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여성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식사의 질 :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in Korea Female according to BMI :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f 2010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7 no.1, 2016년, pp.147 - 159  

김인숙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etary quality of Korean females according to BMI,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data (KNHANES V-1). The study incorporated an individual-based, one-on-one interview with a cohort of 3,552 Korean females, including underweigh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여성을 체중군, 정상군, 비만군으로 분류하여 영양소 섭취실태를 통한 식사의 질을 평가하여 식품섭취 시 양질의 식품을 섭취하도록 하는 식사의 다양성과 함께 식생활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소 섭취에 근거한 식사의 질 평가 방법으로 국내 문헌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영양소 섭취에 근거한 식사의 질의 척도인 NAR(영양소 적정 섭취비, Nutrient adequacy ratio)과 MAR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 Mean adequacy ratio), 그리고 열량 섭취는 체격, 신체활동, 대사의 효율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고 개인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개인간의 열량차이를 고려한 INQ(영양의 질적 지수, index of nutritional quality)를 사용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영양은 인간의 성장과 발육은 물론 평생을 통하여 신체 및 정신적인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Huh 1990). 사람들이 먹는 음식에는 여러 영양소와 비영양소 성분이 함께 들어있고 이러한 영양성분들은 체내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단일 영양소의 특성으로 식사내용을 평가하고 건강상태를 연관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다(Oh 2000).
식사의 질 평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1996; Jung & Choi 1997)에서는 식품의 섭취량 등을 비교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균형된 식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식사의 질 평가는 영양소섭취를 기초로 한 평가, 식품이나 식품군 섭취를 기초로 한 평가, 식사 지침 또는 전반적인 식생활을 기초로 한 평가 등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Bae 2012).
영양소의 적정섭취비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세 대조군간 평균 NAR은 모든 영양소에서 1.0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NAR값이 1보다 작은 경우는 집단에서 섭취가 부족한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Shin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YJ(2012) Evaluation of nutrient and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 based on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5(2), 140-149 

  2. Drewnowski A, Henderson SA, Shore AB, Fishler C, Preziosi P, Hercberg S(1996) Dietary quality and dietary diversity in France: implications for the French paradox. J Am Diet Assoc 96(7), 663-669 

  3. Chang HS(2010) A study on weight control behaviour, eating habits and health-related life habits according to obesity degree by body fat percentage among middle-aged women in Guns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5(2), 227-239 

  4. Huh KB(1990) The present status of nutrition-related diseases and its countermeasures. Korean J Nutr 23(3), 197-207 

  5. Jung TJ, Choi MH(1997) Studies of nutrient intake, life style, and serum lipids level in middle-aged men in Taegu. Korean J Nutr 30(3), 277-285 

  6. Kant AK(1996) Indexes of overall dietary quality: a review. J Am Diet Assoc 96(8), 785-791. 

  7.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1995) The health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 J Am Diet Assoc 95(10), 1103-1108 

  8. Kim SM(2005) The study of body image and apprarance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trial or not and weight control methods of college women. M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9. Kim IS, Seo EA, Yu HH(1999)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nutrients and food consumption with advance in age among middle-aged and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4(3), 394-402 

  10. Kim YJ(2013) Comparisons of obesity rate,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factor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of 2010. MS thesis, Chosun University 

  11. Lee KY, Lee YC, Kim SY, Park GS(1980) Nutrition survey of college freshmen. Korean J Nutr 13(2), 73-80 

  12. Lee SY, Ju AL, Paik HY, Ahin CS, Lee HK(1998a)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 -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1); assessment based on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31(3), 333-342 

  13. Lee SY, Ju AL, Paik HY, Ahin CS, Lee HK(1998b)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 -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2); assessment based on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31(3), 343-353 

  14. Lee HY, Kim SH(1994)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adults on lipid metabolism with age. Korean J Nutr 27(1), 23-45 

  15.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3).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Oh SY(2000) Analysis of method on dietary quality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5(2s), 362-367 

  18. Park KS, Choi YS(1990) A study on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housewives residing in apartments in Taegu. Korean J Nutr 23(3), 170-178 

  19. Shim JE, Paik HY, Lee SY, Moon HK, Kim YO(2002)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s by age groups : (4) The Korean diet quality index. Korean J Nutr 35(5), 558-570 

  20. Shin Ya, Shin YJ Park YJ, Park HJ(2011) The comparison of the cut-off definition for diagnosing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Obes 20(2), 65-74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2. The New WHO Criteria for Asians(2004) Appropriate body­mass index for Asian populations and it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Lancet 363, 157-163 

  23. Tibaldi F, Bruckers L, Van Oyen H, Van der Heyden J, Molenberghs G(2003) Statistical software for calculating properly weighted estimates from health interview survey data. Soz Praventivmed 48(4), 26-274 

  24. Yeon JY, Hong SH, Bae YJ(201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 17(5), 543-554 

  25. Yoon JS, Yu KH, Ryu HK(2000) Assessment of nutrients intake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adequacy of adults living in Kyungpook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4), 701-7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