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산욕기 여성의 보완대체의학 사용실태와 영향요인
Patter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Korean Postpartum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1, 2016년, pp.1 - 10  

김주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신혜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김소영 (두원공과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경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임소희 (경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women's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during postpartum in Korea. Methods: With a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of 423 postpartum women were collected via online and offline surveys. Resul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산욕기 여성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의학의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산욕기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여성건강간호와 보완대체의학 이론의 지식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란 어떠한 시기인가? 여성의 산욕기(postpartum period)는 임신과 출산에 의해 변화된 생식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퇴행성 과정과 수유 등의 신체변화로 인한 진행성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시기이며, 여성 전후반기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이다[1-3]. 산욕기는 삶의 발달과정 중 정상적인 과정이기는 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산욕기 여성의 약 70%정도가 피로감, 요통, 두통, 회음부와 제왕절개 부위의 통증, 유방울혈, 불안, 우울, 비뇨기계 감염 같은 한 가지 이상의 건강문제를 호소하며, 이 여성들 중 25%는 중등도의 건강문제를, 20%는 심각한 건강문제를 경험하여 직장이나 가정으로의 복귀가 힘들다고 보고되고 있다[2,4].
여성의 산욕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성의 산욕기(postpartum period)는 임신과 출산에 의해 변화된 생식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퇴행성 과정과 수유 등의 신체변화로 인한 진행성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시기이며, 여성 전후반기 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시기이다[1-3]. 산욕기는 삶의 발달과정 중 정상적인 과정이기는 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여성의 산욕기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산욕기는 삶의 발달과정 중 정상적인 과정이기는 하지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산욕기 여성의 약 70%정도가 피로감, 요통, 두통, 회음부와 제왕절개 부위의 통증, 유방울혈, 불안, 우울, 비뇨기계 감염 같은 한 가지 이상의 건강문제를 호소하며, 이 여성들 중 25%는 중등도의 건강문제를, 20%는 심각한 건강문제를 경험하여 직장이나 가정으로의 복귀가 힘들다고 보고되고 있다[2,4]. 하지만, 산욕기 여성은 약물이나 치료가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우려하여 이러한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소극적이며, 이러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신생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좀 더 안전하고 자연스러운 치료방법으로 보완대체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S.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Korean traditional postpartum care performance and postpartum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1):37-46. 

  2. Haran C, van Driel M, Mitchell BL, Brodribb WE. Clinical guidelines for postpartum women and infants in primary care - A systematic review.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4; 14:51. 

  3. Song JE, Park BL.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03-514. 

  4. Webb DA, Bloch JR, Coyne JC, Chung EK. Bennett IM, Culhane JF. Postpartum physical symptoms in new mother: Their relationship to functional limitations and emotional well-being. Birth. 2008;35(3):179-187. 

  5. Bishop JL, Northstone K, Green JR, Thompson EA.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pregnancy: Data from the Avon longitudinal study of parents and children.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11;19(6):303-310. 

  6. Kalder M, Knoblauch K, Hrgovic I, Munstedt K.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during pregnancy and delivery. Archives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2011;283(3): 475-482. 

  7.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omplementary, alternative, or integrative health: What's in a name? [Interne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cited 2014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nccam.nih.gov/health/whatiscam/ 

  8.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The regional strategy for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11-2020). WHO; 2012 [cited 2014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www.wpro.who.int/publications/PUB_9789290615590/en/ 

  9. Hall HR, Jolly K. Women's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during pregnancy: A cross-sectional study. Midwifery. 2014;30(5):499-505. 

  10. Strouss L, Mackley A, Guillen U, Paul DA, Locke 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in women during pregnancy: Do their healthcare providers know?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14:85. 

  11. Yoo EK, Ahn YM. A model for community based mother infant care center -transitional mother infant care center using a Sanhujoriw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1; 31(5):932-947. 

  12. Jung ES, Yoo EK.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anagement manuel in Sanhujoriwon: Centered on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2;8(2):301-313. 

  13. Shin HS, Rye KH, Song YA.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ostpartum fatigue and stress responses of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3):294-301. 

  14. Lee SM.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ostpartum blues and maternal attachment of puerper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60-68. 

  15. Hur MH, Han SH. Clinical trial of aromatherapy on postpartum mother's perineal heal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1):53-62. 

  16. Shin SJ, Kang SH, Cho HJ, Kim YS, Eun MN, Lee JW, et al. The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postpartum tonic agent on postpartum anemia, obesity and uterine involution during puerperium.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03;14(1):22-28. 

  17. Adams J, Lui CW, Sibbritt D, Broom A, Wardle J, Homer C, et al. Women's use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during pregnancy: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Birth. 2009;36(3):237-245. 

  18. Hall HG, Griffiths DL, McKenna LG.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by pregnant women: A literature review. Midwifery. 2011;27(6):817-824. 

  19. Furlow ML, Patel DA, Sen A, Liu JR. Physician and patient attitudes toward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08;8:35. 

  20. Nasmedia. The pattern of internet and mobile use among housewives in the thirties and forties [Internet]. Korean Advertisement Information Center; 2013 [cited 2014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www.ad.co.kr/lit/report/show.do?ukey63198 

  21. Korean Internet Security Agency. The analysis of internet use pattern in professional, office women and housewives. Research Report. Seoul: Korean Internet Security Agency; 2006 September. Report No.:06-02. 

  22.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24. Wang SM, DeZinno P, Fermo L, William K, Caldwell-Andrews AA, Bravemen F,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low back pain in pregnancy: A cross sectional survey.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5;11 (3):459-464. 

  25. Skouteris H, Wertheim EH, Rallis S, Paxton SJ, Kelly L, Milgrom J.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by a sample of Australian women during pregnanc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8;48(4):384-390. 

  26. Gaffney L, Smith CA. Use of complementary therapies in pregnancy: The perceptions of obstetricians and midwives in South Australia.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4;44(1):24-29. 

  27. Barnes J. Quality, efficacy and safety of complementary medicines: Fashions, facts and the future. part 1. Regulation and quality.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03;55(3): 226-233. 

  28. Munstedt K, Brenken A, Kalder M. Clinical indication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departments of obstetrics in Germany: A questionnaire study.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09;146(1):50-54 

  29. Kim YJ, Jung MR. A study on the change of postpartum care in Korea. Asian Culture Research. 2012;26:217-240. 

  30. Thomas KJ, Nicholl JP, Coleman P. Use and expenditure o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England: A population based survey.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001;9(1):2-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