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가 현미 식이섬유 식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micellulase on White Bread Added with Brown Rice Fib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3, 2016년, pp.352 - 359  

염경훈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문용 (SPC 식품생명공학연구소)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헤미셀룰라아제를 0.005, 0.010, 0.015, 0.020%로 첨가하여 제조한 현미 식이섬유 식빵 반죽의 pH 및 발효 팽창력, 현미 식이섬유 식빵의 품질 특성인 pH, 비용적, 굽기 손실률, 수분 함량, 색도, 조직감 및 관능검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차 발효 전 반죽의 pH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1차 발효 후 반죽의 pH는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식빵의 pH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발효 시간에 따른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 모두 발효 시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빵의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빵의 수분 함량은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군이 40.19%로 가장 낮았고,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0.005%, 0.010%, 0.015%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활성도는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빵의 명도는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다소 낮았다. 녹색도는 헤미셀룰라아제 0.015% 첨가군이 -0.62로 가장 낮았고,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0.005% 첨가군과 대조군은 각각 -0.81, -0.80으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두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도는 헤미셀룰라아제 0.005% 첨가군이 13.65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군이 12.86으로 가장 낮았다. 식빵의 견고성, 점착성씹힘성은 대조군보다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응집성과 탄력성은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복원성은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군이 0.49로 가장 낮았고,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0.005% 첨가군은 각각 0.51, 0.51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두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빵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상과 향미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부드러움은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군이 6.78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10% 첨가군이 5.45로 가장 낮았다. 종합적인 기호도는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군이 6.30으로 가장 높았고, 헤미셀룰라아제 0.010% 첨가군이 5.60으로 가장 낮았다. 식빵의 특성 강도 검사 결과 쌀겨향, 쓴맛, 떫은맛 및 거친 정도는 대조군과 헤미셀룰라아제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헤미셀룰라아제 0.020% 첨가는 반죽의 발효 팽창력, 식빵의 비용적, 조직감 및 소비자 기호도 등의 품질 특성을 고려할 때 현미 식이섬유 식빵의 품질 특성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te bread added with brown rice fiber was prepared by addition of 0.005, 0.010, 0.015, and 0.020% hemicellulase. Effects on product qual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xam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of dough before the 1st fermentation among the experiments. Dough made by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NS: not significant.
  • 1)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이섬유나 통밀을 첨가한 빵이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지만 제빵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최근 미강 등의 식이섬유나 통밀을 첨가한 빵이 많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제빵성이 좋지 않아 빵의 부피가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헤미셀룰라아제를 고식이섬유빵을 만들 때 첨가하게 되면 반죽의 질을 향상하고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헤미셀룰라아제는 헤미셀룰로오스(아라비노자일란)의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처음에는 크게 분해하는 헤미셀룰라아제가 작용하여 dextrins 정도로 아라비노자일란의 분자를 짧게 하며, 또 다른 헤미셀룰라아제가 작용하여 올리고당이나 5탄당(xylose, arabinose)을 생성한다.
헤미셀룰라아제란 무엇인가? 이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방안으로 헤미셀룰라아제를 고식이섬유빵을 만들 때 첨가하게 되면 반죽의 질을 향상하고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헤미셀룰라아제는 헤미셀룰로오스(아라비노자일란)의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처음에는 크게 분해하는 헤미셀룰라아제가 작용하여 dextrins 정도로 아라비노자일란의 분자를 짧게 하며, 또 다른 헤미셀룰라아제가 작용하여 올리고당이나 5탄당(xylose, arabinose)을 생성한다. 헤미셀룰라아제는 빵 반죽의 끈적거림을 감소시키고 빵의 부피와 내상을 향상시키며, 저장수명을 증가시켜 노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30).
현미 식이섬유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미 식이섬유는 미강에서 지방과 단백질을 추출하고 남는 부산물로부터 얻어지며, 식이섬유, 무기질, 단백질 및 유용성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건강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다. 현미 식이섬유는 인체 내 소화효소로는 분해될 수 없는 비소화성 물질인 cellulose, hemicelluloses(arabinoxylans), 리그닌 등 주로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수력, 무기질 및 지질과의 결합력, 발효성, 점도 상승 등의 특성이 있고, 섭취 시 흡수율이 강하여 음식물의 부피를 증가시켜 포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장의 운동을 좋게 하고 변의 장에서의 이동시간을 감소시켜 변비를 해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1). 현재까지 미강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품질 특성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간장(2), 바게트(3), 가래떡(4-7), 식빵(8-11), 쿠키(12,13), 머핀(14), 튀김가루(15), 유화형 소시지 (16), 분쇄돈육(17), 파운드케이크(18), 반건조 돈육포(19), 프랑크프루터 소시지(20), 순대(21), 분쇄형 돈육제품(22), 저지방 떡갈비(23), 유화형 소시지(24), 떡갈비(25), 돈육 유화물(26), 돈육 소시지(27), 요구르트(28), 생국수(29) 등이 있으나 제빵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extract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64-469. 

  2. Jeong SJ, Shin MJ, Jeong SY, Yang HJ, Jeong DY. 2014.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550-556. 

  3. Hwang GH, Yun HR, Jung HN, Choi O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using fermented rice bran sourdough. Korean J Food Cook Sci 30: 307-316. 

  4. Choi E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defatted rice bran. Korean J Culinary Res 19: 130-141. 

  5. Kim WJ. 2013. Qual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aedduk prepared with stabilized rice bran and rice flours by semi-dry milling.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1-60. 

  6. Choi EH, Lee J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oasted rice bran. Korean J Culinary Res 16: 277-286. 

  7. Choi E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aw rice bran. Korean J Culinary Res 15: 94-104. 

  8. Choi EK.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s with Riber 50.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p 1-47. 

  9. Park HS, Choi KM, Han GD. 2008.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40-646. 

  10. Chang KH, Byun GI, Park SH, Kang WW. 2008.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ies of wheat flour supplement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Preserv 15: 209-213. 

  11.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Properties of dietary fiber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02-508. 

  12.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191. 

  13. Jang KH, Kwak EJ, Kang WW. 2010. Effect of rice bra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 Korean J Food Preserv 17: 631-636. 

  14. Jang KH, Kang WW, Kwak E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rice bran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43-549. 

  15. Choi SI, Kim TJ, Park JH, Lim CS, Kim M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ying mix added brown rice fib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671-680. 

  16. Choi YS, Kim HW, Song DH, Choi JH, Park J, Kim MY, Lim CS, Kim C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reduced-fat emulsion sausages with brown rice fib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521-529. 

  17. Kim HW,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Hwang KE, Song DH, Kim CJ. 2011. Effects of rice bran fiber on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ground pork during chill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339-348. 

  18. Jang KH, Kang WW, Kwak EJ. 2010.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prepared with rice bra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 250-255. 

  19. Kim TH,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Shim SY, Paik HD, Kim CJ.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pork jerky with rice bran fib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966-974. 

  20. Heo C, Kim HW, Choi YS, Kim CJ, Paik HD. 2009. Shelflife estimation of frankfurter sausage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using predictive modeling.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47-54. 

  21.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Lee CH, Paik HD, Kim CJ. 2009.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zation of Korean blood sausage with added rice bran fib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9: 260-268. 

  22.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Jeong JY, Paik HD, Kim CJ. 2008. Effect of adding levels of rice bran fib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produ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319-326. 

  23.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Lee ES, Jeong JY, Paik HD, Kim CJ. 2008. Effects of rice bran fiber on quality of low-fat Tteokgalbi. Food Sci Biotechnol 17: 959-964. 

  24.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Paik HD, Kim CJ. 2008. Effects of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14-20. 

  25. Heo C, Kim HW, Choi YS, Kim CJ, Paik HD. 2008.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for shelf-life estimation of Tteokgalbi containing dietary fiber from rice bra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232-239. 

  26. Choi YS, Jeong JY,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Shim SY, Paik HD, Kim C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at batters containing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rice bra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7: 228-234. 

  27. Cho SH, Park BY, Seong PN, Lee JM, Kim DH, Ahn CN. 2006. Effect of $\gamma$ -oryzanol on lipid oxidation, col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saus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331-336. 

  28. Lee HJ, Pak HO, Lee JM. 2006.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rice br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488-494. 

  29.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30. Popper L. 2007. Flour treatment. In Future of Flour. Popper L, Schafer W, Freund W, eds. Agrimedia, Bergen/Dumme, Germany. p 232-235. 

  31. Kim YO, Kim MY, Bing DJ, Yoon EJ, Lee YJ, Chun SS. 2014. Effects of hemicellulase on purple sweet potato bread. Korean J Food & Nutr 27: 22-30. 

  32. Yeom KH, Kim MY,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leaves tea white bread with hemicellulase. Korean J Food & Nutr 23: 178-185. 

  33.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elumbo nucifera G. tea white bread with hemicellula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4-1300. 

  34. Jung DS. 2008. Quality and breadmaking properties of flour milled from wheat treated with carbohydrases.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1-86. 

  35. Lee MH, Chang HG, Lee YT. 2008. Effects of enzymes and emulsifiers on the loaf volume and crumb hardness of rice brea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61-766. 

  36. Chun YK, Choi HS, Cha BS, Oh HI, Kim WJ. 1997. Effect of enzymatic hydrolysi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rsimmon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98-203. 

  37.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38.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food science). Hyoil Books, Seoul, Korea. p 96-128. 

  39.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nutrition). Hyoil Books, Seoul, Korea. p 167-171. 

  40. Kim YS, Chun SS, Tae JS, Kim RY. 2002. Effects of lotus root powder on the quality of dough.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73-578. 

  41.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J Korean Soc Food Culture 23: 228-234. 

  42. Cauvain SP. 2003. Bread making: Improving quality.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52-374. 

  43. Labensky SR, Van Damme E, Martel P, Tenbergen K. 2005. On baking: A textbook of baking and pastry fundamentals. Pearson-Prentice Hall, Saddle River, NJ, USA. p 50-52,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