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수학적 담론을 구축하기 위한 교사 질문활동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eachers' Questioning to Formulate an Effective Mathematics Discourse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193 - 214  

조진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민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경화 (서울대학교) ,  이은정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이 구체적인 반응과 함께 수학적 담론에 참여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수학 교수-학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의 질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질문을 인지적 수준에 따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기에, 효과적인 수학적 담론을 구축하기 위해 교사가 어떻게 질문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주목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 교실에서 효과적인 수학적 담론을 구축하는 교사의 질문활동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학적 담론 및 교사의 질문활동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분석을 통해, 교사 질문활동의 특성으로서 개방성, 공유성, 생산성을 도출하였다. 중학교 수학교사 한 명의 수업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수학적 담론 구축을 위해 교사 질문활동의 세 가지 특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론적 분석과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방성, 공유성, 생산성이 교사의 질문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써 유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ers' question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y asking students to react or to participate in mathematical discourse. Previous studies on teachers' questioning have not focused on how to questioning to formulate an effective mathematical discourse which is cont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 교실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수학 교실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수학적 대상에 대한 학습 기회를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은 주로 교사의 언어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 진다. 교실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설명을 하고, 명령을 하고, 때로는 질문을 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적 활동들을 하는데, 그 중 질문을 하는 활동(이하, 질문활동 1) )은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반응을 요구하여 수학적 담론에 참여하도록 한다 는 점에서 다른 활동들과 구분된다.
수학 교실에서 교사는 어떤 활동을 통해 역할을 수행하려고 하는가? 수학 교실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수학적 대상에 대한 학습 기회를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은 주로 교사의 언어적 활동을 통해 이루어 진다. 교실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설명을 하고, 명령을 하고, 때로는 질문을 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적 활동들을 하는데, 그 중 질문을 하는 활동(이하, 질문활동 1) )은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반응을 요구하여 수학적 담론에 참여하도록 한다 는 점에서 다른 활동들과 구분된다.
교사의 질문을 하는 활동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교실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설명을 하고, 명령을 하고, 때로는 질문을 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적 활동들을 하는데, 그 중 질문을 하는 활동(이하, 질문활동 1) )은 학생들에게 구체적인 반응을 요구하여 수학적 담론에 참여하도록 한다 는 점에서 다른 활동들과 구분된다. 교사는 질문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주의를 끌고, 학생들의 사전 지식을 확인하며, 학생들에게 수학적 사고를할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교사는 수업 상황에 따라 학생들에게 하는 질문의 유형을 다르게 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활동들을 하도록 할 수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사의 질문활동은 수학 교수-학습에 있어서 중요하다(Boaler & Brodie, 2004; Chazan & Ball, 1999; Vacc, 1993; White,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완, 장윤영, 정선혜(2011). 수학 수업 발문유형 분석 및 대안 탐색 -신임 교사 사례 연구-. 초등수학교육, 14(3), 293-302. 

  2. 김상화, 방정숙(2010).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523-545. 

  3. 문지혜, 박만구(2012). 열린 발문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3(4), 1-25. 

  4. 박만구, 김진호(2006). 학습자 중심의 수학 수업에서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4), 425-457. 

  5. 백소영, 김도현, 이경언(2014). 수업 시연에 나타나는 예비 수학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 분석. 교사교육연구, 53(3), 400-415. 

  6. 변재현, 김민경(2004). 교사의 단계적 발문이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연구, 8(2), 199-217. 

  7. 이기숙, 김원경(2006). 중학교 수학교사의 발문행동에 관한 분석. 교원교육, 22(4), 111-133. 

  8. 이정모(2010).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과 학문간 융합 - 인지과학 새 패러다임과 철학의 연결이 주는 시사. 철학사상, 38, 27-66. 

  9. 조광희(2002). 경험이나 직관을 강조한 발문학습이 수학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5(1), 123-134. 

  10. 조진우, 이경화(2015).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과 수학 학습. 수학교육학연구, 25(1), 59-74. 

  11. Barnes, D. (1990). Language in the secondary classroom: a study of language interaction in twelve lessons in the first term of secondary education. In D. Barnes, B. James, & R. Harold (Eds.), Language, the Learner and the School. Baltimore: Penguin Books. 

  12. Boaler, J., & Brodie, K. (2004). The importance, nature, and impact of teacher questions. In D. E. McDougall, & J. A. Ross (Eds.), Proceedings of the 26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2, (pp. 773-781). Toronto: Ontario Institute of Studies in Education/University of Toronto. 

  13. Bridges, D. (1979). Education, Democracy and Discussion. Oxford: NFER. 

  14. Capraro, M. M,, Carter, T., & Harbaugh, A. (2010). Understanding, questioning, and representing mathematics: what makes a difference in middle school classrooms? Research in Middle Level Education, 34(4), 1-19. 

  15. Carlsen, W. S. (1991). Questioning in Classroom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2), 157-178. 

  16. Chazan, D., & Ball, D. (1999). Beyond being told not to tell.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9(2), 2-10. 

  17. Cobb, P., & Yackel, E. (1996). Constructivist, emergen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al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1(3/4), 175-190. 

  18. Dillon, J. T. (1984). Research on Questioning and Discussion. Educational Leadership, 42, 50-56. 

  19. Dillon, J. T. (1985). Using questions to foil discussion.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2), 109-121. 

  20. Dillon, J. T. (1991). Questioning the use of ques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1), 163-163. 

  21. Franke, M. L., Webb, N. M., Chan, A., Battey, D., Ing, M., Freund, D., & De, T. (2007). Eliciting Student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 CRESST REPORT 725, L.A.: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22. Gall, M. D. (1970). The use of questions in teach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0(5), 707-721. 

  23. Leatham, K. R., Peterson, B. E., Stockero, S. L., & Zoest, L. R. (2015). Conceptualizing mathematically significant pedagogical opportunities to build on student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88-124. 

  24. Manouchehri, A., & Lapp, D. A. (2003). Unveiling student understanding: The role of questioning in instruction. Mathematics Teacher, 96(8), 562-566. 

  25. Mason, J. (2000). Asking mathematical questions mathematically.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1, 97-111. 

  26. Moyer, P. S., & Milewicz, E. (2002). Learning to question: Categories of questioning used by preservice teachers during diagnostic mathematics interview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5, 293-315. 

  27.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28. Nilsson, P., & Ryve, A. (2014). The nature and role of common ground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in small-group discussions.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8(5), 609-623. 

  29. Olson, C. J., & Knott, L. (2013). When a problem is more than a teacher's questio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3, 27-36. 

  30. Ong, E. G., Lim, C. S., & Ghazali, M. (2010). Examining the changes in novice and experienced mathematics teachers' questioning techniques through the lesson study process.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east Asia. 33(10), 86-109. 

  31. Perry, M., Vanderstoep, S. W., & Yu, S. L. (1993). Asking questions in first-grade mathematics classes: Potential influences on mathematical though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1), 31-40. 

  32. Purdum-Cassidy, B., Nesmith, S., Meyer, R. D., & Cooper, S. (2015). What are they asking? An analysis of the questions planned by prospective teachers when integrating literature in mathematic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8(1), 79-99. 

  33. Radford, L. (2011). Book review: Classroom interaction: Why is it good, reall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6, 101-115. 

  34. Sahin, A., & Kulm, G. (2008). Sixth grade mathematics teachers' intentions and use of probing, guiding, and factual questions.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3), 221-241. 

  35. Scott, P. (1998). Teacher talk and meaning making in science classrooms: A Vygotskian analysis and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2(1), 45-80. 

  36. Seeger, F. (1998). Discourse and beyond: On the ethnography of classroom discourse. In H. Steinbring, M. G. Bartolini Bussi, & A. Sierpinska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pp. 85-10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7.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Human Development, the Growth of Discourses, and Mathematiz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Sfard, A. (2014). Discursive approaches to learning mathematics. In S. Lerman (Ed.), Encyclopedia of Mathematics Education. (pp. 405-408). New York: Springer. 

  39. Sfard, A., & Kieran, C. (2001). Cognition as communication: Rethinking learning-by-talking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of students' mathematical interactions. Mind, Culture, and Activity, 8(1), 42-76. 

  40. Sfard, A., Nesher, P., Streefland, L., Cobb, P., & Mason, J. (1998).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conversation: Is it as good as they say?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18(1), 41-51. 

  41. Smith, M. S., & Stein, M. K. (2014).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해 교사가 알아야 할 5가지 관행,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영어초판은 2013년 출판). 

  42. Sorto, M. A., Mccabe, T., Warshauer, M., & Warshauer, H. (2009). Understanding the value of a question: An analysis of a lesson. Journal of Mathematical Sciences and Mathematics Education, 4(1), 50-60. 

  43. Staples, M. (2007). Supporting whole-class collaborative inquiry in a secondary mathematics classroom. Cognition and Instruction, 25(2), 161-217. 

  44. Tsui, A. B. M., Marton, F., Mok, I. A. C., & Ng, D. F. P. (2004). Questions and the space of learning. In F. Marton, & A. B. M. Tsui (Eds.), Classroom Discourse and the Space of Learning (pp. 113-137).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5. Vacc, N. N. (1993). Implementing the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Questioning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Arithmetic Teacher, 41(2), 88-91. 

  46. Voigt, J. (1996). Negotiation of mathematical meaning in classroom processes: Social interaction and learning mathematics. In L. Steffe, P. Nesher, P. Cobb, G. Goldin, & B. Greer (Eds.), Theories of Mathematical Learning (pp. 21-50).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7. White, D. Y. (2003). Promoting productive mathematical classroom discourse with diverse student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2(1), 37-53. 

  48. Wong, E. D. (1991). Beyond the question/nonquestion alternative in classroom discus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1), 159-162. 

  49. Wood, T. (1998). Funneling or focusing? Alternative patterns of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class. In H. Steinbring, M. G. Bartolini Bussi, A. Sierpinska (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pp. 167-178).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