SNS 소셜 빅데이터 활용하고자 한다. 즉, 실제 SNS 상에서 소비자들이 아웃도어 의류에 대하여 어떠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아웃도어 의류 속성, 제품, 브랜드, 심리, 긍정 혹은 부정적 감정과 등산, 캠핑, 트래킹과 같은 아웃도어 액티비티와 관련한 연관어 등 아웃도어 의류 시장 및 소비자 특성을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SNS 상에서 소비자들이 주요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Top 5에 대하여 어떠한 언급을 하고 있는지 등의 브랜드 현황과 소비자들의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여론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들의 강점과 약점, 기회 및 위협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 전략을 구축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레저스포츠에 속하는 것은? 야외라는 뜻의 아웃도어(outdoor)는 도시를 벗어나 자연을 매개체로 그 안에서 행하는 활동 모두를 지칭하는 표현이다(Park, 2014). 친자연적인 활동은 레저스포츠를 의미하기도 하는데, 레저스포츠는 여가시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를 뜻하며 전통적인 스포츠와 달리 비경쟁적이며 개인 종목 위주의 높은 기능 수준을 요구하지 않는 스포츠로 캠핑, 낚시, 사냥, 등산, 하이킹, 자전거타기, 스키, 수상스키, 스카이다이빙, 승마, 세일링, 서핑, 스쿠버다이빙, 래프팅 등이 있다(Kim et al., 2007).
소셜 빅데이터란 무엇인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 ‘온라인’ 상태로 소통하게 되었고 이러한 소통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면서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를 형성하게 되었다. 소셜 빅데이터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가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검색, 조회, 분석, 시각화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까지 포함한다(Beyer & Laney, 2012). 최근 소비자들이 구매 전 제품에 대한 탐색정보원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사용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며(Hutton & Fosdick, 2011), 의류 소비자들 역시 소비자와 기업 및 브랜드 간이 아닌 소비자들 간 패션 정보를 공유하는 등 SNS를 통한 정보탐색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Cho & Workman, 2015).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무엇을 분석하여 고객 니즈를 세부적으로 파악하는가? 현대 소비자들이 그들의 언어로 특정제품이나 서비스들에 대한 의견을 교류하고 관계 맺기를 원하게 되면서 기업들은 SNS에서 얻어진 방대한 양의 정보인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고객 니즈를 세부적으로 파악하여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전략적 툴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Tehrani & Ahrens, 2016). 즉 누가, 무엇을, 왜, 어떻게, 언제, 어디서 이야기했는지, 그런 이야기들이 얼마나 많이, 얼마나 자주 전달되는지, 소비자들이 무엇을 사고 어떤 것을 좋아하고 좋아하지 않은지, 소비자들이 왜 다시 사는지, 그리고 그런 이야기들의 생성과 유통의 과정이 시간 축을 두고 어떠한 시계열적 패턴을 나타내는지 등을 소셜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경영(Lee, 2015), 정보통신(Song, 2014a), 보건 정책(Song, 2014b; S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2014 outdoor survey-Significantly increased young people go to mountains'. (2014, January 14). Mountain. Retrieved August 18, 2015, from http://www.emountain.co.kr/atl/view.asp?a_id5454 

  2. Bae, J. H., Son, J. E., & Song, M. (2013). Analysis of twitter for 2012 South Korea presidential election by text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9(3), 141-156.. doi:10.13088/jiis.2013.19.3.141 

  3. Beyer, M. A., & Laney, D. (2012). The importance of 'big data': A definition. Stamford, CT: Gartner. Retrieved June 22, 2014, from https://www.gartner.com/doc/2057415/importance-big-datadefinition 

  4. Breuer, P., Forina, L., & Moulton, J. (2013). Beyond the hype: Capturing value from big data and advanced analytics. McKinsey and Company. Retrieved June 20, 2014, from http://www.mckinsey.com/client_service/retail/latest_thinking/perspectives_second_edition/-/media/89B5A2D76B5E4C15AF2470BBD9D4370B.ashx 

  5. Cho, S., & Workman, J. E. (2015). College students' frequency of use of information sources by fashion leadership and style of information processing. Fashion and Textiles, 2(1), 1-18. doi:10.1186/s40691-015-0049-2 

  6. Choi, J. H., Choi, D. H., Kim, D. H., Kim, S. S., Lim, S. R., & Kang, J. W. (2014).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사 결정 검색 기술 [Decision-making search technology utilizing social big data].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2(1), 44-52. 

  7. Chung, T. R., Hwang, H. Y., Lim, B. K., & Lee, D. Y. (2012).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purchase decision factors, brand images, intent for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intention of teenagers for outdoor brand apparel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3), 183-192. 

  8. Fashionbiz. (2015, July 28). 아웃도어, '아쿠아슈즈' 각축전 화끈 [Outdoor, keen competition of 'aqua shoes' between brands]. Retrieved February 11, 2016 from http://www.fashionbiz.co.kr/TN/?cate2&recom2&idx148969 

  9. Gantz, J., & Reinsel, D. (2011). Extracting value from chaos. IDC Review, 1-12. Retrieved June 23, 2015, from http://www.emc.com/collateral/analyst-reports/idc-extracting-value-from-chaos-ar.pdf 

  10. Global Fashion Forum. (2014, September 18). 패션, 빅데이터를 만나다. [Fashion meets big data], 패션업계의 빅데이터 활용 [Utilizing big data in fashion industry]. Fashionnetkorea.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Korea, pp. 76-159. 

  11. Hong, B. S., Kim, C. H., & Lee, E. J. (2010).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commitment on functiona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ountaineering apparel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2(5), 599-607. 

  12. Hutton, G., & Fosdick, M. (2011). The globalization of social media: Consumer relationships with brands evolve in the digital spac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51(4), 564-570. doi:10.2501/JAR-51-4-564-570 

  13. Jang, W. Y., Lee, K. Y., & Won, D. Y. (2015). The market segmentation through purchasing decision factors of outdoor sports, wear using conjoint analysis.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20(3), 117-130. 

  14. Je, E. S. (2012). Study on the clothing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utdoor wear benefi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12. doi:10.12940/jfb.2012.16.4.001 

  15. Jho, W. S., & Kim, J. Y. (2012). Political communication and civic participation through blogs and twitter.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tudies, 29(2), 95-130. 

  16. Jung, M., Rho, H., & Park, M. (2014). Reaction survey of tourist who railway utilizing SNS bit data. Proceedings of 2014 Korea Railway Association, Fall Conference, Korea, pp. 456-461. 

  17. Kim, H. C., Kim, M. J., & Shin, H. J. (2014a). Method for analysis of social data servic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Jeju tourism trends. The e-Business Studies, 15(3), 173-195. 

  18. Kim, H., Ahn, S. K., & Forney, J. A. (2014b). Shifting paradigms for fashion: From total to global to smart consumer experience. Fashion and Textiles, 1(1), 1-16. doi:10.1186/s40691-014-0015-4 

  19. Kim, T. W., Jung, W. J., & Lee, S. Y. (2014c).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exposures to SNS and stock prices in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4(2), 233-253. 

  20. Kim, I. H., & Ha, J. S. (2012).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in outdoor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1), 93-109. 

  21. Kim, J. K., Kim, B. H., & Kang, H. M. (2010). A study on positioning strategy of outdoor sportswear brand based on selected attributes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5(4), 13-24. 

  22. Kim, K. H., & Oh, S. R. (2009). Methodology for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 to analyzing online customer reviews for market segmentation. Journal of Korean Contents Association, 9(8), 272-284. 

  23. Kim, S. W., & Kim, N. G.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using sentiment lexicon in opinion classification.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0(1), 133-148. doi:10.13088/jiis.2014.20.1.133 

  24. Kim, S. H,, Hwang, S. Y, & Kim, Y. I. (2007). A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lifestyle types in motivation and the effect of motivation on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16(2), 35-50. 

  25. Kim, T. H. (2009, June 22). 아웃도어 시장의 현황과 전망 [The prospects of outdoor markets]. Kis Credit Monitor. Retrieved August 29, 2014, from http://www.kisrating.com/research/creditmonitor.asp08-17 

  26. Kim, Y. H., Oh, K. W., & Jung, H. J. (2015). Determinants of ecofriendly outdoor wear products purchase intention: Exploring value-belief-norm theory.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6), 965-977. doi:10.5805/SFTI.2015.17.6.965 

  27. Korea Fashion & Textile News. (2015, December 15). 아웃도어 '방한 부츠' 판매전 [Outdoor winter warm boots' sales strategy]. Retrieved February 11, 2016, from http://www.ktnews.com/sub/view.php?PageNo1&cd_cateA014&cd_news97365 

  28. Korea Federation of Textile Industries. (2013). Textile & fashion trend report. Retrieved August 17, 2015, from http://www.kofoti.or.kr/OpBoard/View.asp?CodeIPB&Page2&Uid107 

  29. Lee, J. H. (2012). 데이터 빅뱅, 빅데이터의 동향 [Data big bang, trends in Big Data]. Journal of Communications & Radio Spectrum, 47(3), 43-55. 

  30. Lee, S. K. (2015). A review of big data analysis based on marketing perspectiv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1), 21-35. 

  31. Lee, S. H., & Yi, Y. J. (2013). Gift for myself: A qualitative study of self-gift behavior in Korea. Consumer Studies, 24(3), 123-155. 

  32. Lee, Y. J., & Yoon, J. H. (2014). A study on utilizing SNS big data in the tourism studies : Based on an analysis of key words for tourism information 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3), 5-14. 

  33. Lee, Y. J., Seo, J. H., & Choi, J. T. (2014). Fashion trend marketing prediction analysis based on opinion mining applying SNS text cont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d of Information Technology, 12(12), 163-170. doi:10.14801/jkiit.2014.12.12.163 

  34. Manyika, J., Chui, M., Brown, B., Bughin, J., Dobbs, R., Roxburgh, C., & Byers, A. H. (2011). Big data: The next frontier for innovation, competition and productivity. New York: McKinsey & Company. 

  3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National Survey of Leisure Activities. Retrieved August 24, 2014, from http://ebook.culturestat.mcst.go.kr/home/view.php?code3622&searchkey&searchandor&searchval&hostmain&site20130114_092823&listPageNow1&list2PageNow1 

  36. Paek, K. J., & Lee, J. R. (2014). Draft proposal of smart outdoor wear upon the outdoor wear functionality demand.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3), 446-455. doi:10.5805/SFTI.2014.16.3.446 

  37. Park, J. Y., Lee, T. W., Jang, C. R., & Hong, T. H. (2012). 소셜네트워크에서의 관계추천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Data mining for relationship recommendation on social network]. Proceeding of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Spring Conference, Korea, pp. 508-512. 

  38. Park, K. M., Park, H. K., Kim, H. G., & Ko, H. D. (2011). SNS에서 오피니언마이닝 연구 [Opinion mining research in SNS].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9(11), 54-60. 

  39. Park, J. H. (2014). 아웃도어 섬유소재 및 용품: 아웃도어 스포츠 의류시장의 현황과 전망 [Outdoor fiber materials and supplies: Status and prospect of outdoor sports clothing market].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18(2), 91-95. 

  40. Rhee, Y. J., & Lee, E. O. (2011). The qualitative study on outdoor sportswear purchase behavior-Focusing on functional fabric awareness level and benefits sough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1088-1101. 

  41. Seo, H. J. (2015). A study of outdoor wear consumers' behavio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ah Womans University, Seoul. 

  42. Song, G. Y. (2014a). Building inter-category brand map via social data mi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3. Song, T. M. (2014b). Trend analysis health and welfare policy on social big data. Yonsei Medical Journal, 55(1), 254-263. 

  44. Song, T. M., Song J. Y., & Jin, D. L. (2014). Risk prediction of internet addiction disorder by using social big dat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4(3), 106-134. doi:10.15709/hswr.2014.34.3.106 

  45. Tehrani, A. F., & Ahrens, D. (2016). Improved forecasting and purchasing of fashion products based on the use of big data techniques. Supply Management Research, 293-312. doi:10.1007/978-3-658-08809-5_1 

  46. The Korea Agency of Camping & Outdoor Industry. (2015). 캠핑브랜드 인지도 조사 결과 C-BPS(15년1분기) [Camping brand awareness research results C-BPS in the first quarter of 2015]. Retrieved January 23, 2016, from http://www.campingoutdoor.or.kr/dataroom/sub01.php?bbs_cls_cd001003001&modeL 

  47. Yoo, K. H., & Yu, C. H. (2013).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cadastral information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5(2), 31-51. 

  48. Yune, H. J., Kim, H. J., & Chang, J. Y. (2010). An efficient search method of product reviews using opinion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6(2), 222-2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