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한 등비급수의 합에 대한 Archimedes의 아이디어의 은유적 모델과 그 교육적 활용
The Metaphorical Model of Archimedes' Idea on the Sum of Geometrical Serie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1, 2016년, pp.215 - 229  

이승우 (서울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무한 등비급수의 합을 구하는 Archimedes의 상승적 아이디어를 소개하고 분배 상황을 이용하여 이를 은유적으로 확장하였다. Archimedes의 아이디어에 대한 은유적 확장 모델은 현행 고등학교 수준에서 강조되는 극한 개념의 동적 측면에 상보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정적인 특징을 갖고 있으며 중학교 수준에서 $0.999{\cdots}=1$임을 설명할 때 현행 교과서에서 대수적 무한 유추에 기반하여 유도하고 있는 식 $0.999{\cdots}=9/(10-1)$에 새로운 의미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중학교 2학년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자의 수업에서 은유적으로 확장된 모델은 구체적인 분배 상황을 통해 위의 식을 문맥화 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고 창의성과 오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rchimedes' idea used while proving proposition 23 in 'Quadrature of the Parabola'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way for finding the sum of geometric series without applying the concept of limit by extending the idea though metaphor. This metaphorical model is characteri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학사에서 나타나는 수학자들의 일화나 수학적 아이디어는 학생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가 될 수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수학사에서 Archimedes가 포물선 영역의 넓이를 구하는 과정에서 무한에 대한 논란을 피하고 엄밀한 증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사용한 착출법과 이중귀류법에 관심을 두는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수업 소재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Archimedes가 사용한 상승적 아이디어에 주목하고 그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교수학적 지식의 관점에서(졸고, 2015a), Archimedes가 식(1)을 암묵적으로 어떻게 이끌어 내었는지 밝히고 이를 수업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은유적으로 확장된 모델을 제시하는 형태로 수행되었다.
  • 한편 Archimedes는 다른 저서 The Method에서 지렛대의 원리와 무한소를 사용하여 포물선과 선분 AC로 둘러싸인 영역 ABC의 넓이가 4/3∆ABC임을 발견술적으로 기술하고 있는데[그림 II-2], 이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uchy가 오늘날이 교과서에 사용되는 형태의 등비급수 개념을 세우는데 어떻게 기여하였는가? 오늘날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등비급수개념은 Cauchy에 이르러 확립되었는데, Cauchy는 수열과 극한의 개념을 이용하여 부분합의 극한이라는 무한급수의 정의를 도입함으로써 무한히 더해야 하는 실행 불가능한 과정을 ‘합(sum)’이라는 용어로 대체 가능하게 하였다(Randolph,1957). Archimedes는 극한의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무한 등비급수의 합을 구하였으며, 수학사가들은 Archimedes가 무한 등비급수의 합을 최초로 계산한 것으로 간주한다(King, 1968).
수학사에서 등비급수는 어떤 것인가? 수학사에서 등비급수는 수 개념과 적분 개념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학교수학에서도 중요한 학습 주제 중 하나이다. 등비급수의 개념은 수열의 개념보다 복잡하지만 시기적으로 수열의 개념보다 먼저 발생하였으며(Knopp,1956, p.
무한에 대한 Zeno의 역설에 대한 답변인 착출법 중 Eudoxus의 착출법이 기여한 바는 무엇인가? 무한에 대한 Zeno의 역설은 그리스 시대의 수학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수학자들의 답변은 착출법이었다(Heath, 2003). Eudoxus의 착출법(소진법, method of exhaustion)은 하나의 양을 계속해서 나누어서 원하는 만큼 작게 만들 수 있다고 가정하여 무한소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동시대의 수학자들로 하여금 탈출구를 열어주었다(Heath, 2003). 이러한 측면에서 그리스 시대의 수학자들은 ‘무한히 작다’나 ‘무한히 크다’는 표현대신, ‘주어진 양보다 더 크다 또는 더 작다’ 등의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무한히 가까운 근사’, ‘무한급수의 합’, ‘원은 무한히 작은 변들로 이루어진 무한 다각형이다’ 등과 같은 표현은 결코 사용한 바가 없다(Heath,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이승우 (2015a). 학교수학이란 무엇인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381-405 

  2. 이승우 (2015b). 학교수학적 지식의 성장: 고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위키(Wiki) 기반 협력 문제해결 활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5(4), 717-754 

  3. 조한혁.최영기 (1999). 정적 동적 관점에서의 순환소수. 학교수학, 1(2), 605-615. 

  4. 황선욱 외 8인 (2015). 중학교 수학2. 서울: 신사고 

  5. 황선욱 외 10인 (2015). 미적분 I. 서울: 신사고 

  6. Apostol, T. M. (1981). Mathematical Analysis(2nd ed.).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7. Borasi, R. (1994). Capitalizing on Errors as "Springboards for Inquiry": A Teaching Experim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2), 166-208. 

  8. Boyer, C. B. (1959). The history of the calculus and its conceptual development: The concepts of the calculus.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9. Cornu, B. (1991). Limits.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 153-166).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 Christianidis, J., & Demis, A. (2010). Archimedes' quadratures. In S. A. Paipetis, & M. Ceccarelli (Eds.), The Genius of Archimedes-23 Centuries of Influence on Mathematics, Science and Engineering (pp. 57-68).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11. DeSouza, C. E. (2012) The Greek method of exhaustion: Leading the way to modern integration. (Master degree paper, Ohio State University). 

  12. Edwards, C. J. (1979).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alculus. NY: Springer-Verlag. 

  13. Judith V. Grabiner, J. V. (1983). Who Gave You the Epsilon? Cauchy and the Origins of Rigorous Calculus.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90(3), 185-194. 

  14. Heath, T. (2002). The Works of Archimedes.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15. Heath, T. (2003). A Manual of Greek Mathematics.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16. Katz, V. J. (1993). A history of mathematics: An introduction. NY: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17. King, D. Albert. (1968). A Hisotyr of Infinite Series (Doctoral dissertation Paper, Peabody College for Teachers of Vanderbilt University). 

  18. Knopp, K. (1956). Infinite sequences and series.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19. Randolph, J. F. (1957). Limits. In NCTM (Ed.) Insights into Modern Mathematics (pp.200-240). Washington, DC: NCTM. 

  20. Nelsen, R. B. (2000). Proofs Without Words II: More Exercises in Visual Thinking. Washington, DC: MAA 

  21. Sfard, A. (1991). On the dual nature of mathematical conceptions: Reflections on processes and objects as 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1), 1-36. 

  22. Toeplitz, O. (1963). The calculus: a genetic approach.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White, M. J. (1992). The continuous and the discrete: Ancient physical theories from a contemporary perspectiv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