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을 기반으로 한 패션디자인 평가 연구 -디자인 속성과 감성 어휘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ashion Design Based on Big Data Text Analysis -Focus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Design Elements and Emotional Term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3, 2018년, pp.428 - 437  

안효선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박민정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rives evaluation terms by analyz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design elements and sentiment terms in regards to fashion design. As for research methods, a total of 38,225 texts from Daum and Naver Blogs from November 2015 to October 2016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parts, fre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패션디자인 평가 방법의 대안으로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에 의한 어휘 추출과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 축적된 사용자 텍스트에서 형태, 소재, 색채 등의 디자인 속성 연관 어휘를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 패션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핵심 어휘들이 CONCOR 분석으로 군집되어 패션디자인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내용이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 스트라이프 셔츠에 대한 주요 언급 내용으로 디자인 표현 특성, 일상복 특성, 형태적 특성, 기능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디자인 속성을 나타내는 명사형 어휘를 중심으로 같은 군집을 이루고 있는 형용사형 어휘를 분석하여 ‘무늬’, ‘색상’, ‘코디’, ‘스타일’, ‘핏’의 패션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들의 평가 내용이 범주화되었다.
  • 또한, 문장에서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동사와 일반적인 개념의 형용사 어휘의 경우 모든 어휘들과 연결이 많기 때문에 평가 어휘 목록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출현 빈도를 기준으로 디자인 속성을 반영하는 명사형 어휘와 사용자들의 감성적 반응이나 패션 이미지에 대한 형용사 어휘를 통해 핵심 어휘 목록을 구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모바일을 통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사용자 중심의 비정형 데이터에서 패션디자인에 대한 평가 어휘를 추출하고 디자인 속성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 방법의 체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블로그 게시글에서 남성 스트라이프 셔츠 연관 어휘들을 수집하고 정제하였으며, 의미연결망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또한, 설문에서 척도로 활용되고 있는 감성 어휘는 시대에 따라 의미와 형태가 변한다는 점에서 일관성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척도 항목을 벗어나는 사용자 요구의 다변화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갖는다(Gordon, 2008).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패션디자인 평가 방법의 대안으로 빅데이터 텍스트 분석에 의한 어휘 추출과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 축적된 사용자 텍스트에서 형태, 소재, 색채 등의 디자인 속성 연관 어휘를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빅데이터 기반 패션디자인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2) Texts a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centrality value. Degree centrality value average=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복은 무엇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는가? 의복은 기능성, 사회성 및 심미성 등의 다양한 특성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준다(Lamb Kallal, 1992). 패션디자인 분야는 전통적으로 사용자의 주관적인 느낌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설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An & Lee, 2015).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온라인상의 사용자 게시글에서 추출된 어휘 자료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어떻게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가?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온라인상의 사용자 게시글에서 추출된 어휘 자료의 의미연결망 분석은 비정형화된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기존의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알 수 없었던 사용자들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구조화된 패턴의 정보를 도출하여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Narayanan & Armstrong, 2005). 이로 말미 암아 패션디자인 분야에서도 정보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SNS, 블로그 게시글을 중심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온라인상에서 형성되고 있는 여론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구가 초기 단계로 수행되고 있다(An & Lee, 2016b).
온라인상의 게시글이나 댓글은 어떤 것을 반영하고 있는가? 온라인상의 게시글이나 댓글(Comments)은 사용자들의 솔직한 태도인 여론을 실질적으로 반영한다(Wollan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 H., & Lee, I. (2015). A conceptual framework for Asian women's emotional needs in fashion 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8 (3), 206-213. doi:10.1080/17543266.2015.1053421 

  2. An, H., & Lee, I. (2016a). Current status of Korean fashion design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4), 660-668. doi:10.5850/JKSCT.2016.40.4.660 

  3. An, H., & Lee, I. (2016b). An investigation of a sensibility evaluation method using big data in the field of design- Focusing on Hanbok related design factors, sensibility responses, and evaluation te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6), 1034-1044. doi:10.5850/JKSCT.2016.40.6.1034 

  4. An, H., & Park, M. (2017). A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in fashion design through social media text-min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6), 1060-1070. doi:10.5850/JKSCT.2017.41.6.1060 

  5. Beheshti-Kashi, S., Lutjen, M., Stoever, L., & Thoben, K. D. (2015). TrendFashion-A framework for the identification of fashion trends. Proceedings of the INFORMATIK 2015, Germany, 1195-1205. 

  6. Borgatti, S. P., & Everett, M. G. (1997). Network analysis of 2-mode data. Social Networks, 19(3), 243-269. doi:10.1016/S0378-8733(96)00301-2 

  7. Gordon, A. (2008). Future savvy: Identifying trends to make better decisions, manage uncertainty, and profit from change. New York, NY: American Management Association. 

  8. Kim, Y. H., & Kim, Y. J. (2016). Social network analysis (4th ed.). Seoul: Pakyoungsa. 

  9. Kong, J. H., & Kwon, Y. A. (2013). Effect of stripe pattern for men's shirts on emotion.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6(1), 65-74. 

  10. Kwon, O. K., Kim, H. E., & Na, Y. J. (2000). 패션과 감성과학 [Fashion and the science of sensibility]. Seoul: Kyomunsa. 

  11.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2-47. doi:10.1177/0887302X9201000207 

  12. Lee, S. S. (2013).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ung. 

  13. Narayanan, V. K., & Armstrong, D. J. (Eds.). (2005). Causal mapping for research in information technology. Hershey, PA: Idea Group Publishing. 

  14. MISP. (2017, May 18). "Fashion MISP" 사용법 - [PRODUCT] 패션 빅데이터로 제품의 반응을 살펴본다! ["Fashion MISP" instructions - [PRODUCT] Explore product responses with fashion big data!]. NAVER 블로그-MISP Fashion [NAVER Blog-MISP Fashion]. Retrieved September 21, 2017, from https://blog.naver.com/fashionmisp/221008656641 

  15. Rickman, T. A., & Cosenza, R. M. (2007). The changing digital dynamics of multichannel marketing: The feasibility of the weblog: Text mining approach for fast fashion trending.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1(4), 604-621. doi:10.1108/13612020710824634 

  16.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Wollan, R., Smith, N., & Zhou, C. (2011). The social media management handbook: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get social media working in your business.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