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2014년 제주지역 강수의 이온조성 및 오염특성
Ionic composition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Jeju Island during 2009-2014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9 no.1, 2016년, pp.19 - 28  

부준오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  송정민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  신수현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  김원형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  강창희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2014년에 제주지역의 강수시료(n=284)를 채취하여 주요 이온 성분을 분석하였다. 분석 정확도 확인을 위해 이온수지, 전기전도도, 산분율 비교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의 상관계수는 0.927~0.983의 범위로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강수의 부피가중평균 pH 4.9, 전기전도도는 22.7 µS/cm, 이온세기는 0.27±0.38 mM로 시료 중 약 35.9 %가 순수한 빗물 수준을 보였다. 강수 이온성분의 부피가중 평균농도(µeq/L)는 Na+ > Cl > nss-SO42− > NO3 > NH4+ > Mg2+ > H+ > nss-Ca2+ > PO43− > K+ > HCOO > CH3COO > NO2 > F > HCO3 > CH3SO3 순이었다. 강수의 산성화 기여율은 황산과 질산의 기여율이 각각 54.5 %, 36.5 %인 반면에 유기산 음이온인 HCOO 와 CH3COO 의 기여율은 각각 4.8 %, 4.2 %를 나타내어 제주지역 강수의 산성화는 유기산보다는 주로 무기산에 의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화인자를 확인한 결과, NH3에 의한 중화인자는 33 %를 나타내었고 CaCO3에 의한 중화인자는 20 % 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idification of precipitation in the Jeju area.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Jeju area from 2009-2014, and the major ionic species were analyz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a comparison of ion balance, electric conductiv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연구는 이러한 배경 지역에서 강수 시료를 채취하여 주요 이온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강수 성분의 조성과 오염 특성을 조사하고, 강수의 산성화와 중화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성분의 기여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강수의 주요 산 물질이 강수 산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 (3)에 의해 산성화 기여도(acidification contribution, AC)를 조사하였다. 식에서 [nss-SO4 2−]+[NO3]+[HCOO]+[CH3COO]는각 성분의 당량농도 합이며, [X]는 각각의 당량농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Y. J.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ong-range Transport Aerosol by Transport Patterns in Northeast Asia' Ph. 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Korea, 2010. 

  2. H. Niu, Y. He, X. X. Lu, J. Shen, J. Du, T. Zhang, T. Pu, H. Xin and L. Chang, Atmos. Res., 144, 195-206 (2014). 

  3. S. B. Lee, H. J. Ko, M. Y. Lee, E. K. Jo and C. H. Kang, Earth. Environ. Res., 3(1), 15-25 (2009). 

  4. L. Hordijk, W. Foell and J. Shah, ‘Chapter 1. RAINS-ASIA: An Assessment Model for Air Pollution in Asia.’ Phase- Final Report (1995). 

  5. K. J. Kim, J. O. Bu, W. H. Kim, Y. S. Lee, D. R. Hyeon and C. H. Kang, J. KOSAE, 29(6), 818-829 (2013). 

  6. A. I. Calvo, F. J. Olmo, H. Lyamani, L. Alados-Arboledas, A. Castro, M. Fernández-Raga and R. Fraile, Atmos. Res., 96, 408-420 (2010). 

  7. W. Foell, C. Green, M. Amann, S. Bhattacharya, G. Carmichael, M. Chadwick, S. Cinderby, T. Haugland, J. P. Hettelingh, L. Hordijk, J. Kuylenstierna, J. Shah, R. Shrestha, D. Streets and D. Zhao, Water, Air & Soil Pollution, 85, 2277-2282 (1995). 

  8. G. S. Zhang, J. Zhang and S. M. Liu, Atmos. Res., 85, 84-97 (2007). 

  9. Lee, D. E, 'Long-Term Monitoring of Precipitation Components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Jeju Island' Ph. D.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4. 

  10. EANET, Acid Deposition Monitoring Network in East Asia, Data Report on the Acid Deposition in the East Asian Region 2001-2011, Network Center for EANET, http://www.eanet.asia/product/, 2013. 

  11. S. B. Hong, W. H. Kim, H. J. Ko, S. B. Lee, D. E. Lee and C. H. Kang, Atmos. Res., 101, 427-437 (2011). 

  12. R. R. Draxler and G. D. Rolph, HYSPLIT (HYbrid Single-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 access via NOAA ARL READY Website, http://ready.arl.noaa. gov/HYSPLIT_traj.php, 2013. 

  13. R. R. Draxler, HYSPLIT_4 User'Guide, NOAA Technical Memorandum ERL ARL-230, 35pp, http://readyarl.noaa.gov/HYSPLIT.php, 1999. 

  14. R. Sequeira and F. Lung, Atmos. Environ., 29(18), 2439-2447 (1995). 

  15. M. Krämer, M. Schüle and L. Schütz, Atmos. Environ., 30(19), 3291-3300 (1996). 

  16. A. Avila, Atmos. Environ., 9, 1363-1365 (1996). 

  17. 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Report of Global Atmosphere Watch 2013', Korea, 2013. 

  18. H. Sakihama, M. Ishiki and A. Tokuyama, Atmos. Environ., 42(10), 2320-2335 (2008). 

  19. D. Y. Huang, Y. G. Xu, B. Zhou, H. H. Zhang and J. B. Lan, Environ. Monit. Assess., 171, 429-439 (2010). 

  20. K. Huang, G. Zhang, C. Xu, Y. Wang and A. Tang, Atmos. Res., 89, 149-160 (2008). 

  21. Y. Cao, S. Wang, G. Zhang, J. Luo and S. Lu, Atmos. Res., 94, 462-469 (2009). 

  22. N. Zhang, Y. He, J. Cao, K. Ho and Z. Shen, Atmos. Res., 106, 50-60 (2012). 

  23. S. Tiwari, D. M. Chate, D. S. Bisht, M. K. Srirastava and B. Padmanabhamurty, Atmos. Res., 104-105, 128-13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