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소외계층 재정의를 통한 정책방향의 제시: 정보격차조사 모집단으로서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중심으로
Redifining Digital Poverty : A Study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Disabilities, Low-Income and Eld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1 - 12  

이향수 (건국대학교 행정복지학부 행정학전공) ,  이성훈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  최정아 (한국정보화진흥원 디지털문화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정보소외계층 대상에 대한 정의는 2000년대 초반 정부가 정보격차실태조사를 처음 시작했던 당시의 기준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정보격차조사의 정보소외계층 대상을 검토하고 재 정의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격차조사의 대상 중 특히 문제의 소지가 많은 대상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중심으로 각각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보소외계층 대상으로서 이들 집단에 대한 정의를 재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격차 조사 대상 장애인을 현재의 지체, 뇌병변, 청각/언어, 시각장애인만으로 한정하지 말고, 개정된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하여 15가지 장애유형을 재검토 해야 한다. 저소득층의 경우 정보격차해소 대책의 대상으로서 저소득층의 기준도 기초생활수급자에 한정하고 있다. 그러나 차상위계층을 정보소외계층으로 포함시키는 검토가 필요하다. 장노년층의 경우 현재 노인연령기준이 사회통념에 맞추어 상향조정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장년층은 제외하고 65세이상의 노인층에 대해서만 정보소외계층에 포함시켜 정보격차조사를 수행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finition of digital poverty has not been changed since it was used at the first digital divide survey in 2000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and redefine digital poverty targets of digital divide survey.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 state for the target of the digital divi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에 대한 재정의가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3개 집단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연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 이들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대책은 과연 적절하게 제시되고 있는가? 이를 위해서는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는 정보소외계층을 정확하게 정의하고 판단하고 있는가 ? 그리고 이러한 올바른 정의에 입각하여 정보격차실태조사를 하고 그에 따른 정보격차해소 대책이 적절하게 이뤄지고 있는가 하는 연구 질문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모집단에 대한 재검토를 목표로 하는 연구로서, 이하에서는 정보소외계층 중에서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에 대한 현황 및 검토를 통해 이들 정보소외계층이 과연 정보소외계층으로서 적절하게 정의되어졌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 대상을 올바르게 정의하기 위해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의 대상을 재정의하여 오류를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함의를 가짐에도 본 연구는 구체적인 사례를 가지고 분석하지 못하고 통계자료 등 일반적인 자료를 가지고 분석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정보소외대상으로서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정보격차지수 조사대상을 정의할때의 시대적 오류를 수정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이 연구가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모집단의 정의에 대해 다시 한번 논의해 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의 정보소외계층 대상을 검토하고 재정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사회의 정보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절한 격차해소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부정책의 대상인 이들을 우리정부가 올바르게 정의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 본 연구는 과연 현재의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를 위한 정보소외계층으로서 현재의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의 모집단이 적절하게 정의되어졌는가 ? 하는 연구질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들 3개 집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을 정보소외대상으로서의 재 정의하고자 하였다.
  •  우리사회의 정보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절한 격차해소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부정책의 대상인 이들을 우리정부가 올바르게 정의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의 대상 중 특히 문제의 소지가 많은 대상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을 중심으로 각각의 현황을 분석하고 정보소외계층 대상으로서 이들 집단에 대한 정의를 재검토 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정보소외계층 중에서도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으로 그 대상을 한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격차지수 산출 방식은 어떻게 되는가? 정보격차지수는 일반국민의 정보화 수준을 100으로 가정할 때 일반국민과 정보소외계층 간 정보화 수준의 격차이며, 작은 값을 가질수록 정보격차가 개선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정보격차지수는 접근격차(30%), 역량격차(20%), 활용격차(50%)의 가중합계로 산출하게 된다. 접근격차란 컴퓨터 보유 및 인터넷 접근 용이성 등을 말하며, 역량격차는 컴퓨터 응용 S/W 및 인터넷 사용능력수준 등을 의미하며, 활용격차는 컴퓨터.
정보소외계층이라고 지칭되는 범주는 어떻게 되는가? 스마트 폰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이를 따라잡지 못한 일부 소외계층에서는 예전의 PC 및 유선 인터넷환경에서의 정보격차와는 다른 좀 더 심화된 정보격차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2]. 2004년 이래 우리나라에서 정보소외계층이라고 지칭하던 대표적인 대상이 장애인, 노인, 저소득층, 농어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다문화, 북한이탈주민 등의 그룹이 새로운 정보소외계층의 범주에 추가되었다[3].
스마트 모바일 환경의 도래로 등장한 새로운 정보소외계층은 이전과 어떤 점이 다른가? 스마트 모바일 환경의 도래에 따라 새로운 정보소외계층이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인터넷 및 PC위주의 정보격차와 달리 라이프스타일이나 문화나 의사소통 등 전반적인 생활 영역에 깊숙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PC기반의 유선인터넷 중심의 기존 정책을 보완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바일 기반 스마트 기반환경에 적합한 신 정보격차해소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M. Ku, M. K. Kim, T. W. Lim, C. Y. Kim, "A study on Activating Mid-Long Term Education of Damage Prevention for Information Alienated Class in the Smart Environment",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2. 

  2. W. S. Kang, H. S, Yang, "A Study on Efficient Policies of solving the Digital Divide for Weak Layers in the Smart Phone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0 no.1, pp.29-38, 2012 

  3. S. Y. Lee & M. J. Cheong, "A Study on 'Platform' e-Government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n a Multicultural Society of S.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1 pp.1-12, 2014. 

  4. C. J. Yoo, K. T. Kim, S. H. Lim, "The Study on welfare service of multicultural families you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0, No.5, pp.19-26, 2012. 

  5. S. K. Cho & Y. Noh, "A Study on web-based employment model for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2 No.1 pp.75-91, 2004. 

  6. H. Y. Kim, "Handicapped Persons and Internet : Comparing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Too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1 No.10 pp.75-91, 2013. 

  7. K. S. Hong,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New Digital Divide", New digital divide Plan Seminar proceedings, 2014. 

  8. source : The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index & Status(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5-2014) 

  9. Y. H. Kim, "National sectoral National Archives Search", Disabled Welfare Act, 2015. 

  10. DOI:http://www.archives.go.kr/next/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0325. 

  11. K. W.Lee, D. J. Shin, H. J. Ku, E. J. Kim, "Leisure Activation Plan of Low-Income". Korea Culture & Tourism Policy Institute, 2007. 

  1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overty Measurement Surveys", KIHASA, 2013. 

  13. H. T. Yang, S. H. Noh, J. C. Hyun, "Social Welfare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Jungminsa, 2012. 

  14. H. W. Lee, "Analysis for the next higher tier using financial panel", Finance Forum,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15. D. C. Kwak, J. O. Yun, K. Shim, J. H. Kim, "Library Service Expansion Strategy of the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for Digital Povert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1. 

  16. M. Y. Kim, D. J. Seo, J. B. Byun, J. K. Kang, "ICT-based Living in the Contact Type Service Model for Self-life Support of the Elder ly Living Alon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4, pp.25-38, 2015. 

  17. I. K. Jeon, J. H. Chung, "Study of GUI design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users of aged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7, pp.323-331, 2015. 

  18. Hyeon-Ho Park, Hee-Ock Nho, Yong-Ho Kim, "The Impact of Perceived IT Threat on Convergence Information System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65-71, 2015. 

  19. Keun-Ho Lee, "A Measures to Converge Manage an Efficien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Manpow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5, No. 4, pp. 81-8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