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 작품의 프랙탈 차원 연구
A study on fractal dimensions of art work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7 no.2, 2016년, pp.305 - 314  

신채기 (계명대학교 미술사학전공) ,  허아영 (계명대학교 미술사학전공) ,  김슬기 (계명대학교 통계학전공) ,  박철용 (계명대학교 통계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드립페인팅(drip painting)으로 유명한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작품과 이와 흡사한 형식을 가진 한국 앵포르멜 작업 (Korean Informel art)들에 나타난 프랙탈 차원 (fractal dimension)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폴록과 한국 작가들의 프랙탈 차원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기 위해 30개의 폴록 작품과 45개의 한국 작가들의 작품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폴록에 비해 한국 작가들의 프랙탈 차원이 통계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록에 비해 한국 작가들의 작품의 패턴이 (세밀한 척도에서) 보다 평면적이라 해석될 수도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nalysis is performed for comparing the fractal dimension of Jackson Pollock's art works with that of Korean Infomel art work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at Jackson Pollock's fractal dimension is different from Korean Informel's, data is collected for the fractal dimens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미술 작품의 형식을 복잡계 이론의 하나인 프랙탈 (fractal)을 통해 조망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작품의 형식을 수치적 분석을 통해 접근함으로써 예술에 대한 새로운 인문사회학적 결론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는 시각적, 형식적 정보를 프랙탈 차원 (fractal dimension)에서 분석함으로써 작품과 문화를 새로이 읽어내는 패러다임을 구축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랙탈이란 무엇인가? 프랙탈 (fractal)은 일부 작은 조각이 전체와 비슷한 기하학적 형태를 말하며, 이런 특성을 자기유사성 (self-similarity)이라고 하며 자기 유사성을 갖는 기학학적 구조를 프랙탈 구조라고 한다(http://ko.wikipedia.
잭슨 폴록은 무엇으로 유명한가? 잭슨 폴록 (Jackson Pollock)은 추상표현주의의 대표적인 화가로서 드립핑 (dripping)이라는 독특한 표현 기법을 통해 액션페인팅 (action painting) 형식의 작품을 제작한 것으로 유명하다. 1950년대에 풍미한 한국 앵포르멜 작업 (Korean Informel art)들은 당시의 비평가들이나 오늘날의 미술사학자들 사이에서 작업이 지니는 폴록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다.
프랙탈 차원에 근거한 미술작품에 대한 국내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프랙탈 차원에 근거한 미술작품에 대한 국내연구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간략하게나마 소개하도록 하겠다. 먼저 Byun (2011)은 폴록의 드립페인팅을 복잡계 이론의 창발 (emergence)과 공진화(coevolution) 관점에서 해석하였으며, Kim과 Kim (2013)은 프랙탈 차원의 관점에서 몬드리안, 칸딘스키, 에셔와 폴록의 작품을 비교하였다. 소수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연구가 있었기 때문에 예술 분야와 과학 분야의 공동연구의 디딤돌이 되지 않았나 생각되며, 이 연구도 폴록과 한국 앵포르멜 작업들을 과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디딤돌 연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bbott, A. (2006). In the hands of a master. Nature, 439, 648-650. 

  2. Byun, C. (2011). Emergence and coevolution in Pollock's drip painting : Based on complex system theory. Journal of Contemporary Art Studies, 15, 49-90. 

  3. Chung, M. (2001). Abstract Expressionism and Korean Informel. Journal of Art History, 15, 247-262. 

  4. Coddington, J., Elton, J., Rockmore, D. and Wang, Y. (2008). Multifractal analysis and authentication of Jackson Pollock paintings. Proceedings of SPIE, Computer Image Analysis in the Study of Art, 6810, doi:10.1117/12.765015. 

  5. Gneiting, T., Sevcikova, H. and Percival, D. B. (2012). Estimators of fractal dimension: Assessing the roughness of time series and spatial data. Statistical Science, 27, 247-277. 

  6. Gouyet, J.-F. (1996). Physics and fractal structures, Springer, New York. 

  7. Hyun, Y., Kim, J. S., Jeong, J.-W., Yun, S. and Lee, M.-S. (2015). Text mining on internet-news regarding climate change and foo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419-427. 

  8. Irfan, M. and Stork, D. G. (2009). Multiple visual features for the computer authentication of Jackson Pollock's drip paintings: Beyond box counting and fractals. Proceedings of SPIE, Image Processing: Machine Vision Applications II , 7251, doi:10.1117/12.806245. 

  9. Jones-Smith, K. and Mathur, H. (2006). Revisiting Pollock's drip paintings. Nature, 444, E9-E10. 

  10. Kim, C. K. and Kim, M. J. (2013). Comparison and analysis of paintings using fractal dimension - Focused on Mondrian, Kandinsky, Escher and Jackson Pollock's paintings. Journal of Korean Design Forum, 38, 287-297. 

  11. Kim, G. and Park, C. (2015). Analysis of English abstracts i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using topic model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151-159. 

  12. Kim, Y. (2000). Postwar abstract art in Korea and Korea's Informel. Postwar Abstract Art in Korea and the West: Passion and Expression, Hoam Art Gallery exhibition catalogue, 22-44, Hoam Art Museum, Yongin. 

  13. Mandelbrot, B. B. (1983).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W. H. Freeman, San Francisco. 

  14. Taylor, R. P., Guzman, R., Martin, T. P., Hall, G. D. R., Micolich, A. P., Jonas, D., Scannell, B. C., Fairbanks, M. S. and Marlow, C. A. (2007). Authenticating Pollock paintings using fractal geometry. Pattern Recognition Letters, 28, 695-702. 

  15. Taylor, R. P., Micolich, A. P. and Jonas, D. (1999). Fractal analysis of Pollock's drip paintings. Nature, 399, 422-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