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 서비스 과정의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 및 서비스 결과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Waiting Environment of Airline Service on Perceived Waiting Time and Service Qua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6년, pp.575 - 585  

이지영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대학원) ,  한희은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일반대학원) ,  최성우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공사의 서비스과정 중 발생하는 대기를 항공기 탑승 전, 후로 나누어 물리적 환경과 인적 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 및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여러 항공서비스를 이용한 승객을 대상으로 300부를 배포한 뒤 유의한 총 231개의 설문지를 통해 분석 한 결과 서비스 과정 중의 대기 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과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항공기 탑승 전(기내 서비스 전)에는 물리적 환경이, 항공기 탑승 후(기내 서비스 중)에는 인적환경이 더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조절변수로 설정 한 수용가능성의 경우 항공서비스 특성상 대기나 예상이 가능함을 사전 인지하고 있어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각된 대기시간은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항공사의 대기관리 전략에 있어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e that the effect of waiting environment on perceived waiting time and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procedur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to international airlines passengers who arrived at the airport. Totally, 300 sampl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대기관리가 중요한 서비스품질 측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는 것은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을 평가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기환경을 통한 지각된 대기시간을 분석하고 항공사의 서비스 결과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고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의 대기환경을 중심으로 지각된 대기시간과 서비스품질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항공서비스를 이용한 승객을 대상으로 [표 4.1]과 같이 설문조사를 수행 하였으며 출발지와 비행시간이 각기 다른 5개 대형 항공사 이용 승객 중 도착지 공항에서 수하물을 찾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여러 국적을 고려하여 영문과 국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기 기입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탑승 전, 후의 물리적, 인적 대기환경과 수용가능성이 지각된 대기시간과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1: 항공기 탑승 전 물리적 대기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항공기 탑승 전 인적 대기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항공기 탑승 후 물리적 대기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항공기 탑승 후 인적 대기환경은 지각된 대기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항공기 탑승 전 지각된 대기시간은 서비스 결과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항공기 탑승 후 지각된 대기시간은 서비스 결과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항공기 탑승 전 지각된 대기시간은 물리적 대기환경과 서비스 결과품질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3-2:항공기 탑승 전 지각된 대기시간은 인적 대기환경과 서비스 결과품질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3-3:항공기 탑승 후 지각된 대기시간은 물리적 대기환경과 서비스 결과품질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3-4:항공기 탑승 후 지각된 대기시간은 인적 대기환경과 서비스 결과품질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H4-1:항공기 탑승 전 물리적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가능성에 의해 조절 될 것이다.
  • H4-2:항공기 탑승 전 인적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가능성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 H4-3:항공기 탑승 후 물리적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가능성에 의해 조절 될 것이다.
  • H4-4:항공기 탑승 후 인적 대기환경이 지각된 대기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수용가능성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서비스 상품은 무엇이라 할 수 있는가? 항공수송 서비스는 인적 요소와 물적 요소가 잘 통합되어 안정성, 신속성, 정확성, 쾌적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서비스이다[1]. 이러한 면에서 항공여행을 원하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항공서비스 상품은 고정적 상품인 항공기의 좌석과 유동적 상품인 기내식과 기내물품들, 그리고 무형적 상품인 항공운송과 인적 서비스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운송서비스업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전반적 항공서비스 과정을 대기라는 관점에서 나누어 보면 고객이 기내 서비스를 제공받기 전 대기, 기내 서비스제공 과정 중 대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2].
항공수송 서비스에서 확보되어야 하는 것은? 항공수송 서비스는 인적 요소와 물적 요소가 잘 통합되어 안정성, 신속성, 정확성, 쾌적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서비스이다[1]. 이러한 면에서 항공여행을 원하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항공서비스 상품은 고정적 상품인 항공기의 좌석과 유동적 상품인 기내식과 기내물품들, 그리고 무형적 상품인 항공운송과 인적 서비스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운송서비스업이라 할 수 있겠다.
대기환경은 크게 물리적, 인적 환경으로 나뉘는데, 이 중 인적 환경은 무엇인가? 인적 환경이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의 친절함, 응대태도, 도움과 안내를 통해 느끼는 환경으로 직원의고객 지향적 응대는 서비스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응대태도는 서비스평가에 연결됨으로 접점직원의 전문적 배려가 중요하다고 한다[5]. 또한 공정성은 서비스 제공자가 대기절차를 처리함에 있어서 정확한 기준과 원칙이 잘 지켜지며, 선착순이 잘 지켜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정한 대우는 서비스 만족과 서비스품질평가 그리고 재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장대성, 김영택, 전순란, "공항이용객과 항공사 종사자간 김포 국제공항 서비스 품질 평가와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9권, 제9호, p.282, 2001. 

  2. Dube-Rioux, "Schhmitt and Leclerc, "Cunsumer's Reactions to Waiting When delays Affect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dvance in Consumer Research, Vol.16, pp.59-63, 1989. 

  3. P. John and M. Dent, "Improving Service: Managing Response Time in Hospitality Op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Vol.14, pp.52-58, 1994. 

  4. 윤성욱, 김수배, "의료서비스에서 물리 환경, 공정성, 지각된 대기시간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과학연구, 제12권, pp.1-20, 2003b. 

  5. D. T. Donavan and M. A. Hocutt, "Customer Evaluation of Service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Extension an Application," Journal of Quality Management, Vol.6, pp.293-306, 2001. 

  6. 서용원, "공정성 지각과 리더의 행동간의 관계분배공정 리더십과 절차공정 리더십의 차별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5권, 제3호, pp.113-132, 2002. 

  7. M. K. Hui and D. K. Tse, "What to Tell Consumers in Waits of Different Lengths: An Integrative Model of Service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2, pp.81-90, 1996. 

  8. 박유식, "지각된 대기시간과 서비스 생산시간이 품질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 문화연구, 제2권, 제2호, pp.109-333, 1999. 

  9. J. Hornik, "Subjective vs Objective Time Measures: A note on the perception of time in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1, No.1, pp.615-618, 1984. 

  10. D. H. Maister, "The Psychology of Waiting Lines in The Service Encounter," 1985, Jone Czepiel, Michael Solomon, and Carol suprenant, eds, Lexington, MA: Lexington Book, 1995. 

  11. S. Taylor, "Waiting for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ays and Evaluation of Service," Journal of Marketing, Vol.58, No.2, pp.56-69, 1994. 

  12. 최은주, "공항 내 항공기 탑승객의 대기시간 관리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학회, 제10권, 제2호, pp.241-260, 2006. 

  13. M. J. Davis and M. Maggard, "An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with Waiting Times in a Two-stage Service Process," Journal of Operation Management, Vol.9, pp.61-69, 1990. 

  14. 박윤주, 대기시간 배려가 지각된 대기시간, 서비스품질 및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5. 정영미, "지각된 대기시간과 공정성이 감정반응 및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제8권, 제16호, pp.183-203, 2012. 

  16. 조정은, 대기시간이 서비스 품질평가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조절변수에 관한연구, 서울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A. Pruyn and A. Smidts, "Effects of Waiting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Beyond Objective Time Meas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ing, Vol.49, No.4, 1998. 

  18. J. C. Chebat, P. Filiatrault, G. C. Chebat, and A. Vaninsky, "Impact of Waiting Attribution and Consumer's Mood on Perceived Qua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34, pp.191-196, 1995. 

  19. 이상석, "항공서비스 품질의 경쟁력," 품질경영학회지, 제24권, 제4호, pp.124-140,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