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EduTech for Multicultur al Peopl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3, 2016년, pp.55 - 62  

백승철 ((주)마이소사이어티 사회기술연구소) ,  조성혜 ((주)마이소사이어티 사회기술연구소) ,  김남희 ((주)마이소사이어티 사회기술연구소) ,  최미경 (연세대학교 영상예술학) ,  노규성 (선문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수는 2012년 70만 명 내외에서 2020년 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결혼이주자의 직무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결혼이주자의 언어적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은 작은 시장규모와 낮은 소득수준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필요성과 구매력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특성 및 교육콘텐츠 수요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결혼이주자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로 설정한 4가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의 적용 방안으로 언어능력지원, 맞춤형 교육 콘텐츠 추천기술,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콘텐츠 설계, 사용자 중심 경험 설계 4가지를 제안하였으며 기술을 통한 교육 격차 해소 및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도구로 에듀테크가 사용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demand for job training of married immigrants is increasing.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developmental Edu-Tech based on the demand for education cont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Based on analysis such as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 this paper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특성 분석을 통해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결혼 이주자와 사회복지, 서비스 디자인, 에듀테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분석을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 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특성에 에듀테크 요소를 적용한 4가지 연구문제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 서비스에 다문화 구성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문화 가족 학부모 대상 그룹 인터뷰(FGI)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고, 두 집단에 대한 FGI결과에서 얻은 시사점을 통해 에듀테크 적용 방향성을 제언한다.
  •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FGI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다문화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에듀테크 적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에듀테크 개발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다문화 사회와 교육 콘텐츠의 수요를 분석하고 FGI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적용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연구문제로 설정한 4가지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다문화구성원을 위한 에듀테크 개발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듀테크는 무엇인가? 에듀테크(EduTech)는 교육(Education)과 기술 (Technology)의 합성어로 IT기술을 활용한 교육 서비스 기술을 의미한다[15].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에듀테크는 전통적 방법으로 이러닝, 스마트러닝을 포함하나 단순히 교육 동영상을 제공하거나 교육 기능을 제공하는 것뿐아니라 목표로 하는 교육 대상에 최적화된 교육 콘텐츠, 인터렉션, SNS를 활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한다.
결혼이주자의 효과적인 취업/직무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하지만 교육현장에서의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인식 부족과 다문화 구성원의 언어적, 문화적 한계로 인해 효과적인 교육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에듀테크 (EduTech) 기술의 빅데이터(BigData)를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개인형 교육서비스를 적용하여 다문화 구성원을 위한 교육서비스로 활용한다면 다문화 교육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혼이주자의 언어적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의 필요성과 구매력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비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족 수는 2012년 70만 명 내외에서 2020년 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결혼이주자의 직무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결혼이주자의 언어적 특성에 맞는 직무교육은 작은 시장규모와 낮은 소득수준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필요성과 구매력에 비해 시장 형성이 미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특성 및 교육콘텐츠 수요를 바탕으로 에듀테크 적용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정의하고 해당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결혼이주자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Status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Legal",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3_03.jsp (2016.02.15.) 

  2.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The second master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2013-2017)", 2013. 

  3. Jaeho Oh, The Multicultural Policy Should be Changed, Issue&Analysis, 2015. 

  4. Jungyu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s multicultural policy".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pp.257-282, 2012. 

  5.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The plan of Local authority 2015, 2015. 

  6. Jungmyeong Ju, A Study on Multicultural Policy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2012. 

  7. Ae Lyeon Le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policies in Korea, Japan and violence in school maladjustment solu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Vol. 9, No. 2, pp. 111-142, 2015. 

  8. Jin-Woo Jeong, "A Study on the Policy of Multicultural in Korea,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25, No. 2, pp. 103-11, 2014. 

  9. Jong-Dae Park, Ji-Hai Park, "A Study of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Suggestions for an Advanced Policy Response",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 28, No. 1, pp. 35-63, 2013. 

  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Press, "The second master plan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2012, 12, 11. 

  11. Young-suk Kim, Jeong-han Woo,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improvement of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pp. 69-103, 2012. 

  12. Young-Ae Jung, "A Study on the Education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1, pp. 15-20, 2011. 

  13. Ministry of Gender Equality&Family, http://www.liveinkorea.kr/homepage/kr/ (2016.02.15.) 

  14. Euichul Jung, "Communication and Media Policy in a Multicultural Society : Focusing on Policy Trends, Programs and Alternative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7, No. 4, pp. 244-284, 2013. 

  15. Media drum, "Building Environment of Edu-Tech based Online Content", http://media.daum.net /society/education/newsview?newsid20160229030218211 (2016.02.20.) 

  16. Baekjoon Choi, "EduTech and the future of our SW industry", Etnews, http://www.etnews.com/20160229000297/ (2016.02.01.) 

  17. Kyoo-Sung Noh, Seong-Hwan Ju, Jin-Taek Jung,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2, pp.79-88, 2011. 

  18. Kyoung-Nam Kim, Myoun-Jae Lee, Daeyoung Kim, "A Study on Development Methods of Serious Game", Journal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2, pp. 21-26, 2011. 

  19. Seungcheol Back, Namhee Kim, Hyobae Kim, Seungyeon Choi, "The technical planning societal innovation through design thinking".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